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우리나라의 의생활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

by 김민정대학생기자B posted Dec 03, 2021 Views 171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리나라는 35년간 일제의 식민 지배를 받으며 그 과정에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일본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그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의생활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한다. 우리나라의 의생활은 주로 서구화된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도 우리 의생활에 아직 뿌리 깊이 남아있는 일제 잔재들이 꽤 존재하고 있다.

의복은 일상생활에서 타인을 판단하는 단서이자 정보 전달의 요소이다. 또한 의복은 개인의 개성이나 감정, 욕구 등을 표현하기도 한다. 즉, 의복은 실용적인 기능을 갖는 동시에 상징적 기능을 갖는다. 특히 의복은 동조성을 가지게 된다. 동조성이란 개인의 특별한 개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행에 따르는 것을 말한다. 의생활은 어떤 사상이나 철학 혹은 기조 등의 동조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일제 잔재가 남아있다는 것은 여전히 우리가 무의식적으로든 의식적으로든 일제의 잔재에 동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의생활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일제 잔재의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교복과 제복이다. 우리나라에서 교복을 처음 착용한 것은 1880년대이다. 이때 미국인 선교사에 의하여 교복이 도입되었고 한복 식 교복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접어들어 통치 기구로서의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면서 1910년 서구식의 교복이 출현하였다.

KakaoTalk_20211203_14413450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민정 대학생기자]

이 시기 강제적으로 단발령이 선포되면서 한복을 착용하여 느끼게 되는 정체성의 의미 또한 없애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교복은 물론이고 다양한 제복들이 도입되면서 빠르게 국내의 의생활을 변화시키기 시작하였다. 제복은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느끼도록 하고 동시에 다른 사람과는 차별화된다는 특권의식을 가지게 한다. 따라서 교복이나 제복은 군국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일제강점기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가 끝나고 난 이후에도 교복 착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학생들의 감수성이나 개성, 가치관 등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교복을 입도록 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다양성을 잃었으며 전체주의의 잔재를 자신도 알지 못한 사이에 학습하게 되었다. 사실 국내에서는 일제 잔재를 청산하겠다는 목적으로 교복 제도가 폐지된 적이 있다. 1983년 교복의 착용 및 두발의 제한은 학생의 개성을 잃게 만들고 일제의 잔재에 불과하다는 각계의 의견들이 나오면서 교복 자유화가 시작되었다.

제도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강제성이 없어졌고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교복 제도를 폐지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가계 부담으로 인한 학부모의 요구가 높아지고 교육계에서도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1986년부터는 다시 학교장 재량으로 교복 착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간이 흐르면서 교복 착용이 다시 대세가 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결국 일제 잔재를 청산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으나 제대로 된 국민 공감대를 끌어내지 못하여 실패한 것을 알 수가 있다.

제복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제복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사람들을 상징하는 것임으로 공익적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할 순 있지만, 교복의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한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다양한 개성의 표현을 존중하는 현대 사회의 특성을 고려할 때 교복이 청소년들에게 일제 잔재로서의 제국주의, 전체주의, 군국주의적 시각을 갖도록 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5기 대학생기자 김민정]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0368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4103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49548
잠자는 청소년의 의식을 깨운다! '청소년 자원봉사 여름학교 -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file 2017.08.21 김현서 17179
배고플때 짜증이 난다? file 2017.03.25 진다희 17179
다른 세상에 사는 두 소녀의 이야기,<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file 2018.03.29 김수민 17178
우주로 가는 과학!! ‘Science to space’ file 2017.09.27 백예빈 17178
미세먼지, 그 해결책은? 4 file 2017.04.02 박민경 17177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에 다녀오다. 2 file 2016.03.13 권은다 17177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7176
프로야구 두산, 다시 새로운 시작 1 file 2016.04.02 양지호 17176
자라나는 미래 경제의 희망, 2018 고교 경제동아리 연구과제 발표대회 1 file 2018.12.14 윤여진 17174
신사임당, 그녀는 누구인가 1 file 2017.02.27 박혜민 17173
렌즈, 올바른 사용법과 부작용 3 file 2020.09.09 김현수 17172
한국에서 접하는 이슬람, '한국이슬람교 부산성원' file 2017.05.14 허재영 17172
환경운동연합 <350 캠페인> file 2017.02.28 양정윤 17171
ASMR, 당신은 사용하시나요? 4 file 2017.09.21 안현진 17170
대전국립중앙과학관, 과학체험의 장을 열다. file 2017.04.24 김세영 17170
전 어디에 가야 하나요? file 2016.08.22 박나영 17170
서대문독립민주축제,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 1 file 2019.08.19 노주영 17169
색다른 서울 근현대사 탐방하기 file 2019.07.25 최민주 17169
무더위도 잊게 만드는 뜨거운 과학 열기 속으로 1 file 2017.08.25 이지호 17168
청소년의 '피, 땀, 눈물'은 어디로 갔을까 [청소년 아르바이트] 2 file 2017.04.24 이채은 17164
세계, ‘혼자’의 편견을 부수다! 22 file 2017.02.03 강건화 17164
점 하나의 기적, 블랙 닷 캠페인 9 file 2017.02.16 김효원 17162
시인 정지용의 '제32회 옥천 지용제' file 2019.05.27 양유빈 17159
화성 효 마라톤 대회 그열정의 현장 속으로 file 2016.05.29 신수현 17159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7158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섬, 오륙도 8 file 2017.02.04 정유진 17154
청소년에게 꿈을! 인동고 MBC, 구미 청소년 문화존에 참가하다. file 2017.05.24 김민정 17152
방문해보세요, 원전하나줄이기정보센터 file 2016.06.25 김영현 17152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7147
WBC, 이스라엘이 한국에게 전하는 메세지 4 2017.03.15 조성민 17144
임산부 뺏지를 아시나요 2 file 2016.04.28 이서연 17142
꿈의 컴퓨터, 양자 컴퓨터 file 2019.08.27 김채운 17141
새 학기 가방고민, 한방에 해결하기! 1 file 2017.02.24 이서영 17141
전주 한지 온누리에 펼치다 2 file 2017.06.04 설서윤 17140
면역력 관리가 중요한 여름, 면역증진에 도움 되는 식품은 무엇일까? 1 file 2020.06.12 이한나 17138
소통에 대한 우리들의 이야기 '온드림 스쿨' file 2017.11.27 여승헌 17137
달콤함의 향연, '슈가플래닛'에 다녀오다! file 2018.12.17 송지윤 17136
중국의 추석, 중추절 file 2017.10.23 이진하 17135
웃음짓는 청년상인, 살아나는 전통시장 1 file 2016.08.25 류지석 17134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7132
SBS 새 월화드라마 '조선구마사' 역사왜곡 논란에 결국 폐지 2021.03.29 유채연 17130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7129
퀴어, 광주를 무지개로 밝히다; 제1회 광주퀴어문화축제 3 file 2018.10.25 김어진 17128
나를 사랑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 ‘자존감 수업’ 2 2017.05.25 오희연 17125
인간이 우울해질수록, 가재는 대담해진다 file 2021.06.29 유예원 17124
137년 vs 14년, 한 맺힌 팀들의 대결…UCL 결승 6월 1일 개최 file 2019.05.31 권진서 17124
이주민들의 희망센터, 로뎀 1 file 2017.03.19 김다은 17122
뉴욕과 파리도 제친 서울의 물가, 세계 물가 6위를 차지하다 1 file 2017.04.15 박유빈 171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