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유통기한 vs 소비기한'...지구를 위한 현명한 선택은?

by 16기길서영기자 posted Aug 27, 2020 Views 193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당신은 미국의 한 마트에서 유제품류칸에 진열된 우유를 산다. 하지만 우유에는 제조일과 소비기한(expiration date, use by)만 있을 뿐 유통기한이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유통기한에 익숙한 한국인에게는 익숙지 않은 풍경이다.


그렇다면 소비기한이란 무엇일까? 소비자에게 유통된 후 식품을 먹어도 체내에 문제가 없는 기한이다. 소비자에게 유통이 허락되는 기한인 유통기한과는 다른 개념이며, 소비기한은 유통기한보다 더 긴 기한을 가진다.


소비기한 사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길서영기자]


이러한 소비기한은 여러 나라에서 시행 중이다. 먼저 미국, 호주, 영국 등의 나라는 소비기한과 품질 유지기한을 사용한다. 식품 제조일로부터 5일 정도 내에 부패나 품질 저하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유제품류 등의 식품 등에는 소비기한을, 오래 두어도 쉽게 상하지 않는 식품에는 품질 유지기한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또 일본은 일본 고유의 상미기한 그리고 소비기한을 사용한다. 상미기한은 식품 본래의 맛이 유지되는 기한으로 최상의 품질이 유지되는 기한을 뜻하는 ‘품질 유지기한’과 같은 개념이다. 이는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을 수 있는 식품이 무분별하게 버려져 낭비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증가하는 문제를 줄이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zoz.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6기 길서영기자]


소비기한 사용의 성공사례도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약 3배의 인구인 일본은 음식을 버리는 총량이 640만 톤으로 730만 톤인 우리나라보다 적은 수치이다. 이는 일본 정부가 상미기한과 소비기한 등 음식물의 양을 줄이기 위해 법제화에 나선 데다 기업의 다양한 형태의 시도 덕분이다. 기업 ‘쿠라 다시’는 상미기간이 지났지만 섭취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는 식품을 할인해서 판매하는 플랫폼이다. 이러한 활동의 결과는 음식물 쓰레기양의 감소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13년 성인남녀 2,03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먹지 않고 폐기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56.4%가 그렇다고 답했다. 유통기한이 지났다고 해도 소비기한 내에 먹을 수 있는 음식이 대부분 버려지는 실정이다.


이에 올해 열린 2020 식품 소비기한 도입 포럼에서 식약처 최종동 과장은 안정적 제도 도입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충분한 유예기간을 가지고 도입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소비자, 기업체 모두 만족하는 제도가 기대될 전망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6기 길서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4250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0483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40294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폐지, 그 이유와 앞으로의 서비스 방향은? file 2021.02.26 유채연 19312
샤페코엔시, 절망 이겨낸 힘찬 도전 2 file 2017.02.25 노예린 19309
'유통기한 vs 소비기한'...지구를 위한 현명한 선택은? 1 file 2020.08.27 길서영 19302
옛 전남도청, 5.18민주평화기념관으로 문 열다 1 file 2018.07.30 조햇살 19300
이런 시를 아시나요? 1 file 2016.03.20 백소예 19300
시원한 휴식, 남일대 해수욕장에서 어때? file 2017.07.25 공혜은 19299
스미노 요루의 특이한 데뷔작,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2 file 2017.10.17 이나영 19298
포켓몬스터들의 제 2의 전성기 - 포켓몬go file 2016.07.26 김은형 19297
문화재청, 경복궁 등 고궁 야간개장 시행한다 9 file 2016.02.23 박정선 19286
<영화 칼럼> 영화 읽어주는 고양이 세 번째 이야기: 레이디 버드 1 file 2018.08.01 남연우 19283
"부모 면접을 시작하겠습니다." 페인트, 이희영 작가를 만나다 3 file 2019.11.27 하늘 19282
'2017 제주 수학 축전' 개최 1 file 2017.10.19 신온유 19275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주관, 제2회 전국 청소년모의해킹대회 개최 file 2017.05.24 이정수 19270
수원에서 하나된 다문화 가족들!!! file 2016.05.22 박성우 19270
독도 체험관, 서울에서 독도를 만나다 file 2016.03.21 이소민 19269
핑크카펫은 과연 임산부의 것일까? 4 file 2017.03.21 임수연 19267
'클래식씨-리즈' 롯데와 삼성이 추억을 되살리다 file 2019.06.17 백휘민 19260
GAIC-MUN의 주인공은 나야 나, 국제세계에 한 발짝 다가가는 모의UN file 2017.08.30 손채영 19252
김해도서관, 1318 필독서 읽기 참가자 모집! file 2017.03.23 한승민 19251
복잡한 사회에 심플한 삶, '미니멀라이프' file 2019.03.28 김현정 19245
청소년들의 신분증, 청소년증 1 file 2017.09.12 이다은 19240
수상한 거리에 나타난 음악가들 file 2019.05.22 김현원 19239
자전거가 타고 싶은 날엔...'피프틴'으로 가자! 4 file 2016.02.25 이상훈 19236
영광을 마신 남자, 배리마셜 file 2017.10.09 김민정 19233
스마트폰에 구멍이? 삼성전자의 첫 펀치홀 디스플레이 1 file 2019.02.28 홍창우 19228
2020 씨밀레, 높은 도약의 첫걸음 file 2020.03.02 조윤혜 19226
안쓰는 물건 팔고, 기부도 하고. 일석이조! 재활용장터, '보물섬' 1 file 2016.03.20 문수연 19226
우리가 아는 일식 정말 개기일식뿐일까 file 2019.06.03 김가영 19219
수학으로 나라를 구하다 file 2018.06.27 노채은 19218
달! 달! 무슨 달! 쟁반같이 둥근 달! 8 file 2016.02.25 조민성 19214
페르세폴리스 - 이란 소녀의 성장기 2019.08.06 김서연 19206
도서관 어디까지 가봤니? 뉴욕 공립 도서관 1 file 2019.02.27 이정연 19205
신림동 입양뜰 바자회 file 2016.12.25 정수민 19203
세계사, 아는 척 하고 싶다면? file 2018.06.28 박채윤 19201
우리나라 자부심들의 융합, IT와 K-POP의 조화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다 2020.04.29 최유진 19194
'데미안', 한 권의 책으로 진정한 '나'를 찾기 1 file 2018.05.29 황유라 19194
상상의 꿈 나래를 마음껏 펼쳐라! 아무거나 프로젝트 file 2017.08.21 조윤지 19192
세상을 바꿀 뇌과학! 세계 뇌주간을 맞아 고려대에서 강연 개최 file 2017.03.19 김도연 19192
BJ감스트가 아닌 K리그 홍보대사 감스트, 그의 효과 2 file 2018.04.03 이건 19183
세계 최대 규모의 영국박물관.. 그 안의 치명적인 그림자 2 file 2017.04.01 이현지 19173
중앙고의 수학여행으로 알아보는, Vietnam 1 file 2018.11.05 권오현 19167
힐링되는 꽃나들이, 창원 장미축제는 어때? 1 file 2017.05.24 안예현 19158
수학, 어디에 숨어있을까? 2 file 2017.05.28 신온유 19154
계속 발전하는 논산시, 그 끝은 어디인가 file 2017.10.10 윤우경 19151
캐나다 작가들과 함께하는 영어 글쓰기 워크숍, "이제 나도 영어로 글을 쓸 수 있어요." file 2016.07.25 김은비 19151
삼척의 큰 자산, 가람영화관 3 file 2017.02.22 정유진 19147
한국 속의 유럽 2 file 2016.07.25 김태윤 19146
평등한 세상을 위한 도전, 퀴어퍼레이드와 함께 1 file 2019.06.11 원서윤 191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