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새로운 정상과 청소년 활동 주의에 대해서

by 18기김태환기자 posted Sep 29, 2020 Views 129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유엔에 따르면 우리는 10~24세 사이의 약 18억 명의 인구를 가진 역사상 가장 많은 젊은 세대가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에 힘입어 이들 젊은이들은 유례없는 방법으로 서로 연결되어 사회정치적 진보를 추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밀레니얼 세대는 청소년들이 가진 연계를 통해 총 169개의 목표를 가지고 2015년에 “SDG 17”의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목표를 위한 동반자 관계'로 명명된 이 목표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행 수단을 강화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청소년, 청년 활동을 진취적으로 이끌어가고 있다. 


청소년 활동 주의란 무엇인가? 유엔에 따르면, "15세에서 24세 사이의 사람들이 사회 변화를 위해 조직하는 공동체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한다. 현재, 많은 나라는 청소년을 잠재적인 지도자로 보고 있다. 청소년 행동주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행동주의 개념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활동 주의는 종종 "사회에 사회-정치적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욕구적 행동"으로 정의된다. 새롭게 설립된 NGO나 캠페인, 웹사이트 등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면서 청소년들을 더욱 비판적으로 만드는 것이 청소년 활동 주의 필수적이다. 게다가, 이것은 어른들에게 다른 관점을 제공한다. 젊은이들은 어른이나 정치인들에게 새로운 비전이나 신기술 활용 사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그들의 리더십 능력도 높일 수 있다. 미래의 잠재적 리더가 되기 위해 성공적으로 준비하기 위해서는 리더십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COVID-19 대유행 중에 청소년 활동 주의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2030년 안건 53항은 '인류와 우리 행성의 미래는 미래 세대에 횃불을 물려줄 오늘날의 젊은 세대의 손에 달려 있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청년의 참여가 인류가 보다 이상적인 세상을 만들기 위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열쇠임을 시사한다. 그런 점을 염두에 두고, COVID-19 대유행 기간 동안 젊은이들이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도전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몇 가지 행동들이 있다.


photo_2020-09-29_06-58-2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김태환기자]


첫째, 젊은이들이 기술, 소셜 미디어 및 기타 유사한 플랫폼을 사용하는 데 가장 능숙하기 때문에 유용한 정보에 대한 지식을 어디에서나 모든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 당신은 이러한 플랫폼의 동료들에게 영향을 주고 그들이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 

둘째, 국제기구가 주최하는 각종 논술 대회나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다. UNRCA가 '중앙아시아 청년 목소리 - UN75와 지역 평화와 안보'라는 주제로 7월에 개최한 에세이 콘테스트가 그 예일 것이다. 이러한 대회의 우승자들은 일반적으로 영향력 있는 지도자들과의 청소년 대화에 참여할 기회를 얻게 되므로, 청소년들이 배울 좋은 기회일 뿐만 아니라 실제 정책 입안에도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청소년들은 그들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NGO나 청소년 단체를 만들 수 있다. 실제로 자신만의 NGO를 만드는 것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여러분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몇몇 NGO에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년들은 활동적일 뿐만 아니라 사회 정치적인 관심을 표현하기 위해 'Online Model United Nation(OMUN)'에 참여할 수 있다. OMUN은 청소년들에 의해 기능하고 있는 조직이다. 비록 이 기구가 청소년들에 의해 설립되지는 않았지만, 그것은 여전히 청소년 활동 주의의 일부라고 여겨질 수 있다. 이것을 더 넓은 맥락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청소년 행동주의는 어떤 종류의 청소년 행동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들은 사소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를 달성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확실히 더 낫다. 이것이 우리의 미래고, 따라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도 우리의 의무일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6기 김태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6039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3165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75284
새로운 재활용 방법 '업사이클링'의 등장 file 2017.03.18 4기기자전하은 16448
새로운 전략만이 살아 남는다 file 2016.05.24 박지윤 16379
새로운 정상과 청소년 활동 주의에 대해서 file 2020.09.29 김태환 12914
새로운 콘텐츠,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알아보다! 1부 file 2017.05.27 윤혁종 16555
새로운 팬덤 문화의 시작, '아미피디아' 4 file 2019.04.03 김여진 22141
새로운 팬덤문화의 열풍 2 file 2017.04.24 윤선애 14690
새로운 팬들의 문화 '쌀 화환 기부' 2 2017.10.09 구다인 19775
새로운 혁명의 시작? 1 file 2018.02.19 김동희 14482
새로운 혁신 도전, 아이폰8 vs 혁신보단 안정성, 갤럭시 노트 8 2017.10.11 이지윤 14662
새로운 환경운동을 위하여,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7.05.23 이다빈 26043
새로운 휴식쉼터-만화카페의 등장 5 file 2016.07.22 김나림 16780
새롭게 떠오르는 흑린, 세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1 file 2017.02.25 이유림 16713
새롭게 떠오르는 힐링공간, 만화카페 6 2017.03.23 이지현 16080
새롭게 태어난 공중전화 박스,이젠 시민의 안전지킴이 7 file 2016.02.24 김영현 23305
새콤하고 달콤한 딸기 향으로 가득 찬 2018 논산 딸기 축제 file 2018.04.17 고동호 15687
새학기 교복을 저렴하게 구입하자! 1 file 2017.02.24 윤하림 13600
새학기 시작,해돋이 명소 강원도로 떠나요! file 2016.08.25 김은비 18482
새학기 증후군, 규칙적인 생활습관으로 극복하자! 2 file 2017.03.29 김수연 14349
새학기가 시작된 지금, 학생들을 떨게하는 새학기 증후군 극복하기! file 2017.03.12 이세영 14358
새해에는 여기지! 3 file 2015.03.13 한지홍 23366
색다른 경험이 기다리고 있는 부여 '기와마을'로 떠나자 1 file 2018.08.08 전예진 14921
색다른 서울 근현대사 탐방하기 file 2019.07.25 최민주 17249
샘표, 서울시50플러스재단과 ‘즐거운 남자들의 요리혁명’ 쿠킹클래스 개최 file 2022.10.26 이지원 9563
생각이 떠다니는 곳, 카페 ‘생각구름’ 대표 최정진 시인을 만나다 file 2016.06.24 유성훈 20040
생동감 넘치는 작품...뮤지엄웨이브서 '팝 스트리트 66' 열려 file 2024.03.28 심지용 5258
생명 보험, 제대로 알고 가입하자 6 file 2016.02.26 조수민 17659
생명 사랑 밤길걷기-당신이 실천하는 자살예방캠페인 1 file 2017.10.12 안수빈 18558
생명과 태양의 땅 충청북도에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으로 세계를 노래하다·· file 2018.01.08 허기범 16180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청소년 자살 예방 위한 ‘다 들어줄 개’ 캠페인 실시 file 2017.12.13 디지털이슈팀 16148
생명보험재단, 11월 워크숍 ‘커뮤니티 기획법’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file 2022.10.24 이지원 8470
생명보험재단, 12월 워크숍 프로그램 ‘감정 글쓰기’ 참여자 모집 file 2022.11.22 이지원 15922
생명보험재단, 호킹졸업식 지원…희귀질환 학생들 위한 행사 '눈길' file 2019.02.26 디지털이슈팀 14004
생명사랑 밤길걷기, 함께하실래요? 1 2017.09.20 오다영 15674
생명을 구하는 나눔 히어로즈, 지금 동참하세요! file 2017.09.08 오경서 19426
생명을 살리는 치안드론 file 2018.11.05 손준서 13927
생명을 위한 관심, 헌혈이 필요한 시기 file 2022.01.27 임나연 12339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갯벌 속으로 ‘2019 고창갯벌축제’ file 2019.06.25 조햇살 22022
생명존중 뮤지컬 ‘나는나비’ 공연을 보고 file 2023.06.05 박준하 7232
생명존중을 전달한 뮤지컬 '나는나비' file 2023.06.29 변수빈 6834
생물 다양성의 달 5월, 생물다양성협약을 다시 생각하다 file 2017.05.24 노태인 14034
생수조차 의심해야 하는 시대 2 file 2017.10.09 문영진 15001
생애주기에 따른 재무설계 - 40대와 50대 file 2017.10.25 박나린 19407
생태교란종 "붉은귀거북" 무더기 발견 file 2020.05.11 김은준 17153
생활 변화의 주범, 코로나 file 2020.10.05 김준희 14501
생활 브랜드 그릿메이드, 식물성 성분 담은 치약 출시 file 2023.08.22 조영채 7100
생활 속에 존재하는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세상을 밝힌다 1 file 2016.06.24 안성주 16113
샤오미, 3월 27일 신제품 라인업 다수 발표 1 2020.04.01 김정환 25865
샤페코엔시, 절망 이겨낸 힘찬 도전 2 file 2017.02.25 노예린 193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