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들어 낸 재앙, 층간 소음

by 18기이수미기자 posted Nov 12, 2020 Views 1318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바이러스가 세상을 휩쓴 마당에 우리들의 주거 단지에서의 층간 소음 문제가 수면위로 떠 오르고 있다. 이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집에만 있는 시간이 늘어나고 외출을 하는 것이 현저히 적은 것이 이유이다. 물론 이것은 아파트나 공용 주택에서 일어나는 일이지 단독 주택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우선 층간 소음이란,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에서 아랫집에 들리는 윗집의 생활 소음을 말하며 벽간 소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IMG_20201025_17482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이수미기자]


이런 층간 소음으로 인해 사람들 간에 불화가 생기고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층간 소음으로 인한 갈등 사례를 알아보자. 


울산에 사는 A 씨 2020년 3월 10일 오후 11시 경남 한 아파트 공동 현관 앞에서 평소 층간 소음 문제로 다툼이 있었던 위층 거주자 B 씨를 불러냈다. 그는 B 씨를 주먹과 발로 여러 차례 때려 상해를 입힌 혐의로 기소됐다. 울산 지방 법원 김경록 판사는 상해 혐의로 기소된 A 씨에게 벌금 200만 원을 선고했다.


끊이지 않는 층간 소음,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무엇일까? 

첫째, 층간 소음 매트 혹은 층간 소음 방지 매트를 집에 설치하는 것이다. 층간 소음 매트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층간 소음을 줄이는 완충재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매트를 설치하면 층간 소음이 발생하여도 층간 소음을 약 60% 저감시켜주는 획기적인 매트이다.


둘째, 정부가 '사후 확인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다. 정부는 아파트 층간 소음을 줄이기 위해 시공 이후에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을 확인하는 ‘사후 확인 제도’를 곧 도입한다.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정확하게 반영되도록 측정 방식도 바꾼다고 한다. 먼저 30가구 이상의 공동 주택에 대해서는 사용 검사 전에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 측정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그리고 국토부는 층간 소음 측정 방식인 타이어를 떨어트리는 방식에서 배구공 크기의 공을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그러한 방식이 일상에서 발생하는 생활 소음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셋째, 우리가 집에 있을 때 각별한 신경을 쓰는 것이다. 집에서 이동할 때 발소리를 작게 내려고 노력하고 늦은 시간에 세탁기, 드라이기 및 전자 기구 사용을 줄이는 것이다. 이것만으로도 층간 소음이 조금은 줄어들 것이다.


층간 소음 문제는 늘 끊이지 않았지만 요즘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서로서로 주의한다면 여러 사건 사고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고 더 평화로울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 나와 더불어 다른 입주민들의 입장도 고려하는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6기 이수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7494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5236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96846
제주 감귤박물관에서 '귤빛 추억'을 만들다 file 2018.10.25 김다연 19812
새로운 팬들의 문화 '쌀 화환 기부' 2 2017.10.09 구다인 19819
조선의 그린벨트, 성저십리 2 file 2017.03.01 최지민 19821
세계 섬유패션산업의 최신 트렌드 한 자리에… '대구국제섬유박람회' 4 file 2016.03.11 이세빈 19825
사람과 환경이 공존하는 착한 건축 26 file 2016.02.17 장서윤 19831
노숙자분들을 위한 쉼터, 바하밥집에서의 봉사 file 2016.09.03 오지은 19835
알프스의 꽃, 만년설이 녹아내리다 5 file 2017.09.14 김정환 19840
응답하라, 전통시장! file 2016.04.16 김나림 19846
1년 365일 자원봉사하기 좋은 날 2 file 2019.03.29 김수현 19846
한국의 빵빵한 지하철 와이파이 과연 일본은? file 2018.04.03 김진영 19854
올해 개봉예정인 영화 '군함도', 日 발끈했다? 13 file 2017.02.09 윤은빈 19856
봄의 시작을 알리는 '2019 진해군항제' 3 file 2019.04.09 백휘민 19860
몇 년은 기다려야 한다면서 계속 뜨는 슈퍼문.. 그 이유는? file 2019.03.18 백광렬 19862
[ 삼일절 ] 그날의 함성을 재현하다 5 file 2016.03.02 황지연 19869
거짓 정보가 점령해가고 있는 인터넷, 이대로 가도 되는가? 2 file 2017.03.17 정혜원 19870
마음의 온도, 언어의 온도 2 2019.07.26 신수민 19874
상주시 청소년참여위원회 '정책제안&활동보고회' 성공적으로 개최 1 file 2016.11.25 김용훈 19877
편견 없는 시선으로 '방탄소년단'을 논하다 2 2018.08.21 김예나 19877
아시아 문화의 메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7 file 2016.03.01 이봉근 19880
전국이 다 암전! 저녁 9시가 되면 다 불을 끄세요 file 2019.09.26 윤다인 19882
수학사 최대의 난제, ‘리만 가설’ 1 file 2017.07.15 정승훈 19885
드라마 '보이스'의 골든타임, 우리의 골든타임 5 file 2017.03.15 최서은 19891
눈부신 발전, 그 뒤편의 아픔을 추억하다…일본 고베 항 지진 피해 메모리얼 파크 1 file 2017.03.02 조지원 19896
FC 바르셀로나의 부활, 그 주역은 메시 아닌 17살 유망주, 안수 파티 file 2020.10.12 김민재 19899
'밀어서 잠금해제' 아닌 초음파로 바로 하자 file 2019.03.27 나어현 19908
국무부 주관 미국 청소년 교환학생 프로그램 'NES-LY'를 통한 대한민국 매력확산 file 2019.06.04 공지현 19908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9909
스트레스에 관한 간단한 고찰 file 2017.04.29 이영혁 19916
I Marymond You;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움직임 3 file 2017.03.05 김가빈 19917
미래 과학기술을 이끌 연구의 장, 제64회 전국과학전람회 file 2018.09.05 신온유 19946
'2018 창의융합형 인문학기행' 역사교류단, 성장 캠프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 file 2018.08.30 김혜신 19948
여성혐오적 의미가 담긴 유행어는 성희롱입니다. 3 file 2018.03.01 홍예림 19955
나무 뿌리의 습격 1 file 2017.02.28 최지민 19959
어서와, 펜팔은 처음이지? file 2016.05.24 김은진 19966
도시별 버스 요금 인상 2 file 2018.06.01 허찬욱 19979
[베스트셀러 추천 도서] 국내 베스트셀러 1위, ‘돌이킬 수 없는 약속’ 2 file 2018.10.26 정하현 19982
[클래식 음악 소개] 쇼팽 3 file 2017.09.18 김기현 19987
화려한 막을 내린 도깨비 18 file 2017.01.25 옥승영 19988
청소년 댄스 밴드 경연대회 PUNK&DREAM! 1 2017.06.14 조성민 19990
알고가면 더 재미있는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 그 속으로 떠나보자! file 2016.07.25 신수빈 19991
소프트웨어의 시대가 열리다! 아두이노와 앱인벤터를 이용하는 사람들 file 2017.08.09 박서영 19997
어린이 화장품 출시, 과연 옳은 일인가? 16 file 2017.01.23 안수현 20003
정보화시대, 암호의 중요성 file 2017.06.06 정다소 20007
차근차근 알아보는 2017년의 IT 트렌드 file 2017.09.13 한동엽 20016
호국보훈의 달, 진해 근대사 거리를 걷다 1 file 2018.06.08 이승원 20016
일하는 청년통장, 한 달에 10만 원을 모아 3년 안에 1000만 원으로! 1 file 2017.11.28 오경서 20019
교육, 뭐시 중헌디? (교육 받을 권리 고려해봐야.) 1 file 2016.08.01 오성용 20028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일까? 1 2017.03.21 박소연 200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