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시각화 그게 뭐길래? -시각화의 이중성

by 21기조수민기자 posted Mar 25, 2022 Views 166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청소년 기자단 3월 기사 사진.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조수민기자]


대부분 사람이 살아가면서 새로운 일을 시작하거나 준비하는 과정에 대게 목표 또는 계획을 세운다. 어떤 사람들은 이 과정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이 과정이 별로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는 무의식적으로도 새로운 일을 시작하기 전에 추상적인 목표를 세운다. 그러나 목표 또는 계획을 세울 때, 머리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의 결과와 직접 손으로 작성하여 눈으로 한 번 더 점검하는 사람의 결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우리의 뇌에서는 추상적인 개념 또는 자료보다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자료를 더 쉽고 확실하게 받아 드리는 경향이 있다. 또, 더 간단하고 간결하게 정리된 자료 역시 더 쉽고 확실하게 받아 드린다.


이러한 경우가 바로 많은 양의 자료를 시각화시키는 도표화이다. 우리가 많은 양의 자료를 한눈에 보기 힘든 줄글로 읽어서 이해하는 경우보다 이 자료들이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된 그래프를 봤을 때 훨씬 더 기억이 잘 남는 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점을 많이 가진 시각화라도, 시각화가 언제나 좋고 옳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우리는 시각에 의해 정보를 잘못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오감으로 받아드리는 자료의 80 퍼센티지를 받아드리는 감각이 시각이다, 이는 우리가 시각에 의존을 많이 한다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시각을 신뢰할 수 있는 것인가? 이 역시 아니다. 1999년 국제 학술지 『퍼셉션』에 실렸던 하버드대학교의 심리학과 학생들이 진행한 실험인 「우리 가운데 있는 고릴라」가 근거이다. 이 실험은 사람들에게 흰옷과 검은 옷을 입히고 공을 주고받게 하며, 공을 주고받는 횟수를 카운트하라고 피실험자들에게 요구한다. 그 실험 중에 고릴라가 약 9초에 걸쳐 등장하지만 알아차리지 못한다. 그들은 실험 종료 후에 상영된 동영상을 통해 고릴라의 등장을 알아차린다. 이처럼, 우리의 눈은 항상 강렬한 것에 집중되어 있어 사소한 것을 놓이기 쉽고 가끔은 물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예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특히 그래프를 해석할 때 잦은 실수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그래프에서 두 그래프가 의미하는 자료가 다른 경우, 중간중간 생략된 기간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사소한 섬세함을 놓이는 경우들이다.


이처럼 시각화는 분명한 이중성을 지닌 것이지만, 이러한 사실을 알아차리고 이것을 더욱 조심하며 사용한다면, 시각화는 최고의 자료 정리 방법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21기 조수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21기채원희기자 2022.03.27 19:02
    역시 사진이 있는 자료가 더욱 알기 쉬웠는데 그게 시각화이군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8077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6036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05275
스승의 날의 의미, 잊어버리진 않았나요? 1 file 2016.05.18 박하은 16918
스승의 날, 의미의 모순? 2 2017.06.04 박환희 18500
스미노 요루의 특이한 데뷔작,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2 file 2017.10.17 이나영 19342
스머프의 고향, 벨기에 만화박물관에 빠지다 1 file 2017.10.16 박미진 21674
스마트한 축제 '제7회 스마트 디바이스 쇼' file 2017.08.21 하지선 14197
스마트한 세상, 스마트한 가격, KITAS 2017 file 2017.08.16 권서현 13816
스마트한 기부, 변화된 기부, 기부박수 337 1 file 2017.06.25 최찬영 16566
스마트폰이 신체의 일부가 된 사람들 6 file 2020.04.13 차예원 24010
스마트폰으로도 전문가 영상을! 혁신적인 가격의 'Snoppa M1' 3 file 2017.02.16 김지훈 24026
스마트폰에 구멍이? 삼성전자의 첫 펀치홀 디스플레이 1 file 2019.02.28 홍창우 19278
스마트폰 등장 13년, 소비자들에게 국경은 없다, 스마트폰의 미래 2020.05.19 정미강 21590
스마트디바이스 쇼 KITAS 2017 1 file 2017.08.22 강다연 14908
스마트도시란 무엇인가 file 2021.12.27 백소윤 12683
스마트 태그와 함께 소비자에게 가까워진 사물인터넷 시대 2021.06.02 최병용 13844
스마트 시대의 길을 걷다, 서대문구 '스마트 관광 전자지도' 구축 file 2021.08.25 박예슬 12993
스마트 세상에 살아갈 우리를 위한 '제5회 테크+ 제주' 1 2017.09.08 신온유 15378
스마트 디바이스쇼 2017, 이색적인 스마트 기기들 총출동 1 file 2017.08.31 김기태 14497
스마트 디바이스 쇼(KITAS) 2017, 모든 스마트 기기들을 한눈에! 2017.10.11 이유진 18198
스마트 기기들 모여라! [KITAS 2017] 1 file 2017.08.22 김예원 15297
스마트 IT 기기의 중심, 2017 KITAS file 2017.08.25 고유경 15843
스노든의 태도 <미국 청소년 추천 도서: 스노든 파일> file 2021.12.16 이유진 22700
슈틸리케호 6월 A매치 소집 명단 발표.. 러시아 월드컵을 향한 그들의 도전은 계속된다. file 2017.05.24 이아현 14748
쉽고 간단하게 체험할 수 있는 가죽공예! 3 2017.02.22 김다정 16429
쉽게 읽히고 강하게 와닿는 작가 박완서 1 file 2016.05.25 박정선 16757
쉴만한 물가, 쉴가에서 찾은 아이들의 발걸음 file 2016.10.22 이의진 16458
쉐이커스 캠프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016.08.11 김나림 16802
숨은 명소, 교동 연화지 file 2021.09.23 박서영 14651
숨어있던 환경 팅커벨! 1 file 2017.08.25 김나연 14356
숨기기보다 드러내는 것이 치매 예방의 지름길 1 file 2018.08.27 여인열 16379
숨 쉬려면 호흡세를 내야하는 나라가 있다? file 2020.10.23 조수민 17068
순항하지 못한 벤투호, 아시안 컵 8강 탈락 file 2019.01.31 김유미 16861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순천시장과 청년이 이야기 나누는 토크쇼 열어 file 2023.02.15 디지털이슈팀 8643
순천만국가정원 봄꽃 축제 '1억 송이 봄꽃 활짝' file 2018.04.25 조햇살 17719
순천만국가정원 ‘겨울 별빛축제’ 4 file 2019.02.14 조햇살 19056
순천만과 국가 정원, 순천 국제도시 만들기의 선두 주자! 2017.05.08 이소명 15626
순우리말 간판, 돌아오다. 11 2017.02.22 장나은 58310
순수하고 풋풋한 첫사랑을 엿보다, 영화 플립 2 file 2017.08.22 박소이 18234
수화가 아니라 수어라고? - 조금은 특별한 봉사활동 file 2017.10.24 홍정연 17167
수호랑이 가고 반다비가 온다 1 file 2018.03.02 신소연 16568
수학으로 놀자! '2019 부산수학축제' 1 file 2019.11.01 김민정 16248
수학으로 나라를 구하다 file 2018.06.27 노채은 19255
수학여행 보고서 file 2016.05.28 이서연 25199
수학사 최대의 난제, ‘리만 가설’ 1 file 2017.07.15 정승훈 19889
수학과 놀자! 2017 수학문화축전 1 file 2017.10.09 유혜영 17656
수학, 어디에 숨어있을까? 2 file 2017.05.28 신온유 19230
수피아의 한글교지부를 만나다 file 2016.07.23 김다현 19085
수포자도 놀러오세요, 제11회 전북수학체험한마당 1 file 2019.10.28 임세은 17679
수지구청 사랑의 교복 나눔 행사 11 file 2017.02.20 이호균 177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