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by 16기김다연기자A posted Sep 18, 2020 Views 16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19가 시작된 지 7개월이 흘렀다. 많은 사람들은 이전까지 당연히 누리던 삶의 행복을 상실한 채 힘겨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특히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가 줄어들고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장기화되면서 우울증 증세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물론 야외 활동을 적게 하고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시간이 줄어들면 무기력한 감정이 고개를 든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경험적으로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이러한 우울을 해결할 좋은 방법을 찾고, 나아가 우울감에 더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우울에 대해 과학적으로 알 필요가 있다.


우울을 뇌과학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우리의 뇌는 거시적으로는 대뇌, 소뇌, 중뇌, 간뇌 등 여러 구조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시적으로는 수많은 뉴런(신경세포)이 복잡하게 얽혀 만들어진 전기 회로들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우울증에 관여하는 회로들에는 뇌의 전기 회로들에는 앞으로 할 일들을 정리하는 계획 회로, 눈앞의 위험에 대처하는 공포 회로, 부정적인 감정을 담당하는 회로,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는 회로 등이 있다. 회로를 구성하는 뉴런들은 특별한 화학물질을 통해 서로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이 물질을 신경전달물질이라고 한다. 신경전달물질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어떠한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부족하거나 각각의 물질의 존재 비율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경우 회로가 제대로 돌아가지 못해 우울증이 생긴다.


뇌 일러.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김다연기자]


우울증과 관련된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에는 세로토닌이 있다. 세로토닌은 편안하고 행복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부족할 경우 무기력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세로토닌을 분비는 햇볕을 쬘 때 촉진되기에 집에만 갇혀 있는 요즘에는 세로토닌 농도가 감소할 수밖에 없다. 그러니 마음이 무겁고 힘들다면 마스크를 쓰더라도 밖으로 나가서 걸어보자. 특히 야외에서 운동을 하면 세로토닌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분비 또한 촉진되기에 더욱 도움이 된다.


그리고 이런 코로나19 상황에서 우리의 마음을 더욱 고통스럽게 만드는 것은 막연한 불안감이다. 근거는 없지만 '이러다 코로나 걸리는 거 아니야?'라는 생각의 방식은 지난 몇 개월 동안 굳어져 우리의 편도체(불안 회로를 담당하는 뇌의 구조)를 자극해 왔을 것이다. 편도체를 잠재우기 위한 방법으로 이성적인 사고를 통해 객관적인 판단을 내리는 뇌의 영역인 전전두피질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있다. 현실적으로 그 불안이 발생 가능성이 있는지 아니면 단순한 막연한 불안인지 따져 보고 미래가 아니라 현재 이 순간에 집중하는 것은 전전두피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불안을 극복할 수 있게 해 준다.


마지막으로 이 상황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친밀한 관계의 부재 역시 우울증을 가속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사람들과 함께하며 편안함과 애착을 느낄 때 우리 뇌에서는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옥시토신은 뉴런들이 세로토닌을 만들도록 자극하기에 편도체 등 우울해하고 불안해하는 우리 뇌의 회로를 진정시킬 수 있으며 옥시토신이 우울증을 예방하고 통증을 덜 느끼도록 하며 항우울제의 약효를 증가시켰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게다가 사람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통해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분비된다면 동기 부여 회로를 자극하여 인생을 살아가고자 하는 동기를 줄 수도 있다. 그러니 온라인으로라도 다른 사람들과 소통을 하며 유대감을 느껴보자. 게다가 옥시토신은 스킨십을 할 때도 분비되니 같이 사는 가족, 연인이 있다면 매일 아침, 저녁으로 서로 안아주는 것이 어떨까.


이렇게 코로나 블루를 벗어나는 여러 과학적인 방법을 알아보았다. 그런데 사실 이 방법들은 과학을 모르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터득한 방법일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들의 과학적인 근거를 알면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우울과 불안을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이 생길 것이므로 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러니 앞으로 코로나 블루로 인해 힘들다면 이 글을 찬찬히 다시 읽어보고 나온 방법들을 실천해보자. 조금은 마음이 편안해질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6기 김다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6기전민영기자 2020.09.18 18:31
    과학적 원리를 알아갈 수 있는 시간이여서 읽으면서 좋았어요!
  • ?
    16기조예은기자 2020.09.19 23:05
    코로나 19의 우울증을 과학적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게 인상깊어요! 저도 해봐야 겠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8235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6241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07178
'신흥 강자'로 불리던 게임들이 유독 한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1 file 2020.09.21 김상혁 90344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6016
치과 공포증, 존재하는 질환일까? 3 file 2020.09.17 김수경 16383
무기한 연기? 달라진 우리의 문화생활 2 file 2020.09.17 최진서 14612
하늘을 날고 싶어도 못나는 꿈의 비행기가 있다? 3 file 2020.09.16 이혁재 14062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762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3606
렌즈, 올바른 사용법과 부작용 3 file 2020.09.09 김현수 17245
소년을 구한 용감한 보더콜리 2 file 2020.09.08 조은우 13938
미생물과의 끝나지 않은 전쟁 1 file 2020.09.08 홍채린 14082
심해지는 코로나 속에 진행되는 게임대회가 있다? file 2020.09.07 신준영 14153
코로나19가 불러온 연예계의 비상 file 2020.09.07 홍지원 14837
자연에서 위로받는 '언택트 관광지' file 2020.09.04 진효원 14235
2019-2020 UEFA 챔피언스 리그 대망의 결승전, 우승자는 누구? file 2020.09.04 김응현 13183
블랙핑크, 셀레나 고메즈와 어깨 나란히… 이제 무대는 전 세계 2 file 2020.09.03 이재윤 12462
블랙핑크 X 셀레나 고메즈 'Ice Cream' file 2020.09.03 이다원 15270
'와칸다 포에버' 블랙 팬서 채드윅 보스만의 사망 2 file 2020.09.03 이다원 15531
방탄소년단 'Dynamite' 빌보드 차트 1위 등극 1 file 2020.09.02 이다원 14854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3179
환경과 동물, 건강까지 생각하는 착한 소비의 첫걸음 '비건 페스타' file 2020.09.01 김시윤 13830
화상으로 토론하다, 대한민국 독서 토론 논술대회 2 file 2020.08.31 김수임 14633
용인시, 학생승마 지원으로 여가문화를 선도하다 file 2020.08.31 조예은 14523
피로에 시달리고 있는 지금, 효율적인 낮잠을 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 file 2020.08.31 김정원 13367
바이러스가 항상 인류 곁에 있었다고? file 2020.08.31 박선주 14413
포항테크노파크, 어려운 지역사회에 도움 한스푼 file 2020.08.31 최은영 14120
내가 팬덤에 속했다는 게 뭐 어때서? 3 file 2020.08.31 최유진 18722
끊임없이, 끊김없이 1 file 2020.08.31 정미강 18859
'유통기한 vs 소비기한'...지구를 위한 현명한 선택은? 1 file 2020.08.27 길서영 19404
환경과 동물, 건강까지 생각하는 착한 소비의 첫걸음 '비건 페스타' 1 file 2020.08.27 김시윤 12934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8.27 길현희 12765
많은 학자들이 함께 밝혀낸 원자의 구조 file 2020.08.26 김형인 14886
우리 집에 짱구네 백마 택배가 왔다 2 file 2020.08.26 최유진 17537
페르세우스 유성우, 내년을 기대합니다! 2 2020.08.26 김성희 12813
코로나 19로 인한 해수욕장 긴급 폐장 file 2020.08.26 김민영 12231
웹드라마 '독고빈은 업뎃중', 8월 28일 첫 방송 file 2020.08.26 노연우 17199
학교 전담 경찰관(SPO)과 함께한 청소년 정책 자문단 file 2020.08.26 박지현 16281
뉴스 제작 과정에서부터 뉴스는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고? 2020.08.26 송민서 15261
레드벨벳 조이의 티셔츠 한 장이 불러온 네티즌들의 반응 file 2020.08.25 홍지원 13619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문자의 증가..."재난 문자가 재난이에요" 4 file 2020.08.25 송한비 16931
워터파크는 코로나 시기에 안전한가? 1 file 2020.08.24 나주현 13180
분데스리가의 '50+1' 정책, 과연 디딤돌인가? 장애물인가? file 2020.08.24 남상준 19074
지금 당신이 보는 MBTI 결과는 틀렸다? 2 2020.08.24 이유진 15900
'10년만의 챔피언스 리그 4강 진출!', 올랭피크 리옹, '우승 후보' 맨체스터 시티 격파 file 2020.08.24 이은호 12368
9분에 한 골! 바이에른 뮌헨, 챔피언스리그 8강전에서 바르셀로나에 8-2 대승을 거두다 2020.08.19 이준혁 13685
제1회 ICT 장애인 보조공학기기 공모전 개최 file 2020.08.18 김하진 14628
코로나시대의 예술을 만나다 file 2020.08.18 조수민 12181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알고 있나요? 1 file 2020.08.18 박효빈 1464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바꾼 영화관의 풍경, 앞으로는? 4 file 2020.08.14 이준표 139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