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코로나19 백신,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어떻게 다를까?

by 김정희대학생기자 posted Feb 26, 2021 Views 796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19 백신인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럼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둘의 백신은 서로 어떻게 그리고 어떤 점이 다른 것일까?


화이자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정희 대학생기자]

(해당 이미지는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한국병원약사회에 따르면 화이자는 미국과 독일에서 개발된 mRNA 백신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항원 유전자를 mRNA 형태로 주입하여 체내에서 항원 단백질을 생성하는 원리를 이용한 백신이다. 단기간 대량생산이 가능하지만 쉽게 분해될 있기 때문에 콜드체인이 필요하다. 화이자는 2021 2 3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특례수입을 허가받았다. 화이자는 근육주사로 2 투여하는데, 1 투여 0.3mL 투여하고 1 접종 이후 21 후에 2 접종을 시행한다. 희석 전에는 영하 80도에서 영하 60 사이에서 6개월 보관이 가능하고, 영하 8도에서 영상 2 사이에서 5, 영상 25도에서 2시간 보관 가능하다. 희석 보관을 때에는 영상 2도에서 25 사이에서 6시간 보관이 가능하다. 재냉동과 흔들기는 금지된다. 희석 후에는 아주 옅은 황백색의 현탁액의 모습을 나타낸다. 투여 대상은 16 이상이다.


반면에 아스트라제네카는 영국에서 개발된 바이러스 벡터 백신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유전자를 침팬지의 아데노바이러스에 넣어 제조한 백신이다. 2021년 2월 1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받은 아스트라제네카는 화이자와 마찬가지로 근육주사로 2 접종하는데, 1 투여 0.5mL 투여한다. 1 접종 이후 최소 28 후에 2 접종을 시행한다. 영상 2도에서 8 사이에 6개월 보관이 가능하고 화이자는 희석을 해야 하는 반면 아스트라제네카는 희석이 불필요하다. 냉동과 흔들기가 금지된다. 희석 후에는 약간 갈색을 띠는 무색이며, 약간 불투명한 맑은 액체의 모습을 나타낸다. 투여 대상은 18 이상으로, 65 이상 고령자에 대한 사용은 검토가 필요하다.

 

코로나19 백신이 안전하게 사용되어 안전한 예방 접종이 이루어지고, 추후 코로나19에서 벗어나 국민들이 다시 잃어버렸던 일상생활을 되찾을 있기를 고대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2기 대학생기자 김정희]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6456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3253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51825
눈물 흘리며 대회장 떠난 초등생들...부산시교육청 드론대회 '수상자 내정' 의혹 file 2023.11.07 김가빈 7462
방글라데시 여객선 사고 26명 사망 2 file 2021.04.12 이정헌 7483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7505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file 2022.06.07 이지원 7507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7545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혐오 표현...아동 차별에 반대한다 file 2023.07.21 김하은 7545
더불어민주당의 새로운 대표 이낙연, 그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것인가 file 2020.09.04 문해인 7584
정부, ‘위드 코로나’ “9월 말 이후 검토”... 일상 회복의 신호탄 될까 file 2021.08.23 김은수 7610
소수의 권력층에 의해 행해지는 전쟁, 그 참상에 대하여 file 2022.04.01 강도현 7611
계속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떨어지나 2021.12.28 유지훈 7612
방위비협상, 아직도 현재 진행 중 file 2020.04.27 윤영주 7616
경기도지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20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 file 2021.10.15 고대현 7623
대구·경북 신공항 특별법.. 균형 발전을 위해 제정 필요 file 2021.05.04 이승열 7627
제2 벤처붐 분다 file 2022.03.15 류민성 7634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7661
접종률 75% 넘는 일본, 백신 기피로부터 전환 성공하나? file 2021.11.25 안태연 7662
문재인 대통령 임기 중 마지막 유엔 연설 file 2021.09.27 최서윤 7669
가사근로자법안 발의, 환영의 목소리만 있을까 file 2021.05.31 하수민 7671
이란, 이라크 이르빌 향해 미사일 공격 file 2022.03.16 권강준 7672
미얀마 쿠데타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 file 2021.05.24 이수현 7683
탈레반 정권 장악: 아프간 경제 파탄 위기 file 2021.09.24 황호영 7702
대법원, 이기택 대법관 후임 인선 착수, 28일 후보자 추천 시작 file 2021.06.11 김준혁 7722
PK8303의 추락. 이유와 결과 2020.06.10 이혁재 7725
현 러시아 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22.01.11 오유환 7731
새로운 형태의 자산 가치 상승, 현대 사회가 가지는 또 하나의 숙제 file 2021.05.26 한형준 7737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는 어디로 정했나? file 2022.04.26 강준서 7741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7743
산업재해로 멍든 포스코, 포항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1 2021.02.18 서호영 7764
위협받는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의 인권 file 2021.09.03 이가빈 7777
코로나19 시대, 학교는 어떻게 바뀌었나? 1 file 2020.11.25 전혜원 7781
안철수, 서울시장 출마 결심 file 2020.12.28 명수지 7794
곧 국내에서도 시작되는 코로나 예방 접종… 각 백신의 특징은? file 2021.03.02 김민결 7794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도보 이동권 문제, 청년들이 내놓은 개선 방안 공유 file 2022.07.15 이지원 7799
美 보건당국, 실내 '노마스크' 허용 file 2021.05.24 양연우 7824
[기자수첩] '검정 고무신' 작가의 죽음이 사회에 남긴 것 file 2023.04.12 김진원 7836
[공동취재] 기획기사 ③ 꿀잠, 그래서 뭐 하는 곳인데? file 2021.12.27 이유림 7847
가상화폐는 투기적... 주요 인사들의 경고 file 2021.02.26 김민정 7858
[공동취재] 기획기사 ②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 ‘꿀잠’, 재개발 속 부딪히는 이해관계 file 2021.12.27 함지원 7860
대선 전 마지막 TV 토론, 코로나19 대응 관련 주제로 팽팽히 맞선 트럼프-바이든 file 2020.10.27 박수영 7901
美 대통령 트럼프 코로나19 확진... "곧 돌아올 것" 2020.10.14 임이레 7902
[기자수첩] 포토카드 수집 탓에...'미공포' 문화가 부른 환경위기 1 file 2023.12.09 이희원 7912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7913
탕후루, 마라탕 유행에...청소년 건강은 적신호 file 2023.10.05 고민서 7919
HDC현대산업개발 '광주화정아이파크' 전면 재시공 file 2022.05.09 김명현 7942
필리핀 코로나 상황 속 한국 교민들 file 2021.09.14 최윤아 7960
광주도 백신 이송 모의 훈련 진행.. file 2021.02.22 옥혜성 7966
한 달 넘게 이어지는 투쟁, 대우조선 매각 철회 촉구 농성 file 2021.04.13 김성수 7966
코로나19 백신,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어떻게 다를까? file 2021.02.26 김정희 79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