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영화전공이 들려주는 2020 OSCAR 이야기

by 14기정근혁기자 posted May 18, 2020 Views 1555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올해의 오스카는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2019)이 주인공이었다. 기생충이 오스카 최우수 작품상 후보에 지명되었을 당시부터 2020년의 아카데미 시상식은 우리나라 영화계나 국민들뿐만 아니라 외국, 특히 미국에서도 관심을 모았다. 본격적인 오스카 탐구에 들어가기 앞서 오스카, 즉 아카데미 시상식에 대해서 먼저 알아봐야 할 필요가 있다.


아카데미 시상식은 미국의 내수 영화시상식이다. 그렇기에 칸, 베니스, 베를린과 같이 범위가 세계의 작품이 아닌 미국 작품 내외인 경우가 많다. 주최 기관은 미국 영화예술과학 아카데미협회이다. 이 협회는 1927년 창설, 1929년 5월에 처음으로 아카데미 시상식을 열었다. 당시 회원이 20명 남짓이었고 수상 부문도 11개에 불과했으나, 약 90년이 지난 지금은 협회의 가입자도 6000명이 넘고 현재 총 수상 부문은 영화연출뿐만 아니라 배우와 기술파트까지 총 24개이다.


제1회 아카데미 시상식이 열린 곳은 할리우드의 루즈벨트 호텔의 메인홀이었다. 그리고 올해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2020년 2월 10일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돌비극장에서 열렸다. 로스앤젤레스 돌비극장은 코닥극장으로도 유명한 곳이다. 코닥과 돌비 어디서 많이 들어본 이름일 것이다. 코닥은 필름회사이고 돌비는 사운드, 스피커 등 음향으로 유명한 회사이다. 이 극장이 지어진 것은 2001년 이때는 코닥의 투자로 만들어진 극장이기에 코닥극장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2012년 5월 코닥의 파산으로 인해 돌비연구소에 매각했고 현재는 돌비극장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극장은 2002년도부터 아카데미 시상식이 거행되는 곳으로 유명해졌다. 물론 아카데미 시상식 이외에 태양의 서커스, 미스USA 등 다양한 공연이나 행사를 거행하기도 한다. 2002년 이곳이 아카데미 시상식의 장소로 발탁된 이유로는 코닥의 힘이 강했다. 2006년 영화의 산업에서 디지털 촬영과 디지털 영사의 기술이 시장에 등장하기 전까지 영화는 모두 필름으로 촬영되고 유통되었다. 그리고 이 필름 제조의 대표적인 회사가 바로 코닥이었다. 그만큼 코닥은 영화계에서 큰 힘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 되었고 미국의 가장 큰 영화시상식 중 하나인 아카데미 시상식도 바로 이곳에서 열리게 된 것이다.


다른 매체의 글이나 보도를 보면 아카데미 시상식을 오스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일까? 먼저 아카데미 시상식의 정식 표현은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즉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상이다. 이를 줄여 **th Academy Awards 혹은 우리나라 말로는 아카데미 시상식이라고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시상식 자체를 이야기할 때는 아카데미 시상식 혹은 아카데미라고 말하는 것이 옳다. 그렇다면 오스카는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오스카는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주어지는 트로피 자체를 말한다. 오스카의 형태는 필름 통 위에 장도를 가지고 있는 남자가 있는 금도금 청동상이다. 오스카라는 이름에는 여러 유래가 있지만 제일 유력한 설은 1920년대 할리우드 여배우 벳 데이비스가 트로피를 뒤에서 봤을 때 자신의 남편이었던 오스카 넬슨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말한 데에서 고안했다는 설이다. 처음에는 은어나 유행어처럼 사용되었다가 어느 정도의 인식도와 시간이 지나자 1939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렇기에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상을 받은 인물들은 OSCAR Winner라고 말하고 시상자들이 오스카 수상자들을 'Today Oscar goes to'라는 표현을 쓰기에 해외에서는 아카데미라는 지칭보다 오스카라는 지칭을 더 많이 사용한다.


아카데미 영화제는 위에서 언급했었던 것처럼 엄연한 내수영화제이다. 과거 미국 언론에서 봉준호 감독이 인터뷰한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미국의 아카데미 영화제는 내수용 영화제이기에 외국 영화들을 위한 외국어 영화상(국제영화상)이 따로 존재한다. 또한 미국의 아카데미 영화제의 회원들 즉 아카데미 회원들은 오랜 기간 영화계에 몸을 담고 있었던 사람들이기에 대체로 보수적이고 구시대적인 발상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꾸기 위해 올해 계속 이어져 왔던 외국어 영화상의 네이밍을 국제영화상으로 고친 사건 외에도 2019년의 아카데미 즉 91회 시상식 작품상 후보에 블랙 팬서, 보헤미안 랩소디 등의 영화가 지목된 사건이 있었다. 영향력이나 시청률이 낮아진 아카데미 시상식의 재기를 위해 속히 문화계의 '정치적 올바름'을 실현하려고 했다. 이때 작품상 노미네이트에 그린북과 로마, 스타 이즈 본, 바이스 등이 있었는데 가장 유력한 후보였던 로마가 그린북에 밀리면서 반발이 더 거세어졌다. 로마는 그래비티, 칠드런 오브 맨 등을 연출한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작품으로 당시 베니스 황금사자상을 받았던 작품이다. 당시에는 아카데미이기에 그린북이 작품상을 가져왔다라는 말이 많았다. 잘 생각해보면 로마는 멕시코의 영화이고 한동안 논란이 되었던 넷플릭스 플랫폼의 영화였다. 아카데미 시상식이 끝난 후 평론가들은 그래도 로마를 수상하는 게 옳았다라는 많은 의견을 내놓았고 그 결과가 올해 아카데미에 적용됐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에서 기생충의 가장 큰 경쟁자는 샘 멘더스 감독의 1917이었다. 1차대전을 다룬 영화로써 미국 아카데미에서 제일 좋아하는 형태의 영화였다. 또한 골든글러브에서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한 이후였기에 평론가들과 관련 분야의 종사자들은 1917을 지목했다. 그리고 그 기대에 맞게 1917은 24개의 아카데미 부문에서 10개가 노미네이트 되는 결과를 보여줬다. 마지막 작품상 시상식에서 시상자인 제인 폰다가 아카데미의 인식개선이라는 시상 전 연설을 하였다. 향년 84세인 할리우드의 원로 배우 제인 폰다가 아카데미에서 이런 말을 했다는 것은 점점 아카데미가 미국의 보수적인 영화계를 벗어나려고 하는 것을 느끼게 해준 사건이었다. 


아카데미 영화제의 변화는 미국뿐만 아니라 영화제 전체의 변혁을 의미한다. 영화산업에서 국경과 인종, 성별을 넘어 작품, 감독 그 자체를 판단하기 시작했다는 것에 사람들은 열광했다. 그기에 '기생충'의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영화산업에 있어 큰 쾌거인 것이다.


오스카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정근혁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4기 정근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94110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101893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52642
도시별 버스 요금 인상 2 file 2018.06.01 허찬욱 20047
도심 속 눈, 아름답지만은 않았습니다. 9 file 2017.01.25 송인준 15689
도심 속 생태공원을 달리다, 제 14회 태화강 국제 마라톤 대회. 1 2017.04.25 이가현 15349
도심 속 작은 힐링을 마주하기 file 2016.10.26 강예린 16110
도심 속 환경으로, 서울환경영화제(SEFF) file 2018.05.31 박선영 22052
도심 속에서 찾는 여유, '덕수궁' file 2021.09.09 박혜원 11579
도심 속의 작은 우주, 대전시민천문대 3 file 2019.01.23 정호일 18505
도심속 역사이야기 file 2017.04.08 정주연 14402
도심속 찬란한 멋과 예술, '제3회 부산 희망드림 빛축제' file 2023.03.27 김보민 7143
도심의 자리 잡은 예술, 스트리트 뮤지엄 11 file 2017.01.25 이예인 17096
도심의 한복판에서 휴식을 찾다 1 file 2016.05.21 민원영 15448
도움이 필요할 땐 이곳으로-한국소비자원 file 2016.11.18 김나림 18721
도자기 속에 숨겨진 '독', 이제는 밝히겠다. 2018.04.05 유민울 22513
도자의 꿈, 문화를 빚다. 2017.05.24 홍선의 15545
도전! 골든벨 묵호고와 함께하다. 1 file 2014.10.25 최희선 36350
도쿄올림픽, 안전하게 치러질 수 있을까? file 2021.04.20 풍은지 13568
도쿄올림픽의 금메달은 깨물어도 될까? file 2021.09.23 김하영 10526
독도 사랑 필통을 만들다!!(하늘고등학교 한방울 봉사단) 6 file 2016.03.13 김강민 17399
독도 체험관, 서울에서 독도를 만나다 file 2016.03.21 이소민 19358
독도, 세종실록지리지 50쪽에는 없다 3 file 2018.11.09 박상연 36184
독도를 가슴에 품고 대한민국을 세계로! 4 file 2017.06.03 정지윤 15432
독도를 위한 반크의 움직임, 디지털 독도 외교대사 발대식 ! 1 file 2016.04.11 황지연 16444
독도의 날 맞아, 독도문화제 개최 file 2018.11.28 여인열 14274
독립기념관에 가다 2019.01.25 전서진 18157
독립기념관에서 민족의 얼을 찾다 file 2017.05.24 조수민 14935
독립지사의 고통이 담긴 곳, 서대문형무소 file 2019.06.03 이윤서 16776
독보적 콘텐츠로 팬들과 소통한다! 세븐틴의 ‘고잉 세븐틴’ file 2020.11.25 김민결 14571
독서 기록 앱, '북적북적'을 파헤쳐 보다 1 file 2021.10.25 김승원 11577
독서마라톤 완주를 향하여 2 file 2016.05.21 장서윤 17753
독서의 도시 김해의 2016김해의 책 file 2016.07.18 최우석 16546
독수리의 기적, '나는 행복합니다' file 2018.10.16 이수민 16773
독일어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주한독일문화원 '파쉬 페스트' 1 file 2017.06.25 장지윤 17268
독특한 향기의 문화를 담은 중남미문화원 1 file 2020.02.04 맹호 15072
돌고래에게 자유를! 1 file 2017.03.21 문아진 19100
돌아보는 '설날'.... 연휴의 연장선 아닌 온정 나누는 우리의 고운 명절 5 file 2016.02.25 안성주 25824
돌아온 안방마님 양의지, 팀에 끼치는 영향은? 2 file 2017.07.26 최민주 15331
돌아온 컨셉 장인, (여자)아이들 1 file 2020.04.27 김민결 13111
돌풍의 에버튼! 파죽의 7연승 file 2020.10.14 최준우 14705
동남아 여행, 이 애플리케이션 꼭 다운 받아야해! file 2020.09.21 정진희 13271
동남아시아의 빈부 격차, 과연 해결이 가능할까? 1 file 2016.05.28 임주연 24397
동대문 DDP에서 열린 '헬로키티 50주년 특별전' file 2024.04.27 이주하 7571
동물 실험에 따른 생명윤리 문제 4 file 2017.05.18 김동수 24229
동물 없는 동물원: Augmented Reality Zoo file 2019.09.05 이채린 20264
동물, 사람의 가족이 되다 file 2017.05.24 김혜원 14261
동물보호법 개정, 그리고 모두가 행복한 세상 file 2017.03.20 박수지 16075
동백의 딸들, 성화 봉송에 참여하다 file 2017.11.07 이유진 17178
동산고, 송호고와 함께하는 영어책 읽어주기 멘토링 '리딩버디' file 2017.03.18 김명진 18076
동성애에 대한 인식, 어떻게 바꿔야 할까? 2 2017.05.08 박수지 216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