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영국의 코로나 거리두기 3단계 선포, 과연 우리나라와는 어떻게 다를까?

by 16기염보라기자 posted Nov 05, 2020 Views 1663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달, 영국의 총리인 보리스 존슨이 영국의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하여 영국 내에 락다운 (Lockdown)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를 시행할 것을 선포하였다.


현재 영국의 일일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수는 10월 25일 14시 (국내 시간) 기준으로 23,000명을 넘긴 상태이다. 또한 영국의 총확진자 수는 883,116명으로 집계되었다.


영국의 락다운 제재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개념으로, 이 락다운 제재 3단계는 현재 영국 내에서도 특히나 바이러스 확산이 활발한 일정 지역에서 먼저 시작된다. 락다운 제재 3단계에 포함된 지역으로는 리버풀, 노즐리 등이 있고, 정확한 락다운 제재 3단계는 영국 현지 시각으로 10월 28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한다. 또한 영국 정부는 순차적으로 다른 지역 또한 락다운 제제 3단계에 포함 시킬 것이라는 의사를 밝혔는데, 웨스트 요크셔와 노팅엄셔 주 등 여러 지역에서 현재 논의를 거치고 있는 상태라고 한다.


염보라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염보라기자]


그럼 과연 영국의 락다운 제재 3단계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와 얼마나 다를까?


프레젠테이션 5.001.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염보라기자]


먼저 영국과 우리나라의 결혼식 등 모임, 행사와 관련된 사항을 살펴보면, 영국은 락다운 제재 3단계 진입 시 인원수와 상관없이 모임 자체를 금지한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모임, 집회 등은 10인 이상 모이는 것을 금지한다. 또한 영국의 락다운 제재 3단계에서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조항도 있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개인 주택 정원에서의 모임 금지, 타지역에서의 장거리 이동 자제, 그리고 락다운 제재 3단계가 발령된 지역에 사는 주민은 다른 지역에서의 1박 이상 금지 등이 있었다.


이러한 영국 내 락다운 제재 3단계 사항들은 영국의 지역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의 지역에서 고위험 다중이용시설을 폐쇄하고 학교 등 공공시설을 폐쇄하는 것은 동일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6기 염보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6기전민영기자 2020.11.05 18:52
    모든 국가들이 최선으로 코로나 감염 예방을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18기김성희기자 2020.11.15 15:32
    우리나라와 다중이용시설 폐쇄 등 공통점과 정원모임이나 장거리 이동이 금지된다는 차이점들이 있네요! 기사 감사합니다.
  • ?
    16기김태은기자 2020.11.23 00:07
    나라마다 또 거리두기를 하는 방식이 다르군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8625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5661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70928
광주 학동 참사에 이은 화정아이파크의 붕괴... 건설사 HDC현대산업개발은? file 2022.01.24 김명현 14234
광복절은 영화만 보는 날? 4 file 2017.08.22 성유진 11328
광복절, 현충원에 가다 file 2017.08.25 이기혁 10809
광복절 특사, 국민 대통합? 이젠 국민 취급도 안하나? 4 file 2016.08.15 오성용 15338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8376
광복을 꿈꾸고 조국을 그리던 시인, 윤동주 3 file 2017.08.16 장서윤 12009
광명고등학교 학생 10명 중 7명, "소년법 개정 필요하다" 2 file 2019.01.14 류주희 13953
관심 대상의 창원시 성산구 보궐선거 file 2019.04.01 김현우 10698
관광객 인기 일본의 APA 호텔, 위안부 부정 극우 서적 비치 논란 3 file 2017.01.20 정유리 18690
과학, 왜 어렵게 느껴질까? file 2019.05.31 박현준 11350
과자양이 갑자기 줄었다...슈링크, 스킴플레이션 현상 file 2023.12.30 박채원 4355
과자 포장속 빈공간 비율이 약 83%? 과대포장 문제가 심각하다! 7 file 2016.05.29 신수빈 22981
과열되는 거주민들의 분노, 이러다 주민 없는 유령도시 된다… 관광산업의 그늘 file 2017.08.25 신유진 15964
과연 한반도의 봄은 다가올 것인가? file 2018.03.27 이지훈 11785
과연 초콜릿은 달콤하기만 할까? 4 file 2017.10.30 임수연 11865
과연 우리가 사는 곳은 보안이 잘 지켜지고 있을까? file 2019.07.15 신여진 12922
과연 본인 돈으로는 본인 표만을 사면 안 되는 것일까? file 2019.11.14 조서윤 10894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7090
공포에 떠는 우리 곁의 야옹이들 file 2018.07.10 이승현 10142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8531
공정한 취업의 신호탄, 블라인드제 1 file 2017.06.25 황현지 12135
공정무역의 가면을 쓴 불공정 무역 4 file 2016.09.25 노태인 55878
공익과 사익의 충돌_이해관계충돌방지법 file 2020.05.04 임효주 21174
공영방송의 정상화는 필요할까? 4 file 2017.02.20 이희원 16715
공영방송, 이대로 괜찮은가? 6 2017.08.22 손다빈 11815
공연계 '미투 운동' 확산… 오는 25일 관객 집회 열린다 6 file 2018.02.23 신지선 10920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814
공병보증금 인상으로 소비자권리 되찾아 주겠다더니, 술값만 인상? 1 2017.03.28 정지원 14239
공동주택 거주민들을 떨게하는 무시무시한 그 이름 "층간소음" 10 file 2017.02.21 류서윤 17103
공기업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청원, 하루 사이 20만 돌파 file 2020.06.29 박채니 9418
공급망 병목현상에 이어 전력난, 요소수 부족까지… 국내기업 “긴장” file 2021.11.10 윤초원 9417
공급 차질로 빚어진 불확실한 접종 시기.. 재조정 들어갈까? file 2021.08.26 백정훈 10638
공공의대 설립, 정부와 의사 간의 팽팽한 논쟁, 그 승자는? file 2020.09.21 김가은 13768
공공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영상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12.04 디지털이슈팀 19944
골목 상권 보호를 위한 정책은? file 2017.10.20 김도연 11739
골머리 앓는 대학생 주택문제, 관련 복지 늘려야 file 2017.02.24 최성경 15942
골든글러브, 끊임없는 인기투표 논란 file 2018.01.08 김나림 13891
곧 국내에서도 시작되는 코로나 예방 접종… 각 백신의 특징은? file 2021.03.02 김민결 7818
고조되는 美中 갈등, 어디까지인가? 2020.09.16 김나희 8428
고용없는 경제가 될 것인가 1 file 2018.12.17 박정언 9603
고용노동부 상담원 파업 "우리에게도 월급을 달라" 1 file 2017.07.26 김도연 13569
고양시 어린이, 청소년 공모사업 심의 현장 file 2015.03.02 서다예 24581
고속버스 시내버스…. 심지어 통학 버스도 음주운전 기승 6 file 2016.03.26 최희수 17230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9465
고대영 KBS 사장 해임, 다시 국민의 품으로! 2 file 2018.02.19 김영현 10729
고교 학점제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의 첫걸음이 될 수 있을까? 1 file 2017.08.21 김유진 11170
고3 학생들과 함께한 이번 선거 file 2020.05.04 손혜빈 8770
고1 당원 배지, 고3 금배지 다는 시대가 다가온다 file 2022.01.24 강준서 102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