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by 16기전민영기자 posted Dec 10, 2020 Views 939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프랑스, 독일, 스웨덴, 영국 등의 다양한 나라들이 제약 산업에 가격을 규제하고 있다. 약값의 가격이 비싸서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는 상황을 없애고자 하는 국가들의 선택이었지만, 오히려 약값을 통제하는 것이 좋지 않은 영향을 가져온다는 연구 결과 또한 있다. 좋지 않은 이유로는 크게 사회적, 경제적 이유로 볼 수 있다. 


미국 제약 연구원인 켈빈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가격 규제를 시행하는 유럽국가의 국민들이 제약 회사에 대한 가격 규제를 거의 하지 않는 미국의 시민들보다 약을 더 접하기 힘들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미국의 90% 이상의 사람들이 약에 접근할 수 있지만, 독일은 64%, 프랑스는 48%, 캐나다는 46%의 사람들만 가능하다고 한다. 이 나라들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약값을 통제하는 유럽국가들의 시민들이 오히려 약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또한, 제약 회사에 가격을 규제하는 것은 경제적으로도 좋지 않은 결과를 불러온다. 미국 국가 경제연구국에 의하면 가격을 40%에서 50% 낮추는 것은 제약 산업들의 새로운 개발을 30%에서 60% 더 감소시킨다고 발표했다. 


기자단 전민영.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전민영기자]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가 오히려 좋지 않은 영향을 많이 가져올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약에 대한 규제는 필요한 것이기도 하다. 하버드 정치 리뷰의 기자인 미셸은 약값을 감당하기 어려운 저소득층 사람들에 있어서는 약값 규제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또한 미국 의학저널에 의하면 직접적인 약값 규제가 없는 미국에서는 비싼 약값이 저소득층 사람들에게 95%의 채무를 초래한다고 밝혔다. 이와 같이 제약 산업에 규제가 없을 때 발생하는 비싼 약값의 경우는 오히려 국민들에게 힘듦을 가져다줄 수도 있다.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가 어느 정도 측면에서 약값을 더 줄인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분명한 이익 또한 가져다줄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약의 개발 또한 정부가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으로 제약 산업의 약값을 통제하는 정책을 생각해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더불어 국민들이 조금 더 관심을 두고 가격 규제에 대한 의제들에 관해 목소리를 내는 것도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6기 전민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5591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2310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41815
[기자수첩] 데이트폭력이 부른 비극...김포 반려견 유기 사건 1 file 2024.03.13 김진원 5613
[기자수첩] 다시 등장한 범죄자신상 사이트...'사적 심판' 확산 file 2024.05.18 김진원 3264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차별...'케어키즈존'이 필요하다 file 2023.12.31 심이슬 6055
[기자수첩] 광주 중학생들 대낮에 금은방 털어...'촉법소년' 처벌 높여야 file 2023.05.06 김휘진 6493
[기자수첩] 공정위는 왜 통신3사에 과징금 336억원을 부과했을까 file 2023.06.29 김휘진 5446
[기자수첩] SKT 인공지능 '에이닷' 출시에...통신비밀법 해석 이견 file 2023.11.24 김휘진 4924
[기자수첩] AI, 인공지능이 규제되어야 하는 3가지 이유 file 2023.07.26 서예영 11288
[기자수첩] 9호선, 공항철도 직결 합의...인천시민 '기대' file 2023.12.31 박서율 5542
[기자수첩] 8.14 위안부 수요시위는 평화를 외쳤다 2023.10.20 정세윤 5418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혐오 표현...아동 차별에 반대한다 file 2023.07.21 김하은 7527
[기자수첩] '검정 고무신' 작가의 죽음이 사회에 남긴 것 file 2023.04.12 김진원 7822
[기자수첩] "시간 많이 썼는데"...고1 6월 모의고사 문제오류에 수험생들 당혹 file 2023.06.29 정현정 10418
[기자수첩] "공사장에서 부려먹고 학대"...탄현동 헤드록 살인사건의 전말 file 2023.09.16 김진원 7017
[공지]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콘텐츠 업데이트 일자 안내 file 2017.01.06 온라인뉴스팀 16470
[공동취재] 기획기사 ③ 꿀잠, 그래서 뭐 하는 곳인데? file 2021.12.27 이유림 7820
[공동취재] 기획기사 ②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 ‘꿀잠’, 재개발 속 부딪히는 이해관계 file 2021.12.27 함지원 7846
[공동취재] 기획기사 ① 신길 2구역 “재개발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file 2021.12.24 오정우 9686
[PICK] 중국 기업 CEO들의 대거 사퇴.. 중국의 자유시장 위협받다 file 2021.09.02 이성훈 251478
[PICK] 백신 맞으려고 모의고사 접수? 절반이 25세 이상 file 2021.07.20 김해린 92570
[PICK] 독일 연방하원 선거... '혼전' file 2021.06.24 오지원 88011
[PICK] 델타 변이 바이러스, 한명 당 평균 9명에게 전파 file 2021.08.27 김해린 128012
[PICK] 고위공직자 범죄 수사처와 검찰의 연이은 이첩 분쟁, 향후 미래는 file 2021.06.28 김민성 89229
[PICK] 美과 中의 양보없는 줄다리기, 흔들리는 지구촌 file 2021.07.07 한형준 92379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1265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709
[4.7 서울시장 선거] '이분법정치의 패배'...네거티브는 먹히지 않았다 file 2021.04.09 김도원 9866
[3.1절 97주년 기념] 3.1절은 쉬는 날? 1 file 2016.03.25 김미래 17699
UN반기문의 대선출마선언 가능한가?? 7 2017.01.20 한한나 16622
UAE 홈 팬들의 물병 투척, 당당하지 못한 행동 file 2019.01.31 박상은 10736
TV, 혈전으로의 죽음 위험증가 file 2016.07.28 양유나 15450
TOEIC 시험 중 들린 소음 file 2018.10.23 정예은 11218
TIMES와 종이신문의 그림자 4 file 2016.05.25 김초영 22212
SRF 열병합 발전소 신재생에너지의 빛인가? 어둠인가? 1 file 2018.02.28 이현규 16645
SNS상 신조어 사용, 영화 말모이를 통해 돌아보다 3 file 2019.02.01 김수민 23946
SNS는 사람이다 file 2019.11.29 전혜은 15001
SNS가 되어버린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1 file 2018.08.16 지윤솔 10920
SNS 마케팅에 대하여 1 file 2019.02.21 김세진 13270
Snapmaker 2.0 , 킥스타터에서 3D프린터의 틀을 깨다 2019.05.30 박진서 12750
SKY 캐슬, 그리고 우리나라의 현실 2 file 2019.02.26 김성철 16050
SBS, 또 터진 일베논란 3 file 2017.05.22 추연종 16145
S-OIL, 샤힌 프로젝트에 9조원 투자...2026년 6월 완공 file 2023.03.10 디지털이슈팀 6421
Review 2008,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란? file 2018.11.19 이호찬 13911
PK8303의 추락. 이유와 결과 2020.06.10 이혁재 7711
PB상품, 득일까 독일까? 4 file 2017.07.26 서주현 11500
OECD 국가 중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주지 않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 2 file 2018.04.05 김선웅 21846
OCN의 긴급 편성 변경,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 1 file 2019.09.25 정은재 9692
Netflix가 시작한 OTT서비스,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file 2019.12.24 이지현 133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