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당신은 '난민 수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by 17기김하은기자 posted Dec 10, 2020 Views 1358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01115_174032195.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김하은기자]


 당신은 난민에 대해 알고 있는가? 난민의 지위에 관한 국제 협약에서는 난민을 '인종, 종교, 국적 또는 특정 사회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견해 등을 이유로 박해를 받을 우려가 있다는 충분한 근거 있는 공포로 인하여 자신의 국적국 밖에 있는 자로서, 국적국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또는 그러한 공포로 인하여 국적국의 보호를 받는 것을 원하지 아니하는 자'를 의미한다고 정의한다. 그렇다면 우리 사회가 바라보는 난민 수용에 대한 시각은 어떠할까?


 포털사이트에 '난민'이라는 두 글자만 검색해도, 난민 수용 찬성과 난민 수용 반대가 연관검색어로 떠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만큼 '난민 수용'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찬반의 의견이 많이 갈린다는 것이다. 난민 수용에 찬성하는 입장은, 난민 수용을 반대하는 것은 인도주의적 입장에 위배된다는 것과 우리나라도 예기치 못한 일들로 인하여 난민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말한다. 난민 수용에 반대하는 입장은 제도를 악용하는 '가짜 난민'이 있을 수 있다는 점과 난민들에 의해서 일어나는 범죄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한다.


 그렇다면, 찬성의 입장과 반대의 입장의 말들이 전부 사실일까? 우리나라에서 지금 이렇게 평화롭게 살고 있는 것과 같이, 전쟁과 같은 예기치 못한 일이 일어날 확률은 10%도 채 되지 않음으로, 우리나라의 사람들 또한 난민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은 억지스러움이 강하다. 대한민국에서 난민으로 인정받으려면, '난민 인정 신청'을 하고, 허가를 받아야만 난민으로 살 수 있다. 난민 인정 신청은 서면으로 하고, 접수, 면접 및 사실조사, 난민인정심사 결정을 거친 뒤 인정을 받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말만 하면 굉장히 쉽고 간단한 절차 같아 보이지만, 지난 5년간 인정 비율을 보면 5만 4,819명 중, 547명으로 약 0.99%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짜 난민'이 있을 수 있지만, 대한민국은 꼼꼼한 절차를 거쳐서 난민 인정을 하기 때문에, 그 비율은 극소수일 것이다. 국가인권위원회에 따르면, 2017년 기준으로 체류 외국인 수가 작년보다 약 6.4%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외국인 범죄는 전년보다 17.6% 감소했다고 한다. 따라서 난민들이 범죄를 일으키는 것 또한 사실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7기 김하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김성규기자 2020.12.10 21:21
    난민수용으로 야기되는 사회적 문제 때문에 난민 수용은 조금더 고민해보아야하는 문제 인거 같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4742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1209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49939
샤페코엔시, 절망 이겨낸 힘찬 도전 2 file 2017.02.25 노예린 19318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폐지, 그 이유와 앞으로의 서비스 방향은? file 2021.02.26 유채연 19315
시원한 휴식, 남일대 해수욕장에서 어때? file 2017.07.25 공혜은 19309
'유통기한 vs 소비기한'...지구를 위한 현명한 선택은? 1 file 2020.08.27 길서영 19308
옛 전남도청, 5.18민주평화기념관으로 문 열다 1 file 2018.07.30 조햇살 19303
포켓몬스터들의 제 2의 전성기 - 포켓몬go file 2016.07.26 김은형 19303
스미노 요루의 특이한 데뷔작,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2 file 2017.10.17 이나영 19301
이런 시를 아시나요? 1 file 2016.03.20 백소예 19301
문화재청, 경복궁 등 고궁 야간개장 시행한다 9 file 2016.02.23 박정선 19293
<영화 칼럼> 영화 읽어주는 고양이 세 번째 이야기: 레이디 버드 1 file 2018.08.01 남연우 19288
"부모 면접을 시작하겠습니다." 페인트, 이희영 작가를 만나다 3 file 2019.11.27 하늘 19284
'2017 제주 수학 축전' 개최 1 file 2017.10.19 신온유 19277
수원에서 하나된 다문화 가족들!!! file 2016.05.22 박성우 19274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주관, 제2회 전국 청소년모의해킹대회 개최 file 2017.05.24 이정수 19273
독도 체험관, 서울에서 독도를 만나다 file 2016.03.21 이소민 19273
핑크카펫은 과연 임산부의 것일까? 4 file 2017.03.21 임수연 19270
'클래식씨-리즈' 롯데와 삼성이 추억을 되살리다 file 2019.06.17 백휘민 19264
GAIC-MUN의 주인공은 나야 나, 국제세계에 한 발짝 다가가는 모의UN file 2017.08.30 손채영 19256
김해도서관, 1318 필독서 읽기 참가자 모집! file 2017.03.23 한승민 19252
복잡한 사회에 심플한 삶, '미니멀라이프' file 2019.03.28 김현정 19250
청소년들의 신분증, 청소년증 1 file 2017.09.12 이다은 19249
수상한 거리에 나타난 음악가들 file 2019.05.22 김현원 19242
자전거가 타고 싶은 날엔...'피프틴'으로 가자! 4 file 2016.02.25 이상훈 19240
영광을 마신 남자, 배리마셜 file 2017.10.09 김민정 19237
2020 씨밀레, 높은 도약의 첫걸음 file 2020.03.02 조윤혜 19236
스마트폰에 구멍이? 삼성전자의 첫 펀치홀 디스플레이 1 file 2019.02.28 홍창우 19232
안쓰는 물건 팔고, 기부도 하고. 일석이조! 재활용장터, '보물섬' 1 file 2016.03.20 문수연 19228
우리가 아는 일식 정말 개기일식뿐일까 file 2019.06.03 김가영 19227
수학으로 나라를 구하다 file 2018.06.27 노채은 19220
달! 달! 무슨 달! 쟁반같이 둥근 달! 8 file 2016.02.25 조민성 19218
도서관 어디까지 가봤니? 뉴욕 공립 도서관 1 file 2019.02.27 이정연 19212
페르세폴리스 - 이란 소녀의 성장기 2019.08.06 김서연 19210
신림동 입양뜰 바자회 file 2016.12.25 정수민 19210
우리나라 자부심들의 융합, IT와 K-POP의 조화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다 2020.04.29 최유진 19207
세계사, 아는 척 하고 싶다면? file 2018.06.28 박채윤 19205
세상을 바꿀 뇌과학! 세계 뇌주간을 맞아 고려대에서 강연 개최 file 2017.03.19 김도연 19205
'데미안', 한 권의 책으로 진정한 '나'를 찾기 1 file 2018.05.29 황유라 19197
상상의 꿈 나래를 마음껏 펼쳐라! 아무거나 프로젝트 file 2017.08.21 조윤지 19197
BJ감스트가 아닌 K리그 홍보대사 감스트, 그의 효과 2 file 2018.04.03 이건 19185
중앙고의 수학여행으로 알아보는, Vietnam 1 file 2018.11.05 권오현 19181
세계 최대 규모의 영국박물관.. 그 안의 치명적인 그림자 2 file 2017.04.01 이현지 19174
수학, 어디에 숨어있을까? 2 file 2017.05.28 신온유 19166
힐링되는 꽃나들이, 창원 장미축제는 어때? 1 file 2017.05.24 안예현 19163
계속 발전하는 논산시, 그 끝은 어디인가 file 2017.10.10 윤우경 19159
삼척의 큰 자산, 가람영화관 3 file 2017.02.22 정유진 19154
캐나다 작가들과 함께하는 영어 글쓰기 워크숍, "이제 나도 영어로 글을 쓸 수 있어요." file 2016.07.25 김은비 19154
평등한 세상을 위한 도전, 퀴어퍼레이드와 함께 1 file 2019.06.11 원서윤 19150
한국 속의 유럽 2 file 2016.07.25 김태윤 191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