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해양 쓰레기 증가, 바다도 아프다

by 18기이수미기자 posted Sep 28, 2020 Views 1019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시원하고 청량한 느낌이 드는 그곳, 바로 바다이다. 바다는 우리가 지친 일상 속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풀어 주며 마음의 위로를 선사하는 장소이다. 그러나 계속해서 쌓이는 해양 쓰레기로 바다의 생명체들이 서서히 죽어가고 있다. 해양 쓰레기란 바다 표면과 바닷속에 존재하는 쓰레기로, 인간이 만들어 낸 쓰레기가 고의 또는 부주의로 해안에 방치되거나 유입, 배출되어 해양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고형물로써 재질과 종류, 기존 용도를 불문한다. 물에 뜨는 쓰레기는 조류를 타고 해변에 쓸려와 쌓이는데, 이를 따로 해안 쓰레기라 일컫는다. 이로 인해 바다 한가운데에 쓰레기 섬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연간 해양 쓰레기 발생량은 145,258톤으로 육상 기인은 94,814톤이고, 해상 기인은 50,444톤이 된다. 하천을 통해서 들어오는 쓰레기가 12만 톤, 바다에서 생성되는 쓰레기가 6만 톤으로 매년 18만 톤 정도가 바다로 유입된다


IMG_20200925_204501.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이수미기자]


그중 플라스틱 쓰레기는 126천 톤이다. 이는 해안 쓰레기 중에 플라스틱 쓰레기가 90% 정도 존재하는 셈이라고 할 수 있다. 플라스틱은 편리성, 보존성이 용이해 많은 이들이 사용하는데 다시 순환되지 않기에 큰 문제를 초래한다.


중국은 연간 882만 톤의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여 전 세계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나라 1위로 뽑힌다. 2위는 인도네시아, 3위는 필리핀, 4위는 베트남이다. 플라스틱 쓰레기는 자외선이나 풍화에 의해 5mm 이하의 작은 입자 조각으로 쪼개져 해파리 유생들이 영양분으로 먹으면서 자라 해파리의 급증을 이끌고, 해양 동물들에게 DNA 손상, 생식 이상 등을 일으킨다. 플라스틱 조각은 조개, 불가사리 등의 갑각류와 어패류의 몸속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그것들을 섭취한 사람들은 연간 10만 개 이상의 플라스틱 조각이 체내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축적된 플라스틱 조각은 인간에게 악영향을 끼친다.


해양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빨대 사용을 줄이거나 샴푸, 치약 등을 덜 사용하고, 일회용 제품의 사용을 줄이는 것이 해양 쓰레기 감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6기 이수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5862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2612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44767
필리핀 네티즌, 한국을 취소하다? 1 file 2020.09.15 황현서 10327
김치가 중국에서 만든 거라고? 1 file 2020.12.30 김자영 10326
홍준표 정부·여당과 합의한 의료계에 "합의된 안의 지켜지지 않을 때 투쟁을 해도 늦지 않다" 3 file 2020.09.09 최성민 10315
111년만의 기록적인 폭염,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2 file 2018.08.21 박상정 10310
같은 약인데도 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약값만 천만원...보험 급여 확대 호소한 국민청원 file 2019.03.04 나하연 10306
인공 신경망에 관한 거대한 프로젝트 file 2020.03.13 박지환 10304
누진세 완화 정책 발표, 전기료 부담 줄일 수 있을까? 2018.08.20 김원준 10296
도넘은 야당의 발목잡기 file 2017.06.25 손수정 10286
선거인단, 그게 무엇일까? 2 file 2020.11.19 김나희 10284
일상 속의 과학기술, 한국의 코로나19 진단키트 속에? 2 file 2020.04.22 서수민 10280
IT 기술의 발달과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 file 2021.01.27 류현우 10270
2017 김학순 다시 태어나 외치다 file 2017.08.29 정가원 10265
보톡스-독을 치료로, 치료를 미용으로 4 file 2018.08.24 여다은 10260
'회복되는 남북관계'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 2018.04.04 마준서 10258
일본과의 전쟁 그에 맞선 대한민국 file 2019.09.25 박채리 10251
계속되는 제주 난민수용 갈등, 어느것이 옳은 선택? 2018.07.26 고유진 10242
코로나 상황 속에서 등교 수업 1 file 2020.07.13 손혜빈 10240
올림픽인가 실험인가 2 2019.09.30 이지환 10223
최악의 폭염, 얼마 남지 않은 골든타임 1 file 2019.01.29 김사랑 10221
치솟는 부동산 가격, 9.13 부동산 대책으로 잡나? file 2018.09.18 허재영 10211
재건축 규제 완화 공약...강남 집값 상승 전환 file 2022.03.28 송경원 10210
북한의 연이은 도발 1 2019.08.26 윤대호 10208
‘이슬람포비아’에 잡아 먹힐 건가, ‘이슬람포비아’를 뛰어넘을 것인가? file 2018.09.28 이혜림 10208
'5·18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역사'··· 거리로 나온 시민들 file 2019.03.04 김사랑 10200
해양 쓰레기 증가, 바다도 아프다 2020.09.28 이수미 10196
시진핑, 장기집권의 길을 열다: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3번째 '역사결의' file 2021.11.22 황호영 10195
美, 웜비어 씨 사망 한 달 만 "북한 여행 전면 금지" 결정해 1 file 2017.07.24 이윤희 10194
10대 청소년, “우리를 위한 정책은 어떻게 만드나요?” 2 file 2017.05.21 홍세영 10193
치명률 30% 메르스 우리가 예방할 수 있을까? 1 file 2018.09.28 박효민 10186
사라져가는 프랑스의 엘리트주의 file 2021.04.26 김소미 10179
카타르, 고립되다? file 2019.03.18 이솔 10174
‘학폭 미투’ 지울 수 없는 기억, 돌이킬 수 없는 과거 file 2019.06.04 장예주 10169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 폭등 file 2020.05.27 백진이 10165
구로 콜센터 확진자 100명 넘어...서울 최대 집단 감염 사례 file 2020.03.25 배선우 10165
김종천 청와대 의전비서관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29 김도영 10159
텔레그램 n번방 피의자 신상공개, 국민청원 200만 넘어 file 2020.03.24 김지혜 10153
코로나-19, 노인혐오로? file 2020.03.31 김서원 10150
'낙태죄 폐지', 우리는 여성의 인권을 쟁취한다 2 file 2018.07.25 양성민 10148
젊은 층이 관심을 두는 투자, 비트코인은 건강한 투자인가? file 2021.03.30 조민서 10140
코로나19에 따른 빈곤 문제는? 2 file 2020.08.13 전지영 10132
'한강 사건 타살 가능성 낮다'라는 전문가에게까지 근거 없는 억측 file 2021.06.03 박지훈 10130
지역구 득표율로 바라본 제21대 총선 결과 file 2020.04.27 위동건 1012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정당별 총평편 file 2018.07.23 정민승 10129
세월호 4주기, 청소년과 교사 함께한 도보 행진 file 2018.04.17 이형섭 10129
정부 VS 시민단체 "노동자상은 어디에?" 2 file 2018.05.25 서고은 10127
희망을 주는 무료 급식소와 취약계층의 피해... file 2020.02.12 정다현 10125
김치와 한복에 이어 BTS까지 지적한 중국 file 2021.03.05 박수영 10123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발포명령자들 file 2017.05.24 박민서 101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