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변화되어야 하는 종교

by 14기최준우기자 posted Mar 31, 2020 Views 13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하나의 이야기로 시작해 보자. 한 남성이 강간당한 여성을 죽이는 것은 중범죄이지만 수많은 남성이 강간당한 여성을 죽인다면 그때는 문화가 되고 합법이 된다. 이는 중동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일명 명예살인이라고 불리며 피해를 본 여성을 오히려 처벌하는 관습이 자행되고 있다. 이를 종교만의 문제로 보기는 힘들지만, 종교를 악용한 사례로 볼 수 있다.


대한민국 대표 종교.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최준우기자]


 현재 한국은 헌법 제20조 1항에 종교의 자유를 명시하고 있고 종교와 정치를 분리하는 정교분리의 원칙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중동과 같이 종교가 정치의 직접적으로 개입할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과연 그럴까? 종교는 그 국가의 사회문화역사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서 종교는 문화를 만들고 그 문화가 삶의 형태를 바꾸어준다. 


 종교의 영향력은 2018년 통계청 기준 약 2,200만 명의 종교인이 있고 종교는 교육, 사회복지 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어느덧 종교는 국제적 영향력을 주도하기까지 이르렀다. 신흥종교단체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이하 신천지)에서 시작된 HWPL은 교육, 국제법, 종교연합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LP 프로젝트에서 진행하는 '지구촌 전쟁 종식 평화 선언문(이하 DPCW)'은 전쟁에 종식을 목적으로 강제력 있는 국제법 추진에 나서고 있다. 이런 사회적 순기능만 있지는 않다. 


 종교의 영향력이 커진 만큼 그에 대한 책임도 늘어나야 한다. 하지만 종교의 책임을 따지는 일은 정부 기관도 쉽사리 손대기 어렵다. 최근 코로나 19의 주요 확산요인으로 뽑히는 신천지를 비롯한 종교단체들의 방역수칙 미준수, 전광훈 목사의 폭력집회를 포함한 불법 집회 감행 등 종교단체가 사회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종교 관련 청원이 빗발치는 지금 인권을 짓밟는 포교행위, 종교단체에 의존된 정보전달 등을 개선해야 한다. 


 하지만 종교는 사회를 안정시키고 문화를 가꾼다는 점을 알고 있어야 한다. 스파케티 괴물교는 종교를 이용하여 기독교와 갈등을 빚고 있는 진화론을 알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였다. 현대의 종교의 장점을 이용하여 보이지 않는 분홍 유니콘, 듀드주의 등 다양한 패러디 종교들이 파생되고 있다. 이제는 종교에 대한 흑백논리를 펼치는 것이 아니라 종교를 이용하여 더 폭넓은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종교의 문제점에 대한 책임을 묵인하지 않고 더 넓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4기 최준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4964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1537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54175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둥근세상 만들기캠프 진행 file 2018.08.06 디지털이슈팀 15846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경기여고와 재난대응 안전훈련…'효과적 대처'에 초점 file 2018.05.18 디지털이슈팀 15093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영국 내셔널갤러리 소장 명화전 file 2023.07.15 이다빈 10735
국립중앙박물관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전...고대 유물 모았다 file 2023.08.09 제갈혜진 7346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숨겨진 사실, 5.18 최후 항쟁지? 1 file 2017.02.25 홍민서 15520
국립서울현충원에서 '호국보훈백일장 및 그림그리기 대회' 열려 file 2017.05.20 이나영 20741
국립부산과학관, 지구의 행복 1박 2일 캠프 성공리에 마쳐 5 file 2017.02.15 박서영 20201
국립부산과학관 정월대보름 맞이해 다채로운 행사 개최 6 file 2017.02.12 양민석 15248
국립대구박물관 2016년 설맞이 문화행사,성공적으로 막을 내려... 11 file 2016.02.10 김윤지 17414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서 '키즈 바이오 사이언스 페스티벌' 열려 2017.05.20 박은서 15104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 문화 조성 위한 2022 ‘코로나 우울 백신 마음 건강 작품 공모전’ 개최 file 2022.08.09 이지원 9250
국립김제청소년농업생명체험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 4기의 첫걸음 3 file 2017.02.16 최희주 14422
국립광주과학관, 2030 미래도시 강연 개최 file 2017.08.28 오경찬 15107
국립 중앙 박물관에 자리 잡은 세 나라의 호랑이들 1 file 2018.02.20 이시현 15446
국내 최대 자동차 전시 '2023 서울모빌리티쇼' 킨텍스서 개최 file 2023.04.03 조영채 11357
국내 최대 규모의 건축박람회, MBC 건축박람회 file 2017.08.31 최나연 18130
국내 바다가 지겹다면 대마도 미우다 해변으로! 1 file 2017.09.05 이지원 21849
국내 도시재생의 성공 사례, <인천 개항로> 2 file 2022.02.28 김다희 12576
국가란 무엇인가 - 유시민 file 2017.09.26 홍도현 16012
국가간 청소년 교류를 통한 민간외교관 되어보기 file 2016.07.22 변지원 14629
구한말 개화기로 돌아가다, 논산 선샤인랜드 file 2018.12.19 정호일 24734
구일고등학교의 아이돌 'KD'를 소개합니다 file 2017.03.25 임수윤 20892
구영회, NFC 우승팀과의 경기에서 맹활약...팀은 완패 file 2021.09.28 윤형선 9788
구석기시대가 살아 숨쉬는 연천, 구석기축제 성공적 마무리 1 file 2017.05.19 이태양 14156
구민들을 위한 "2017 중랑 북 페스티벌" 1 file 2017.10.27 이지현 16068
구립증산정보도서관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옛이야기에 담겨있는 인문학 만나기 file 2022.05.17 이지원 10426
구립 은뜨락도서관, 북한산 인문포럼 : ‘나는 북한산 아래 산다’ 프로그램 운영 file 2022.05.30 이지원 9848
구리시 사랑의 도시락, 소외된 이웃들에게 사랑을 전해요. 6 file 2017.08.20 오경서 14836
구름의 생성과정 4 2017.07.04 장민경 17679
구름도 떨어지고 있다! file 2021.05.26 윤수정 14018
구글이 바라는 이상적인 통신사 Made by Google 통신사 : Google Fi file 2019.02.28 정성원 23973
구글의 빅데이터, 어디까지 알 수 있을까? file 2018.01.23 신온유 19399
구글, 차기 안드로이드 블루투스 고음질 'LDAC' 코덱 기본 탑재! file 2017.05.22 김지훈 25320
구구단 첫 팬미팅, <9원 9일의 구구단짝> file 2017.11.06 이지나 15650
교통카드에 선불결제까지... 청소년증 발급하고 할인혜택 받으세요. 15 file 2017.01.22 오경서 26996
교토의 랜드마크라고 불리는 청수사, 알고 보면 백제의 죽마고우(竹馬故友)? 6 file 2016.02.23 안민 24650
교토, 일본 본연의 도시 7 file 2018.08.20 이승철 20150
교육체제가 아닌 교육 제재 2021.04.01 박지은 13144
교육봉사? "선생님이 꿈인 친구들 여기여기 모여라~!" 2 file 2017.08.25 이승연 15851
교육, 뭐시 중헌디? (교육 받을 권리 고려해봐야.) 1 file 2016.08.01 오성용 19987
교육 기술의 모든 것을 한곳에서! 2017교육박람회(EDUTEC) 9 file 2017.01.21 노유진 22026
교보교육재단, 창의적 인재육성프로그램 체인지 프로그램 성공적 개최 1 file 2017.07.11 이태양 16465
교보교육재단, ‘백년을 잇는 포용의 리더십’ 성공적 마무리 file 2017.10.10 이태양 15918
광주시 이웃사랑 걷기캠페인 성황리에 마쳐 file 2017.06.23 전은지 14033
광주광역시의 대표하천, 광주천 file 2022.02.14 채원희 9823
광주, 3.1절 100주년 기념행사 '그날의 함성이 울려퍼지다' 1 file 2019.03.06 조햇살 17841
광주 프린지 페스티벌, 그 멋과 열정 속으로 1 file 2017.09.22 김서영 17753
광주 트라우마센터 치유의 인문학 시인 박준,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1 file 2017.09.25 이세림 162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