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마스크 귀걸이 자르기?…우리의 작은 노력으로 지키는 생태계

by 20기정지운기자 posted Nov 22, 2021 Views 1607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서 일상의 필수품이 되어 버린 마스크. 이제는 안 쓰는 것이 허전할 정도로 익숙하게 느껴진다. 우리들에게 마스크란 바이러스를 막아주는 고마운 존재이지만, 동물들에게는 재앙으로 다가오고 있다.


한 가지 사건으로는 작년 영국서 일회용 마스크 고무줄에 다리가 묶여 날지 못하는 갈매기가 동물보호센터에게 구조되었었다. 당시 갈매기는 묶인 부위가 심하게 부어있어 약 일주일간 치료를 받고 후에야 회복하였다고 한다. 또한 갈매기 이외에도 여우, 고슴도치를 포함해 다양한 야생동물들이 일회용 마스크와 장갑 등에 걸려 몸이 걸려 구조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피해는 우리의 조금의 노력에도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을 일이다. 어떻게 하면 이러한 피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막을 수 있을까?


지금까지 마스크를 버릴 때 어떻게 버렸었는가? 그냥 쓰레기통에 버렸을 수도, 반을 접어서 버렸을 수도 있다. 그러나 가장 생태계에 돌아가는 이상적으로 버리는 방법은 따로 있다.


KakaoTalk_20211116_15304458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기 정지운기자]

그것은 바로 마스크의 귀걸이의 반을 잘라 버리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버리게 된다면, 만약에라도 쓰레기 매립지 또는 쓰레기 운반 과정에서 마스크가 바람에 날라가도 야생동물을 해칠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간단하게 한 번 자르는 것만으로도 생태계에는 큰 이점으로 돌아갈 수 있다.

KakaoTalk_20211116_15131456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기 정지운기자]


그다음으로 이렇게 오염된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돌돌 감아서 버리면, 완벽하게 버렸다고 볼 수 있다. 버린 후 손 씻는 것도 잊지 않는 것도 명심해야 한다.


우리가 자연에 도움을 주지는 못할망정 피해를 줘서는 안 된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즉 우리의 사소한 행동이 생태계에 나비효과로 돌아가 큰 피해를 끼칠 수도, 좋은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서로의 안전을 위해 책임감을 느끼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처럼 폐기할 때도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0기 정지운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21기이서정기자 2021.12.08 17:52
    자연과 환경을 고려하여 마스크 폐기를 책임감 있게 실행해야 되겠음을 느끼고 실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D
  • ?
    21기채원희기자 2021.12.11 10:56
    새로운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실천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8401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6485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09108
새로운 재활용 방법 '업사이클링'의 등장 file 2017.03.18 4기기자전하은 16515
새로운 전략만이 살아 남는다 file 2016.05.24 박지윤 16407
새로운 정상과 청소년 활동 주의에 대해서 file 2020.09.29 김태환 12950
새로운 콘텐츠,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알아보다! 1부 file 2017.05.27 윤혁종 16603
새로운 팬덤 문화의 시작, '아미피디아' 4 file 2019.04.03 김여진 22185
새로운 팬덤문화의 열풍 2 file 2017.04.24 윤선애 14727
새로운 팬들의 문화 '쌀 화환 기부' 2 2017.10.09 구다인 19833
새로운 혁명의 시작? 1 file 2018.02.19 김동희 14505
새로운 혁신 도전, 아이폰8 vs 혁신보단 안정성, 갤럭시 노트 8 2017.10.11 이지윤 14702
새로운 환경운동을 위하여,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7.05.23 이다빈 26188
새로운 휴식쉼터-만화카페의 등장 5 file 2016.07.22 김나림 16820
새롭게 떠오르는 흑린, 세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1 file 2017.02.25 이유림 16741
새롭게 떠오르는 힐링공간, 만화카페 6 2017.03.23 이지현 16106
새롭게 태어난 공중전화 박스,이젠 시민의 안전지킴이 7 file 2016.02.24 김영현 23332
새콤하고 달콤한 딸기 향으로 가득 찬 2018 논산 딸기 축제 file 2018.04.17 고동호 15725
새학기 교복을 저렴하게 구입하자! 1 file 2017.02.24 윤하림 13624
새학기 시작,해돋이 명소 강원도로 떠나요! file 2016.08.25 김은비 18508
새학기 증후군, 규칙적인 생활습관으로 극복하자! 2 file 2017.03.29 김수연 14371
새학기가 시작된 지금, 학생들을 떨게하는 새학기 증후군 극복하기! file 2017.03.12 이세영 14373
새해에는 여기지! 3 file 2015.03.13 한지홍 23404
색다른 경험이 기다리고 있는 부여 '기와마을'로 떠나자 1 file 2018.08.08 전예진 14973
색다른 서울 근현대사 탐방하기 file 2019.07.25 최민주 17291
샘표, 서울시50플러스재단과 ‘즐거운 남자들의 요리혁명’ 쿠킹클래스 개최 file 2022.10.26 이지원 9594
생각이 떠다니는 곳, 카페 ‘생각구름’ 대표 최정진 시인을 만나다 file 2016.06.24 유성훈 20095
생동감 넘치는 작품...뮤지엄웨이브서 '팝 스트리트 66' 열려 file 2024.03.28 심지용 5294
생명 보험, 제대로 알고 가입하자 6 file 2016.02.26 조수민 17685
생명 사랑 밤길걷기-당신이 실천하는 자살예방캠페인 1 file 2017.10.12 안수빈 18613
생명과 태양의 땅 충청북도에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으로 세계를 노래하다·· file 2018.01.08 허기범 16195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청소년 자살 예방 위한 ‘다 들어줄 개’ 캠페인 실시 file 2017.12.13 디지털이슈팀 16176
생명보험재단, 11월 워크숍 ‘커뮤니티 기획법’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file 2022.10.24 이지원 8492
생명보험재단, 12월 워크숍 프로그램 ‘감정 글쓰기’ 참여자 모집 file 2022.11.22 이지원 15948
생명보험재단, 호킹졸업식 지원…희귀질환 학생들 위한 행사 '눈길' file 2019.02.26 디지털이슈팀 14035
생명사랑 밤길걷기, 함께하실래요? 1 2017.09.20 오다영 15713
생명을 구하는 나눔 히어로즈, 지금 동참하세요! file 2017.09.08 오경서 19453
생명을 살리는 치안드론 file 2018.11.05 손준서 13961
생명을 위한 관심, 헌혈이 필요한 시기 file 2022.01.27 임나연 12407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갯벌 속으로 ‘2019 고창갯벌축제’ file 2019.06.25 조햇살 22050
생명존중 뮤지컬 ‘나는나비’ 공연을 보고 file 2023.06.05 박준하 7261
생명존중을 전달한 뮤지컬 '나는나비' file 2023.06.29 변수빈 6875
생물 다양성의 달 5월, 생물다양성협약을 다시 생각하다 file 2017.05.24 노태인 14063
생수조차 의심해야 하는 시대 2 file 2017.10.09 문영진 15038
생애주기에 따른 재무설계 - 40대와 50대 file 2017.10.25 박나린 19433
생태교란종 "붉은귀거북" 무더기 발견 file 2020.05.11 김은준 17198
생활 변화의 주범, 코로나 file 2020.10.05 김준희 14526
생활 브랜드 그릿메이드, 식물성 성분 담은 치약 출시 file 2023.08.22 조영채 7147
생활 속에 존재하는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세상을 밝힌다 1 file 2016.06.24 안성주 16142
샤오미, 3월 27일 신제품 라인업 다수 발표 1 2020.04.01 김정환 26032
샤페코엔시, 절망 이겨낸 힘찬 도전 2 file 2017.02.25 노예린 194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