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희귀의약품 '메카신(Mecasin)'

by 김다혜대학생기자 posted Mar 07, 2022 Views 1114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김성철 교수(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가 개발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 후보 물질인 메카신(Mecasin)’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희귀의약품에 지정됐다.

 

현재 메카신은 루게릭병의 세계 표준 치료제인 리루졸과 병용해 유효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용량별 임상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방제제가 양약과 달리 전문가 추천을 쉽게 받지 못하는 열악한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돼 큰 의미를 지닌다.

 

김성철 교수가 개발한 메카신은 작약, 감초, 정제부자, 강황, 천마, 단삼, 원지 등 9가지 한약재로 이루어졌다. 특히 부자에서 아코니틴을 제거하는 ()한풍제약의 독자적 기술을 이용해 만든 정제부자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용 조성물로 국내, PCT 및 미국 특허를 취득하기도 했다.


감초.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다혜 대학생기자]


부자는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오두의 어린뿌리를 건조해 만든 약재이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이미 약으로 쓴 기록이 있으나, 독성이 강하여 의료용보다 병기로 사용했다. 약성은 뜨겁고, 맛은 맵고 쓰다.

 

아코니틴은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의 뿌리에 들어 있는 알칼로이드로, 아세틸콜린 저해제로 작용해 혈액에 섞일 시 신경을 마비시킨다. 또한, 아코니틴이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면 기능 저하, 중독, 두통, 쇠약, 현기증, 호흡 곤란, 저체온증, 떨림, 침 분비, 감각 이상, 저혈압, 가슴 통증, 다뇨증, 서맥 등의 심부정맥, 폐부종, 복시, 동공확대, 쇼크 그리고 경련을 유발할 수 있다.

 

메카신은 치료기전 연구에서 철분 수준과 산화스트레스를 조절하는 HO-1(Heme Oxygenase-1)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신경세포 보호 및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해 퇴행성 뇌질환의 생명 연장 및 증상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메카신은 지속적인 임상시험에 돌입하고, 제품화된 천연물 의약품이 루게릭병 환자에게 처방될 예정이다.

 

김성철 교수는 루게릭병은 다종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하는 퇴행성 질병이니만큼 여러 성분을 가진 한약제제 메카신이 인체의 멀티 타깃에 작용하는 이점을 이용해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활용이 가능하다”라며, 한약제제로 만든 천연물 의약품으로서 루게릭병뿐만 아니라 다빈도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 치매나 난치성 신경근육질환인 샤르코마르투스, 근이영양증 등에도 신경과 근육의 항염증 및 재생 작용으로 인해 세계 표준치료제와 병용하는 치료 보조제로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5기 대학생기자 김다혜]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21기채원희기자 2022.03.26 18:47
    우아! 메카신이라니 처음 듣는 건데 활용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982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694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9956
코로나 악조건 속 흥행 중인 영화 소울, 어떤 영화길래? 2021.01.27 유채연 15623
코로나 신조어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file 2020.09.23 조수민 15113
코로나 시대로 열린 새로운 시장 경제 file 2021.10.28 한지윤 9294
코로나 시대로 급증하는 일회용품 사용률…해결책은 제로 웨이스트 운동? 2 file 2021.08.23 정지운 26154
코로나 시대, 새로운 야구 관람 문화 file 2021.05.24 송유빈 12335
코로나 시대 소외당하는 청각장애인 1 file 2021.06.09 김지윤 21023
코로나 따라 상승기류 타는 'OTT 서비스' file 2020.10.05 차준우 14459
코로나 걱정없는 '사이버 박물관'으로 초대합니다 2 file 2020.07.01 진효원 14249
코로나 19로 인한 해수욕장 긴급 폐장 file 2020.08.26 김민영 11897
코레일이 운행하는 부산 동해선(동해 남부선) 토큰용 승차권의 슬픈 사연. 2 file 2017.02.24 김선태 17540
코딱지보다도 작은 복권 당첨 확율 2 file 2017.04.19 이종은 14885
코딩에 관심 많은 친구들이라면 'NYPC 토크 콘서트 : 코딩하는 대로' 주목! 2017.08.10 임채민 17164
컬러풀 대구 페스티벌, 그 뜨거운 현장! 1 file 2016.05.08 서지민 22352
커피향이 솔솔 '2017 강릉커피축제' 1 file 2017.10.26 김동근 14791
커피 한잔으로 좋은일 하기, 공정무역카페 file 2018.12.21 정유현 16827
캣조르바 탐정추리학교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3 file 2019.02.08 심화영 23314
캐나다 작가들과 함께하는 영어 글쓰기 워크숍, "이제 나도 영어로 글을 쓸 수 있어요." file 2016.07.25 김은비 18679
캄프 누에서 열린 골 잔치 4 file 2017.01.15 최민규 15810
캄보디아의 아픈 기억, 킬링필드(Killing Fields) file 2020.02.14 윤하은 14747
카페, 전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곳, 노원 더숲 1 file 2017.07.22 신현민 20278
카페 프랜차이즈 가격 인상, 약 10년 만에 오른 커피 가격 1 2022.02.17 조민채 10670
카카오프렌즈 뮤지엄에 가다 9 file 2017.01.15 임수연 21223
카카오게임즈에 이어 빅히트 엔터테인먼트까지, 공모주 청약 돌풍 file 2020.10.26 이채은 12415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6808
카메라로 세상을 보는 우리는 꿈의학교 '카메라른 든 아이들' 입니다. 6 file 2017.02.15 이승연 13807
카레의 숨겨진 효능 1 file 2021.12.21 김다혜 9982
카네이션도 법에 걸린다고요? 3 file 2017.05.15 강예원 14115
침묵의 암살자 2 file 2017.04.16 정가원 14110
친환경적인 브랜드, 프라이탁 1 file 2020.06.15 설수안 23267
친환경 실천하면 포인트 쌓인다...탄소중립포인트 제도 file 2023.05.06 이주하 7389
친환경 사기꾼 '그린워싱'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file 2017.05.25 이경림 17206
친환경 기업임에도 정상에 선 '앱솔루트 보드카' 이야기 file 2021.01.25 권태웅 15241
친숙하지만 낯선 존재, '물' 1 file 2018.03.26 강지희 16209
친구, 연인, 가족끼리 <리멤버> 촬영지로 놀러가자! 1 file 2017.03.24 김민서 13442
치킨뿐만아니라 돼지고기랑 소고기도 못 먹는다고?? 1 file 2017.02.23 정예림 13732
치킨값=목숨값? 스웨덴은 법만 지키면 운전하다가도 떡이 생긴다 4 2020.09.29 문청현 16531
치킨값 인상… 소비자 얼굴에도 인상! 1 2017.03.18 장예나 14254
치우는 만큼 즐거워지는 계곡 피서 file 2017.08.23 손지웅 15453
치열했던 무안고와 천안신당고의 접전… '2019 대한핸드볼협회장배 전국 중·고등 선수권 대회' file 2019.03.25 배시현 24310
치약 시장에 부는 프리미엄 바람...그릿메이드 치약 직접 써보니 "부드럽네" file 2023.08.22 홍혜린 5596
치명적인 바이러스의 진화, 인류의 선택은? 2017.03.04 신온유 18979
치매, 치료의 길 열린다! file 2017.03.18 장현경 16464
치과 공포증, 존재하는 질환일까? 3 file 2020.09.17 김수경 16006
취임사에서 '통합' 강조한 바이든…샌델은 '능력주의 극복'을 말한다 1 file 2021.01.25 김도원 13502
취미, 이제는 즐거움과 집중력의 두마리 토끼를 잡다 4 file 2016.03.13 이지수 17832
충치 치료, 때울 필요 없다? 8 file 2017.02.20 김나현 19045
충청북도청소년종합진흥원, 2022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file 2022.08.03 이지원 8753
충청북도선거관리위원회와 함께하는 <신한은행 2017-2018 여자프로농구> 1 file 2018.02.09 허기범 151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