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동해 vs. 일본해" IHO, 동해의 새로운 표기 방법은 이제부터 고유 식별 번호

by 17기장예원기자A posted Dec 15, 2020 Views 1265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동해.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장예원기자]


국제수로기구 'IHO'는 공식 해도집을 개정하며 앞으로는 동해의 공식 명칭을 고유 식별번호, 즉 숫자로만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와 일본 간의 각종 역사적 갈등은 외교전으로 이어져 왔고, 그중 하나가 동해 표기 외교전이다. 30년 전부터 IHO의 공식 해도집에서는 우리가 동해라고 부르는 바다는 '일본해(Sea of Japan)'로 표기되어 왔으며, 일본은 이 사실을 이 동해의 명칭에 대한 "일본해 단독 표기" 주장의 근거로 삼아왔다. 국제수로기구의 공식 해도는 세계 각국에서 바다 이름 표기 시 표준으로 삼는 기준으로, 이번에 IHO의 결정은 우리나라와 일본 간의 동해 표기 외교전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동해 표기 운동의 역사를 살펴본다면, 일제 강점기였던 1929년, IHO 해도 제작 지침서는 '해양과 바다의 경계(S-23)' 초판에 우리나라와 일본 사이에 있는 바다를 '일본해'라는 명칭으로 단독 표기하였으며, 이는 1937년 출판된 2판과 1953년 출판된 3판에서도 그대로 유지되어왔다. 그러다 1997년, 우리나라 정부는 IHO의 제15차 회의에서 일본해 단독 표기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내놓았고, 2002년 제작된 S-23 4판에는 동해 부분이 백지 표기되었으며, "동해 병기냐 일본해 단독 표기냐"에 대한 우리나라와 일본의 갈등이 심화되자 2017년 국제수로기구는 '당사국인 남한과 북한, 그리고 일본은 비공식 협의를 통해 결론을 내라'고 의결했다. 그 결과 남북과 일본은 영국과 미국과 더불어 작년에 비공식 협의를 2차시 개최하였고, 올해 9월 동해를 포함한 바다의 이름을 고유 식별 번호로만 표기하는 것으로 결론을 지었다.


남한과 북한, 일본, 그리고 영국과 미국이 비공식 협의 과정을 통해 만장일치로 승인한 보고서의 내용은 IHO에서 과거부터 사용해온 해도 제작 지침서 S-23은 새로 개정하지 않고, 대신 디지털 시대에 맞는 아날로그가 아닌  디지털 시스템을 토대로 둔 S-130이라는 해도 제작의 새로운 기준을 둔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의 외교 갈등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 결정된 S-130에서의 동해 숫자 표기에 대해서도 우리나라와 일본은 "누가 이겼나"에 대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금까지 정부가 추진해오던 "동해 병기"가 이뤄지지는 않았지만 이번에 결정된 안이 "양국의 입장을 균형 있게 반영한 안이라 평가"하고 있으며, "'일본해 명칭'의 표준적 지위가 격하되었다"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일본 정부는 동해의 숫자 표기 결정에 대해 S-23 상에서는 아직 '일본해'가 단독 표기되어 있다는 사실에 초점을 두었으며, "종이에는 일본해가 남는다"는 발언까지 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7기 장예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6845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3693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55709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 정치권에 새로운 바람 불까? 3 file 2018.01.26 정민승 11805
베르테르 효과와 미디어 file 2018.01.26 정다윤 13954
블랙리스트,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것인가 file 2018.01.29 전세연 10744
브렉시트 투표 후 1년 반, 어디까지 왔나? 2 file 2018.01.29 신유진 10466
왜 그것은 말할 수 없는 비밀이 되었는가? 2 2018.01.29 김민소 9865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file 2018.01.29 서호연 11097
美정부의 무역 정책과 자승자박 2018.01.30 김민우 13372
민주-보수 4당의 정치 구도, 향후 어떻게 전개될까 2 file 2018.01.31 양륜관 13053
아동성범죄 가해자 어디까지 용서받을 수 있나 3 file 2018.02.02 이승현 11487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1031
비트코인, 엇갈리는 평가와 가치 file 2018.02.02 김민우 12638
국민의당 탈당파 민평당, 정의당과 연대? file 2018.02.05 박우진 10402
소년법 개정 (목적은 교화 먼저?/처벌 우선?) 1 file 2018.02.05 정준교 17831
강원도 표준 디자인 교복, 학생들은 '불편' 1 file 2018.02.07 이형섭 28804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 file 2018.02.07 김진 11553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889
자발이 확보하지 못하는 강제성, 어디서 찾을까? 1 file 2018.02.09 김현재 10643
가습기 살균제의 악몽, 액체괴물로 재발하나 2 file 2018.02.14 최수영 11768
고대영 KBS 사장 해임, 다시 국민의 품으로! 2 file 2018.02.19 김영현 10696
설날에도 웃지 못하는 그들, 지진 피해 직격탄을 맞은 경북 포항시 흥해읍 file 2018.02.19 한유성 11757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1593
울산 석유비축시설 지진에 안전한가? file 2018.02.20 오지석 14168
우버와 에어비앤비 더 이상 공유경제가 아니다. file 2018.02.21 김민우 16127
비트코인 사용시 주의할 점 file 2018.02.21 허어진 10883
원전밀집도 세계 1위인 우리나라, 원전사고에는 無기력 1 2018.02.21 이수안 13908
사이버 폐가는 불법 마약 판매상의 놀이터 file 2018.02.21 조승주 11660
개인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 2 file 2018.02.21 신화정 11412
청소년 인권 개선 위해 팔 걷고 나선 학생들 4 file 2018.02.21 변정윤 13217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file 2018.02.22 허나영 11127
의료기기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file 2018.02.22 홍수빈 12200
성범죄자들의 신상공개제도(처벌과, 또 다른 피해자) 1 file 2018.02.22 정준교 16310
법원,'어금니 아빠' 이영학에게 사형선고, "사회에서 영원히 격리" 2 file 2018.02.23 이승민 11542
공연계 '미투 운동' 확산… 오는 25일 관객 집회 열린다 6 file 2018.02.23 신지선 10898
페이스북, 러시아 간섭의 작은 증거 file 2018.02.25 전영은 10519
뒤늦게 알게된 요양원 건설 소식, 주민들의 반발 file 2018.02.26 하태윤 12244
주소지 파악 불가한 정체불명의 ‘대한민국청소년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8.02.26 디지털이슈팀 13729
우리가 얼마나 소중한지, 당신은 알고 있나요? 2 file 2018.02.26 임희선 12708
[단독] 국내 유명 청소년단체 사칭하는 ‘대한민국청소년협회’ SNS서 활개쳐..네티즌 피해 주의해야 file 2018.02.27 디지털이슈팀 26190
다시 불거진 문단 내 성폭력, 문단계도 '미투' file 2018.02.28 신주희 12464
SRF 열병합 발전소 신재생에너지의 빛인가? 어둠인가? 1 file 2018.02.28 이현규 16672
겨울철 끊이지 않는 레저스포츠사고,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8.03.01 강민지 11303
왜 대한민국은 트럼프 대통령에 반감을 가지게 되었는가 2018.03.01 박세준 11344
양심적 병역거부, 인정되어야 할 안건인가? file 2018.03.01 김은서 12045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9904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이제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1 file 2018.03.02 이단규 12270
간호사들의 악습, '태움 문화' 1 file 2018.03.02 김고은 20321
엄지영 연극배우 '오달수 영화배우로부터 성추행 피해' 실명 폭로···· 1 file 2018.03.02 허기범 14000
미투 운동, 누가 진실을 말하고 있는가 file 2018.03.02 이승현 120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