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한국의 사계절이 사라지고 있다

by 20기임나연기자 posted Nov 22, 2021 Views 132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11116_15263102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기 임나연기자]


사계절이 뚜렷하다는 특징을 가졌던 한국은 점차 그 특징을 잃어가고 있다.


가을장마가 시작되기 전까지 내렸던 잦은 소나기는 "사실 소나기가 아니고, 스콜이 아닐까"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짧고, 세차게 내렸다. 가을에 내렸던 비도 마찬가지로 세차게 내리다가 몇 분 지나지 않아 멈추고, 반복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기후 변화' 때문이다. 한국의 기후가 온대 기후에서 아열대 기후로 바뀌고 있다는 말까지 등장한다. 봄과 가을이 짧아지는 현상을 보더라도 기후 변화가 심각하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기후 변화로 인해 한국의 사계절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기후 변화는 왜 발생할까? 이는 심각한 '지구 온난화'가 원인이 된 것이다. 지구 온난화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꾸준히 문제가 되는 부분이다. 토지와 해안이 사막화되고, 빙하가 녹아 빙하 위에서 살던 생물들은 죽음을 맞고, 해수면이 높아져 살 곳을 잃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피해는 이뿐만이 아니지만, 이러한 사실마저도 간과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통계자료.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기 임나연 기자]


다양한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온 지구 온난화는 현재 이 같은 기후 변화를 일으킬 정도로 심각해졌다. 심각한 지구 온난화의 주범은 바로 온실가스 배출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량 중 가스별 비중은 이산화탄소가 91.4%로 가장 높고, 분야별 비중은 에너지가 86.9%로 가장 높았다.


인간은 직접 지구 온난화를 초래하고, 그로 인해 다시 지구 온난화를 가증시키는 악순환을 낳았다. 이제는 에어컨을 켜는 것, 자동차를 타는 것과 같이 우리가 생각하는 '일상적 행동'을 일상적 행동이라 말할 수 없을지 모른다.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로 인한 피해는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에게 닥친 현실이고, 우리가 초래한 결과이다. '기후 위기' 상황에서 우리는 심각성을 깨달아야 한다.


기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흔히 알고 있는 환경 보호, 전기 절약, 에너지 절약 행동 모두가 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법이다. 심지어 요즘 화제인 '비건'도 탄소 배출을 줄이는 한 방법이다. 이 외에도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방법은 아주 다양하고, 포털 사이트에 탄소 배출에 관한 것만 검색해도 쉽게 찾을 수 있다.


나 한 사람의 변화가 환경에 어떠한 나비효과를 줄지 모른다. 우리가 조금이라도 관심을 두고, 위와 같은 작은 노력부터 시작한다면 '탄소 중립'에 점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바쁜 하루지만 조금이라도 시간을 내서 기후 위기의 심각성과 해결 방법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이 어떨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0기 임나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2196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7211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94505
한국은 제2의 영국이였다 file 2016.05.10 이지영 16711
한국은 지금 '젠트리피케이션' 몸살 중 file 2018.11.21 박태준 14959
한국은행 전북본부 고교경제 토론대회 개최 7 file 2017.01.19 최희주 15840
한국을 알리다, 영국남자 4 file 2019.02.07 장혜원 18232
한국의 빵빵한 지하철 와이파이 과연 일본은? file 2018.04.03 김진영 19799
한국의 사계절이 사라지고 있다 file 2021.11.22 임나연 13221
한국인 유일의 단독 방북 취재, 진천규 기자 file 2019.02.21 오유민 16058
한국인들은 안경 끼고 밤 늦게까지 공부만 한다고? 3 file 2017.05.18 하은지 13863
한국인들의 도전 정신을 깨운 달고나 커피 2020.03.27 14기이아현기자 13998
한국인의 '벙어리 영어', 그 시발점은 어디인가 1 file 2017.07.25 신유정 18030
한국인이 사랑하는 시인, 윤동주 탄생 100주년, 왜곡된 사실. 2017.04.17 박환희 20220
한국자원순환산업진흥협회, '생활 속의 GR, 실천하는 탄소중립' 주제로 제6회 GR 홍보공모전 개최 file 2022.07.06 이지원 11200
한국장애예술인협회, ‘2022 장애예술인수첩’ 발간 file 2022.12.09 이지원 8726
한국중등축구연맹회장배 겸 경상북도지사배 국제축구대회 성료. 유소년의 미래를 여는 기회 file 2019.10.10 이지훈 17917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2022 자원봉사 국제포럼 11월 3일 개최 file 2022.11.01 이지원 8155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2022년 지역맞춤형 안녕캠페인 공모사업 성료 file 2022.12.23 이지원 8955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주간 기념 대한민국 자원봉사 캐릭터 ‘자봉이’ 카카오톡 무료 이모티콘 배포 file 2022.11.16 이지원 9054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떠나는 ‘코리아둘레길’ 플로깅 캠페인 실시 file 2022.07.06 이지원 9914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한국관광공사, ‘코리아둘레길 플로깅 이벤트’ 진행 file 2022.11.07 이지원 9831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도전.한국: 국민주도형 작은연구 공모전’ 개최 file 2022.07.29 이지원 8675
한국지하수 토양 환경학회 춘계 학술대회를 탐방해보니... file 2017.05.19 오지석 14201
한국철도시설공단, KR 홍보대사, KR SNS 레일싱어, 청소년 홍보대사 합동 워크숍 개최 file 2016.08.30 박성수 18550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9월 새학기부터 ‘청소년상담1388 온라인 캠페인’ 실시 file 2017.09.05 디지털이슈팀 15271
한국청소년연맹, 2022 국제청소년캠페스트 개최 file 2022.07.08 이지원 11004
한국청소년연맹, ‘K-POP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file 2022.07.04 이지원 8255
한국청소년연맹, ‘글로벌 청소년 ESG 희망포럼-비정상회담’ 개최 file 2022.08.01 이지원 10036
한국청소년연맹, 전국청소년전통문화경연대회 철원서 실시 file 2022.11.22 이지원 7935
한국청소년연맹, 코로나19 이후 첫 축제형 청소년 국제행사 ‘ESG 희망포럼’ 개최 file 2022.07.12 이지원 8818
한국청소년재단, 청소년 기후위기 대응 아이디어 공모전 '슬기로운 지구생활+' 개최 file 2022.05.24 이지원 10517
한국청소년코칭센터, 스터디 코치 브랜드 ‘공신 공부법’ 서비스 론칭 file 2022.06.21 이지원 9087
한국축구의 뿌리, K리그 연간회원! 4 file 2016.02.25 박성현 20952
한국출판학회,'대학생 북바우처 제도' 주제로 출판정책 라운드테이블 개최 file 2022.09.13 이지원 7623
한글이 생일을 맞이했어요! 1 file 2017.10.19 김하늘 14906
한눈에 알아보는 스케줄-스케줄 정리 애플리케이션 수업 시간표 알아보기 file 2022.05.26 조수민 15494
한독수교 140주년 기념 '피카소와 20세기 거장들' 전시 열려 file 2023.05.24 이주하 9060
한려수도의 비경과 예향의 도시, 통영으로 떠나다 file 2017.09.07 송예림 16023
한류가 가져오는 한류 무역 1 file 2022.03.28 강민지 10437
한미장학재단 동부지역 수여식 2016.10.16 조은아 17308
한사랑마을에 따뜻한 손길을... file 2017.05.17 전인하 15578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에서 기업가 정신 캠프 개최 16 file 2016.02.24 황지혜 19957
한양의 으뜸 궁궐, 경복궁 file 2017.04.22 임상희 19577
한옥 체험 리얼리티, 힐링 예능 <윤스테이> file 2021.01.25 권나원 14272
한옥, 과학의 집합체 file 2019.05.03 박성아 19005
한용덕 감독의 한화 이글스... 2018 시즌 반등할 수 있을까? file 2018.04.02 문준형 20047
한의학에 대해 1 2016.04.05 신이진 16683
한의학의 이모저모) 컬러푸드와 음양오행 2016.06.05 신이진 25183
한일 관계 개선의 거름이 되는 한일 청년 교류: JENESYS2021 1 file 2022.03.04 명나디 12573
한일교류회, <82년생 김지영>을 말하다 file 2021.02.19 김연주 133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