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점보기의 몰락

by 17기이혁재기자 posted Aug 21, 2020 Views 107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19로 인하여 항공업계가 큰 타격을 입었다이의 항공 수요가 눈에 띄게 줄어들자 많은 여객기들이 자신의 수명을 다하지도 못한 채 퇴역을 하게 되는 일이 생겼다.


   B747
이나 A380과 같은 점 보 제트기들의 퇴출이 위의 대표적인 예다B747 여객 형은 1969년 처음 생산되어 2013년까지 6개의 세부 모델들이 있고 44년의 역사를 가진 최초의 복층 비행기로 최대 480~605 좌석까지 탑재가 가능하다. Queen of the sky’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장거리용 비행기로 모든 여객형 기체의 항속거리가 9,800km를 넘어, 1970년대부터 LA까지 직항으로 갈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화물기 기종의 특이한 앞부분이 열리는 개폐 방식으로 입을 벌리는 모양으로 화물을 집어삼킨다는 말이 있었다. 열리는 모습이 웃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Smiling 747’이라는 별명도 생겼다. 현재의 가장 최신 버전의 기체인 B747-8i B787 드림라이너의 시리즈 넘버인 8을 따온 것으로 보잉 특유의 레이키드 윙팁과 디지털 차트 모니터, 787의 엔진 중 하나인 GE GEnx 엔진을 4개나 장착하여 747-400보다 많은 적재량을 보여주며 동체가 많이 길어졌다. 현재 747여객 시리즈는 대한항공, 루프트한자, 에어차이나, 타이항공, 이란항공이 아직 사용 중이다. 747f는 아시아나, 대한항공, UPS, FEDex, 카고 럭스, 케세이퍼시픽과 같은 메이저 항공사들은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워낙 큰 기체로 인하여 유지 보수비가 다른 기체에 비해 비싸다. 그리고 기체의 크기에 비해 좌석 수요도 크지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비행하지도 못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퇴역을 준비하게 된 것이다. 


20200811202943_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이혁재기자] 


  그러나 A380은 화물기가 없다. 그리고 보잉 747보다 31년 늦게 역사가 시작되어 완벽한 복층의 구조로 최대 853명을 운송할 수 있다최대 항속거리는 15,200km로 서울에서 뉴욕까지 직항으로 갈 수 있다. 엔진은 롤스로이스의 Trent970 엔진 얼라이언스의 GP7270을 사용하여 연료 효율을 극대화했다. 그렇기에 'King of the sky'라는 별명도 생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좌석 수요가 적어 주문이 없자 2019 단종 결정을 내리게 되었다. 작년부터 새로운 A380 비행기를 볼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리고, B747보다 크기 때문에 더욱 유지비가 많이 들어 평소에도 효율적이지 못했던 비행기가 이번 코로나19로 인하여 비행을 못 하게 되자 다른 비행기의 2배는 돈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이번에 퇴역을 일찍 하게 된 것이다. 그래도 Lufthansa technik에서 화물기로 개조 중이라고 밝혀서 화물기로 재투입될 것이라고 한다. 


P20190418_173418335_12C81AC0-CA6C-416F-A1BA-477C43DCB48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이혁재기자] 


  위와 같은 거대한 비행기만 퇴역하는 것만이 아니다. 미국의 거대 항공사인 델타항공은 B777-200ER/LR 조기 퇴역시킨다고 하였다. B777-200ER/LR은 보잉사에서 만든 기체 중 하나로 위에 소개된 B747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최소화한 기체다. B777-200LR GE90-94B PW4090, RR trent895 세 가지 엔진 옵션이 있고, B777-200ER GE90-115B로 엔진은 하나밖에 없다. 위 항공기 둘 다 항속거리가 14,000km가 넘으며 마이애미를 직항으로 갈 수 있는 항속거리다. 특히 B777-200LR 17,000km A359ULR이 나오기 전까지 가장 긴 항속거리를 가진 항공기였다. 그리고 중·단거리의 최강자로 여객기 중 가장 많은 판매량을 자랑하여 5초에 한 번꼴로 이륙하는 B737 시리즈도 단종이 되어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워했다.


P20190418_172716452_A4659D9C-0D33-4F6B-82C3-7E256CCDC5A8 (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5기 이혁재기자] 


  위 항공기들은 자신의 진가를 발휘하지 못하고 퇴역하게 된 비운의 비행기가 되었다. 특히 B737은 꾸준히 주문도 들어오는 상황이라 전망도 좋았지만, 이렇게 생산 중단이 내려지면 수익이 급감한다. 거기다가 B747의 퇴역이 겹쳐진 보잉은 타격이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여러 유명 비행기의 퇴역이 이어지자 빨리 코로나19의 종식으로 더 많은 비행기의 퇴역을 멈추고 싶다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지속되는 코로나19로 인해 항공업계의 피해 또한 계속될 전망이므로 이에 관심을 가지는 자세가 필요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5기 이혁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8645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5676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71103
금리 인상의 양면성 2017.12.13 원종혁 12100
글로벌 여성 인권대사 2기, 그 화려한 막을 내리다 15 file 2016.02.10 이유수 20456
근로자의날, 일제식 표현이라고? 2 file 2016.03.25 김윤지 17180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1103
그야말로 혼용무도 삼권분립은 어디로? 6 file 2016.02.27 이민구 15453
그립고 그리운 세 번째 봄, 세월호 기억식 열려 file 2017.04.25 소지인 11186
그리는 상표, 로고는 왜 필요할까? file 2019.03.26 모유진 10861
그람 염색, 세균을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자 file 2019.06.12 양지윤 29453
그들은 왜 우리에게 선거권을 안줄까요?···만 18세 선거권 가능성 기대 21 file 2017.01.11 박민선 22756
그늘막 쉼터, 호응 얻고 있지만 아쉬움도 남아... 5 file 2017.08.08 박현규 12971
그날의 기억 잊혀도 되는 걸까? 5 file 2018.04.20 강동준 12740
그날을 기억하다 file 2020.05.21 최유림 8206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1192
그가 받아야 할 말을, 왜 그가 던지는가 2 file 2017.08.17 김민국 11325
그 시절 빼앗긴 행복, 아직도 그들의 상처는 깊어간다. file 2017.08.28 박민수 10591
권선택 대전 시장, 시장직 상실. 대전 지하철 2호선은 어디로? 2017.11.21 한훤 12017
권리와 자유를 지키는 홍콩의 목소리 1 file 2019.09.30 김하민 14266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910
국회의원 총선 D-56 ... 선거구 획정 아직도? 13 file 2016.02.17 이예린 24666
국회의원 체포 동의안. 방탄국회 만드나 2 file 2018.05.31 함현지 11201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3062
국제우주정거장의 민영화 file 2019.07.15 이민재 14399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춘 한국의 '스마트시티' file 2018.11.20 함혜원 10421
국제 금값 2천 달러 돌파…연일 고공행진 이어가는 금값 file 2020.08.06 이민기 16275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9683
국정교과서, 앞으로의 운명은? 2 file 2017.03.27 유희은 11740
국정교과서, 누구를 위한 역사 통합인가 7 2017.03.02 방예진 15341
국정교과서 최종본 공개... 반응은 여전히 '싸늘' file 2017.02.02 유근탁 16216
국정교과서 마지막 결과는? 3 file 2017.02.20 김윤정 16424
국정 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2 file 2017.02.04 정주연 17671
국정 교과서 논란, 무엇이 옳은가 file 2017.05.20 박하영 10684
국적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95% 중국인 적용 대상 file 2021.06.02 이승열 7105
국민청원이 병들어간다 2 2018.08.27 지선우 9953
국민청원 게시판, 국민의 외침에 선명한 메아리로 돌아오길... 1 file 2019.02.27 김동환 11192
국민이 선택한 19대 대통령 문재인 1 file 2017.05.17 김상원 11483
국민이 묻고 대통령이 직접 답한다! 대국민 보고대회 - 대한민국, 대한국민 file 2017.08.31 이수현 11329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8886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9426
국민의힘 대선 토론 취소, 이준석 리스크의 현실화? file 2021.08.23 송운학 9909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승자는? file 2021.06.07 김민석 8998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7698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 정치권에 새로운 바람 불까? 3 file 2018.01.26 정민승 11831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file 2017.03.25 김주영 12873
국민의당 탈당파 민평당, 정의당과 연대? file 2018.02.05 박우진 10441
국민의당 대선후보 안철수 “진실을 밝히고 미래를 열겠다” file 2017.04.09 황예슬 14028
국민의당 대권주자 호남경선 “6만명의 민심” 2 file 2017.03.26 황예슬 14468
국민의당 결국 대국민사과... 안철수까지 개입 2 2017.08.07 백다미 10852
국민의당 27일 전당대회 통해 새 지도부 선출 1 file 2017.09.04 황예슬 105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