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온라인 클래스 온클, 의무이지만 학교의 인강화는 우려

by 18기문서현기자 posted Oct 20, 2020 Views 195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했다. 모든 국민은 교육의 의무를 갖고 있다. 이 상황에서 현장 등교의 대책으로 마련된 온라인 클래스. 과연 문제는 없을까? 지금부터 온라인 클래스를 듣고 있는 한 고등학생 김세영 학생을 통해 온라인 클래스의 문제점을 알아봤다.


온라인 클래스는 다음과 같이 운영된다(김 학생 재학 중인 학교 기준). 교사가 구글 클래스룸에 수업 동영상과 과제를 업로드한다. 학생이 수업 동영상을 듣고 과제를 제출하면 한 수업이 마무리된다. 이 과정은 학생 가정에서 이루어진다.


세영 온클.jpg

▲온라인 클래스를 듣는 김세영 학생

[이미지 제공=김세영,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첫 번째, 유혹에 흔들리기 쉽다. 집에는 게임기, TV, 침대 등 학교에는 없는 공부를 방해하는 요소들이 많다. 게다가, 학생들이 유혹에 흔들리는 걸 막아줄 사람도 없으니 더욱 유혹과의 싸움이 어려워진다. 이에 대해 김세영 학생은 "확실히 더 나태해졌어요. 저번에는 쉬는 시간에 자고 못 일어나서 과제를 놓친 적도 있어요."라고 말했다.

두 번째, 교우관계를 배울 수 없다. 우리는 학교에서 학문과 교우관계를 배운다. 온클(온라인 클래스)로 학문은 배울 수 있겠지만 교우관계를 배우기에는 무리이다. "이러면 학교가 인강(인터넷 강의)과 다를 게 뭔가."라고 김세영 학생은 전했다.


이처럼 온라인 클래스의 문제점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온라인 클래스에 반대할 수는 없다. 현장 등교를 했더라면 코로나19가 더 확산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기에 온라인 클래스를 하는 건 필연적인 일이다. 코로나19가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끝나고 평소처럼 수학여행도 가고 수업도 편하게 듣는 세상이 오기를 바란다. 그 세상이 우리 곁으로 오기 위해서는 모두가 방역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6기 문서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김자영기자 2020.10.26 23:05
    정말 온라인 클래스 문제가 많은 것 같아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16기염채윤기자 2020.11.12 00:19
    문제점을 깔끔하게 정리하셨네요! 빨리 코로나19가 사라지길..ㅜㅜ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6514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3901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83066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2’ 참여 프로그램 사전 접수 진행 file 2022.09.02 이지원 8516
‘평화 통일을 향한 당신의 디자인은?’… 지속가능한 남북개발협력을 위한 통일스케치북 file 2021.10.01 한승범 16268
‘한·아세안 미래지향적 청소년교류’ 한국 및 아세안 대표 100여 명 참가 속에 5일 개막 2 file 2015.02.10 온라인뉴스팀 27912
‘한국 문학의 영원한 거장’ 박완서 작가 타계 10주기 산문집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 file 2021.02.26 김민주 14467
“4인 4색 기후위기 SF 소설” 푸른숲주니어, '일인용캡슐' 신간 출간 file 2021.07.15 디지털이슈팀 14203
“60~74세 어르신들 코로나19 백신 예약하세요” file 2021.05.06 김태림 11424
“7월 1일부터 대전~오송 급행 버스 현금 승차 안돼” file 2021.07.05 김태림 10722
“RISE”, 워싱턴 대학에서 개최한 설날 축제 2 file 2017.02.20 이민정 16292
“your name.” ? Romance, Wish and Culture 6 file 2017.01.22 하은지 18884
“기아 에코다이나믹스 원정대 7기” 해외캠프 실시 4 file 2017.02.03 이태양 22478
“꽃보다 아름다운 할머니, 사랑합니다.” 나눔의 집에서 효 잔치 열려 2017.05.07 정예빈 17292
“나도 성악가” 부천 소사에서 펼쳐지는 가곡교실 4 file 2017.02.16 김준희 17188
“누구나 한 번쯤 소문의 주인공된다” 푸른숲주니어, '소문의 주인공' 신간 출간 file 2021.01.04 디지털이슈팀 14645
“다시, 새콤달콤한 설렘을 이어가요” 2022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 개막 file 2022.12.02 이지원 8258
“담쟁이가 그린 세상”에 가다 1 file 2017.12.04 오태윤 16747
“당신이 읽는 순간 세상이 바뀝니다”, 1석 2조의 따뜻한 잡지 <빅이슈> 7 file 2016.02.22 김지윤 18416
“뭐라도 해야지 바뀌지 않겠습니까” ‘D.P.’의 흥행과 그 이야기 file 2021.09.08 이정훈 16497
“아임 파인 땡큐 앤 유?” 영어가 배우고 싶은 도깨비 할매, <아이 캔 스피크> file 2017.11.09 박세진 21815
“양극화 사회에 전하는 공감과 소통” 푸른숲주니어, '네가 속한 세계' 신간 출간 file 2021.01.11 디지털이슈팀 15660
“어른이 되는 게 무서워요” …… 현실이란 틀 안에 갇혀버린 학생들 2 file 2017.03.25 김다희 19002
“웃음과 함께,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 ? 광명시 ‘나름데이’ 행사 1 file 2016.04.25 양소정 14683
“이게 한국?”...내셔널지오그래픽에 한국인들이 뿔난 이유 file 2021.07.27 박지훈 138811
“이번 설은 집에서 영상통화 무료로 즐기세요!” 1 file 2021.02.15 김태림 14104
“이제 당신도 날아다니는 겁니다“, 전격 비행 시대가 다가온다 1 file 2021.09.27 허민영 12569
“입는 과학”… 웨어러블 기기의 시대 2 file 2017.02.17 임수빈 15543
“장난감은 언제나 현실의 또 다른 모습이다”, 신비한 장난감 가게 : 작은 것들의 큰 이야기 file 2022.01.24 김진영 11405
“저희는 승리하길 원할 뿐입니다” 글로벌기업 나이키(NIKE)가 세계에서 승리하는 방법 file 2022.06.04 염지원 12806
“전자담배 광고인 줄”... 보건복지부 ‘노담’ 광고에 여론은 ‘싸늘’ file 2021.01.25 박지훈 22540
“지구야 ESG마, 우리가 ESG게” 성동청소년센터, 청소년 주도 ESG 활동 성료 file 2022.11.04 이지원 8480
“추석도 다가오는데...” 여전히 높은 계란값, 정부는 낮출 수 있나 file 2021.08.26 최우석 13624
“폭염∙자외선 지수 이젠 날씨 알림이 앱에서 확인하세요!” file 2021.06.16 김태림 10904
“화폐 없는 나라” 디지털 사회 속에서 구현되나 file 2017.03.20 김다영 14089
〈the Issue: 시대를 관통하는 현대카드 라이브러리 Magazine Collection〉, 매거진으로 시대를 보여주다 file 2021.04.26 권가현 13276
「스마트 디바이스 쇼」 그 뜨겁던 현장 속으로... file 2017.08.31 신민주 14990
『제1회 장애인편의증진대회』 광화문 광장에서 열려 5 file 2017.09.05 유진주 15294
『제2회 환경을 생각하는 과학/공학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 발표 file 2019.12.30 고서영 18232
北과의 화해의 길?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1 file 2018.02.21 김예준 17458
情을 담은 정다운 청소년 자원봉사프로그램 file 2019.07.29 문유정 16413
故 최덕수 열사 29주기 정신계승 정읍시민문화제 1 file 2017.05.21 이시온 15506
美 캘리포니아, 자율 주행 무인자동차 '누로'의 상용 운전 첫 허가 file 2021.01.04 공성빈 14844
英 코벤트리대, 전설적인 음악가 ‘델리아 더비셔’ 개관 file 2023.01.16 디지털이슈팀 8259
詩끌벅적한 문학축제 제29회 지용제 열려 file 2016.05.22 곽도연 14478
軍과 함께하는 '2017 원주 다이내믹 댄싱카니발' 개막 1 2017.10.09 김혜원 21882
가까운 곳으로 여행을 떠나고 싶다면 부산시민공원으로! file 2018.07.24 최아령 14624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의 아름다운 오사카를 여행한다면? 5 file 2019.02.15 이채린 20944
가깝고도 먼나라 일본으로 4 file 2017.03.29 고아연 16029
가깝지만 가까워질 수 없는 존재, 가공식품 1 file 2020.11.30 김나래 13201
가나, 우주 경쟁에 뛰어들다! 2 file 2017.08.07 한동엽 172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