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중도유적지와 레고랜드, 무엇이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일까?

by 김성수대학생기자 posted May 20, 2021 Views 1338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977수중에 잠겨있던 고인돌과 청동기 유물들이 춘천 중도에서 발견되었다이후 발굴 작업은 계속되었고유물들이 발굴되기 시작하였다그런데 2011중도를 부지로 레고랜드를 짓기 위한 MOA가 체결되었다이후 고대 유물이 쏟아져 나왔고대한민국은 물론인류 역사에서도 정말 중요한 사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독일 마부란크 대학 고고학과의 루츠 피들러 교수는 중도 유적지에서 발굴된 유물 하나하나가 모두 고도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다고 극찬이와 함께 마추픽추만큼의 고고학적 가치가 있다며 절대 파괴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하지만 사업은 계속 진행이 되었고이 과정에서 많은 유적지가 파괴되는 참사가 일어나고 말았다그리고 현재 2022년 3월경에 레고랜드가 개장될 예정에 있다.


김성수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성수 대학생기자]


2021년 5월 6, 현재 유적 발굴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임이 확인되었고유적 발굴 현장이 있어야 할 곳은 전부 모래로 덮어놓은 상태이다.


KakaoTalk_20210517_171037339_0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성수 대학생기자]


국민청원에도 올라오는 등 활발히 반대 운동이 진행되는 상황이지만대형 집단 여론은 쉽사리 이루어지기 힘든 실정으로 가고 있다.


춘천 레고랜드 관련 사람들의 인식을 소수의 사람들을 상대로 조사를 실시했다조사 기간은 올해 4월 27일부터 5월 16일까지 실시되었으며응답 인원은 63직업은 대학생노동자정당인퇴직 공무원교육자초중고교생방송인 등이다해당 설문에서 질문은 레고랜드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잘 알고 있다면 얼마나 알고 있는지레고랜드 건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중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중단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이를 막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자문을 구하였고주관식 문항에서 많은 분들이 답변을 해주셨다먼저 얼마나 알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의 경우금시초문이라고 응답한 참여자가 33잘 모른다고 응답한 참여자가 19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참여자가 10매우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참여자가 1명으로 레고랜드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사람의 숫자가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또한 건설의 필요성을 묻는 문항에서는 계속 건설을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6,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14명이었으며, 그 외의 응답 1, 모르겠다는 응답은 41, 나머지는 응답을 하지 않았다. 관련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중국의 동북공정을 막기 위해서라도 중단해야 한다”, “유적은 미래세대에게도 중요한 자산이므로 원상복구해야 한다”, “쉽게 찾을 수 있는 유적지가 아니니 공사를 하더래도 이전해야 한다”, “레고랜드 건설은 북한강 상류에서부터 심한 수질오염을 유도할 수 있고, 생태계에도 상당히 악영향을 동반할 우려가 있다” 등의 반대 입장을 보인 응답자가 있던 반면, “중단하지 말고 완공해서 관광지로 만들었으면 좋겠다” 등의 레고랜드에 호의적 입장을 보인 응답자도 있었다레고랜드 건설을 중단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들이 직접 이야기한 중단 방법은 지방자치 기구의 무분별한 사업권에 대한 제약으로 중앙정부 승인권 강화 및 지자체 책임자에 대한 책임소재 확보 및 기왕 진행된 사업은 시행 기간과 규모를 가급적 축소”, “국회 특별법 제정”, “행정감사행정소송국민청원”, “시민들의 투쟁”, “서명” 등으로 공사 중단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춘천 레고랜드 반대 운동을 활발히 하는 분 중 한 분인 김형남 변호사님을 인터뷰해보았다


Q.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를 지키기 위해 정말 많은 활동을 하셨다고 들었습니다유튜브에서 노래하는 변호사 김형남이라는 채널도 운영하고 계시고다양한 사회활동을 하고 계신데요이외에도 자기소개하실 사항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A. 최근에 노회찬 의원 의문사 진상규명 시민 진상조사단 활동을 했고중도 선사 유적 보존 운동을 해왔습니다그리고 최근에는 코로나 사기 반대 시민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Q. 건설이 예정되어 있던 차이나타운의 경우언론 보도도 많이 이루어지고민중의 적극적인 참여로 없던 일이 되었는데레고랜드는 그렇지 못했잖습니까모르는 사람도 매우 많고 현재 공사가 매우 많이 이루어진 상태인데모르는 사람이 많은 이유는 무엇이며차이나타운과의 차이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 차이나타운은 최근에 반중 정서를 반영하여 언론을 통해서 이슈화된 것 같습니다만레고랜드는 유적지 문제잖아요그래서 언론이나 사람들의 관심이 떨어졌다는 부분도 크고요그래서 여론화가 되지 않아 국민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이지요차이나타운은 부동산 문제도 있었고그렇기에 지금 당장 먹고사는 문제와 관련되어 있음으로 이슈화되기 매우 용이한 상황이었죠.


Q. 레고랜드 건설이 거의 완료되어서 열 달 정도 뒤에 완공이 되는데극적으로 건설을 철회하기 위해서 가장 핵심적인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 유적지 위에 장난감 시설은 말이 안 됩니다방법은 지금의 경우 강원도청과 문화재청이 철회하면 되는데계속 밀고 있고그렇다면 시민들이 압박해서 중단하도록 여론을 형성해야 지요국민들에게 많이 알려야 하고그리고 이를 통하여 반대 여론을 높여야 합니다.


Q. 만약 레고랜드가 완공되어서 많은 관광객이 찾을 경우중도 유적을 발굴하기 위해서 발굴을 시작하기는 힘들 것 같은데 완공 이후의 계획은 있으신가요?

A. 사실 완공 후에 철회하도록 하는 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그러므로 완공 전 어떻게든 공사를 중단시켜야 하고완공 이후에도 철거하게끔 운동을 해야 하지요중도는 역사적 가치가 엄청나니 몇 년이 지나도 반대 운동을 해야 합니다.


Q. 레고랜드 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을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A. 사실 이 문제는 깊게 공부해야 하는데간단히 이야기하자면은 사업의 목적은 역사를 지우려는 목적에 있다고 봅니다그렇다면 왜 지우려 하느냐자민족의 우수한 역사를 감추고 싶어 하는 것이죠이 은폐 작업에는 딥스테이트가 배후의 범인이라고 생각해요우수한 역사가 나오면 세상을 지배하기 어려워지므로 세상을 지배하기 위해 우수한 역사를 가진 민족의 역사를 지우려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해주십시오.

A. 국민들이 역사의식이 부족한 것 같아요외국의 경우 상상하기 힘든 일인데국내에서는 버젓이 자행되니 말이에요자기 조상의 무덤이 있는데 파헤치는 나라는 여기밖에 없습니다전 세계 최고 후진국도 이런 행동은 하지 않아요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싫어하는 두 이웃 나라 일본중국만 봐도 이것보다 규모가 작고 역사가 짧은 유적이 있어도 으리으리하게 복원해서 관광지로 만들거든요일본은 중도보다 훨씬 작은 유적도 보존하는데훨씬 크고 오래된 유적지를 파괴하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후손들에게 부끄럽지 않으려면 반드시 남겨줘야 해요중도를 파괴하는 것은 조상에게도후손에게도 부끄러운 짓이니까요.


KakaoTalk_20210517_171037339_0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성수 대학생기자]


이렇듯 레고랜드는 같은 지역에 들어서는 차이나타운 문제와는 다르게 이슈화가 덜 되면서 버젓이 자행되고 있다위의 사진에서 보았듯레고랜드 공사 현장에 나와 있는 “2021년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이 실현됩니다.”라는 말을 다시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은 무엇일까대한민국을 넘어서 세계적으로도 고고학적 가치를 지닌해외의 교수가 마추픽추에 버금가는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이라고 이야기한 유적을 보존하는 것아니면 그 유적이 있는 자리를 덮어버리고 1,500억 가까이 되는 돈으로 테마파크를 건설하는 것무엇이 강원도와 춘천시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무엇이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이 될 수 있을지 우리들이 한번 고민해 봐야 할 때에 직면하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대학생기자 김성수]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2295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7382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96917
경기도 청소년들이 나눔을 체험하는 방법, 희망나눔Festival 2 file 2017.09.19 한채은 13515
금융과 기술의 결합, 로보어드바이저 file 2017.09.25 김나영 13507
넷플릭스 vs 디즈니,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OTT 서비스는? file 2020.10.29 권유경 13503
하노이의 문화를 엿보는 '이색 카페' 1 file 2020.04.08 정진희 13502
2021 P4G 정상 회의, 서울에서 개최된다 file 2021.04.02 김태희 13500
나도 할 수 있다! 글로벌 역사 외교대사 2017.09.05 김나연 13500
NC 다이노스의 창단 첫 정규 시즌 우승! file 2020.10.30 최준우 13497
기억하자 0214 4 2017.02.21 이유정 13495
장애인의 대중교통 어려움, 생각해 봐야 할 문제 file 2021.06.28 남서영 13494
어스아워 2017: 60분동안 불을 끄고, 생명을 켜다. file 2017.03.25 조윤수 13492
궁금하다 2022년 대통령선거, 지방선거 file 2021.10.22 강준서 13486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3474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1 file 2017.02.22 이현중 13470
인도네시아에서 진행된 제4회 통일 골든벨이자, 첫 온라인 골든벨 file 2020.10.27 김민경 13469
외국인 문화 교류 연합 동아리, 'FRIENDS'는 코로나 속 어떻게 대응하나 file 2021.05.27 임유림 13462
모두가 함께 해서 따뜻했던 제2회 성남시 이웃사랑 걷기 캠페인 4 file 2017.05.21 이서은 13460
도쿄올림픽, 안전하게 치러질 수 있을까? file 2021.04.20 풍은지 13453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3438
봄을 여는 강연 file 2017.05.25 정예림 13437
제주를 노랗게 물들인 싱그러운 유채와 함께하는 치유타임 file 2017.03.25 서윤 13434
집에서 즐기는 과학 특별전, ‘랜선으로 떠나요! 5대 국립과학관 VR 특별전시 투어’ file 2021.03.26 김규빈 13430
장난감 '빌려 쓰세요' file 2017.07.24 이세희 13428
아시안게임, 병역 혜택의 기회? 3 file 2018.08.30 김서진 13427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3418
다양하고 새로운 기능을 한눈에 볼 수있는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08.21 백다영 13414
5월 1일, 세계 각국의 근로자를 기념하는 근로자의 날 file 2020.05.08 송윤슬 13407
가장 필요한 용기 file 2017.03.24 김다빈 13405
중국의 식문화와 우리 경제의 영향, 한국을 강타한 '마라' 열풍 file 2021.12.09 권나연 13397
현대와 미래를 한 아름 담은 공간,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file 2020.09.25 이건 13396
10년 차 걸그룹의 화력...음원차트 올킬 3 file 2020.04.20 조기원 13391
드디어 개최된 도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들의 활약? file 2021.07.26 한수진 13389
중도유적지와 레고랜드, 무엇이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일까? file 2021.05.20 김성수 13386
우리가 지켜야 할 그곳! 2 2017.04.08 박지원 13383
봄의 향연 광안리 어방축제 2 file 2017.05.14 양다운 13375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와 미래 file 2020.12.16 전승호 13367
방탄소년단, 빌보드차트 1위 또다시 차지하다 file 2020.10.26 추한영 13356
한일교류회, <82년생 김지영>을 말하다 file 2021.02.19 김연주 13345
봄으로 물든 한국 file 2017.05.25 김수민 13344
'코로나 블루'에서 '코로나 레드'까지 1 file 2020.10.29 전순영 13343
영웅은 어쩌다 역적이 되었나, 해리 케인 훈련 불참 사건의 전말 file 2021.08.26 김승건 13342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가게 file 2019.12.30 남진희 13342
이마트24, 애플 마니아의 성지가 되다 file 2021.03.29 이승우 13340
우리 다함께 편지보내고 간식먹어요! file 2021.04.01 우규현 13334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3332
둘리의 부활? 우리 마을에서 만난 공룡 친구들 file 2017.07.25 이가영 13329
네덜란드 튤립축제 취소, 온라인 투어로 체험 2 file 2020.04.27 김민수 13324
피로에 시달리고 있는 지금, 효율적인 낮잠을 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 file 2020.08.31 김정원 13321
미래를 내다보는 [KITAS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08.17 유나경 133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