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언제쯤?

by 15기김정원기자 posted Aug 31, 2020 Views 864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9년 12월 말 중국 우한 시에서 시작된 신종코로나바이러스-19로 의해 발병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전 세계로 퍼졌다. 점차 가라앉고 있는 분위기인 코로나19, 하지만 아직도 코로나1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질병이기 때문에 한 번 더 유행을 하게 된다면, 지금과 같은 상황을 또다시 맞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바이러스가 언제 다시 나타날지 모른다는 불확실성으로 인해 코로나19의 백신 개발의 중요성은 점차 커져가고 있다. 


KakaoTalk_20200625_191459496.jpg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김정원기자]


현재 많은 국가들이 코로나1백신을 만들기 위해 연구에 돌입한 상태이다. 현재까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백신으로는 칼테트라, 클로로퀸, 렘데시비르, mRNA-1273 등이 있다. 


칼테트라는 스와 메르스 치료에 시험적으로 쓰였던 치료제로, 내 코로나19 퇴원 환자에게 칼레트라를 투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칼테트라의 안전과 효능을 파악하기 위해 임상실험에 들어갔다. 


클로로퀸은 2004년 발표된 실험에 의해 사스 치료에 사용이 가능하다고 밝혀졌다. 하지만 코로나19에도 효력이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이것 역시 실험 중에 있다고 한다. 


메르스 치료제로 주목을 받았던 렘데시비르는 바이러스가 RNA를 복제하는 과정을 방해하는 치료제로, 미국의 첫 번째 코로나19 확진자에게 투약했다고 알려졌다. 쥐를 이용하여 실험을 했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고 한다. 


mRNA-1273는 미국 제약회사 모더나 사가 개발했다. mRNA-1273는 019-nCoV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똑같이 생긴 ‘가짜 스파이크 단백질’이 우리 몸에서 스스로 생성되도록 한다. 만들어진 가짜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하여 우리 몸속 면역세포들이 바이러스와 싸울 수 있는 항체를 스스로 만들어내는 원리라고 한다. 


이처럼 많은 국가들이 코로나19 백신에 많은 연구와 시간을 들이고 있다. 점차 가라앉고 있는 상황이지만끝까지 경계심을 잃지 않고 사회적 거리두기  기본 규칙을 계속해서 지켜 나가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5기 김정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6036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2796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46885
원격수업을 주제로 한국 - 아랍에미리트 원격회담...전 세계로 퍼지는 온라인개학 file 2020.04.27 정태민 8656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언제쯤? 2020.08.31 김정원 8648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640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1.05.24 심승희 8627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8623
트럼프, 바이든에 협조하지만 대선 결과 승복은 ‘아직’ 1 file 2020.11.27 김서현 8618
의대생 증원에 따른 파업과 약대 학부전환, 입시에 '나비효과' 줄까? 1 file 2020.08.21 차준우 8614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613
반도체 수급의 어려움, 차량 업계도 직면했다 file 2021.07.26 우규현 8609
저가항공사들의 반란? 1 2020.06.01 이혁재 8608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8604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8592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591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8588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8584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8581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8581
여러 민주화 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손가락의 영향력과 힘 2021.04.29 김경현 8580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8579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8578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8570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8552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8548
임대료없어 폐업 위기, 소상공업자들의 위험 file 2021.02.01 최은영 8545
마스크의 대란 어디까지인가 2020.03.18 김도연 8529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file 2020.09.07 박영주 8522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8508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8507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8506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8502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8496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8493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8493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490
신재생⋅친환경 에너지 활성화로 주목받는 '은' file 2021.02.10 이강찬 8481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8467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8458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1일 만에 휴전으로 멈춰 file 2021.05.25 민호윤 8456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8453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서 폭발이? file 2020.08.10 허예진 8452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8438
의도적인 트럼프의 발언? 1 file 2020.03.06 권수현 8435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8431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8414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8412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8412
[기자수첩] 의대 쏠림 현상, 의대 정원 늘려 해결해야 file 2023.06.24 이래경 8406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83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