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트럼프 "기생충 수상, 한국이 왜?"

by 14기남정훈기자 posted Mar 30, 2020 Views 97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달 20일 콜로라도주에서 대선 유세를 이어가던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 영화 '기생충'을 언급했다.

f52664980977a67403bbdd50861a5a7f.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4기 남정훈기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이 얼마나 형편없었나요? 보셨습니까?"라며 아카데미 시상식에 대한 입장을 보이며 바로 이어 "수상자는 대한민국의 영화입니다. 도대체 무슨 이런 일이 있죠?"라며 비난을 쏟아냈다. 더불어 "한국은 우리와 무역 문제가 충분히 있는 나라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의 최고 영화상을 한국에 주다니요. 좋은 건가요? 저는 잘 모르겠네요. 외국어 영화상만 받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말이죠. 이런 일이 예전에는 있었나요?"라며 한국과의 무역 문제와 영화 '기생충'을 비난하였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위의 발언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비판들이 그를 향했다.


NEON 북미배급사는 "이해할 만하다. 그는 자막을 읽지 못한다."라고 했으며, 美 민주당 전국위원회 (DNC)는 "기생충은 두 시간 동안 자막을 읽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을 싫어한다."라고 했다. 또한, 배트 미들러는 "트럼프가 자신의 유세에서 기생충이 아카데미상 수상을 불평했는데 나는 기생충이 백악관을 차지한 것이 더 속상하다"며 입장을 밝혔다. 


뿐만 아니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의 배우 '브레드 피트'도 함께 비난하였다. "나는 브레드 피트의 팬이 아니다. 그는 (시상식에서) 잘난 척했고, 그는 잘난 척하는 사람입니다."라며 비난하였다. 이는 브레드 피트의 아카데미 수상소감에서 트럼프의 탄핵 재판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옹호한 공화당 의원들을 비판하자 이를 문제 삼은 것으로 보인다.


그의 발언이 '재선을 향한 것인가 아니면 자문화 중심으로 세계의 문화 바라보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인종, 성별, 종교 등의 차별 없이 세계의 문화를 존중하는 것이 한 나라의 대통령으로서, 세계 시민으로서 지녀야 할 태도가 아닌가?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4기 남정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이채원기자A 2020.04.10 13:38
    정말..미국이 싫은게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이 이해가 안가네요...
    아무리 잘 나가는 나라라고 해도 이렇게 대놓고 형편없다는 등 비난을 하다니,,
    미국의 대통령으로써 이런 말을 하면 안 창피하고 안 부끄러울지,,이해가 안 되네요.미국인들의 생각도 트럼프 대통령과 비슷할지,정 반대일지는 잘 모르지만 만약 제가 살고있는 나라의 대통령이 이랬다면 많이 민폐라 생각이 들 듯 해요.한국이 잘못했다면 모를까..상 받았다고 비난을 하다니,,이 소식을 이 기사를 통해 접했는데 약간 당황스럽고 이해가 되지 않네요....ㅎㅎ이런 기사를 써 주셔서 감사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7880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4762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64517
국민청원이 병들어간다 2 2018.08.27 지선우 9945
운치 있는 해안가 산책로, 쓰레기 투기 빗발친다 file 2020.03.02 이승연 9935
이스라엘 한국과 화이자 70만 회분 교환 협약 맺어 file 2021.07.07 고은성 9930
코로나19의 분야별 피해 현황과 그 해결책은? file 2020.03.02 전지영 9929
장·차관 세비 30%반납에 이어 국회도 반납 릴레이 1 file 2020.03.30 김다인 9927
아파트 근처에 있는 코로나 선별진료소 과연 괜찮을까? file 2020.03.05 김묘정 9920
[4.7 서울시장 선거] '이분법정치의 패배'...네거티브는 먹히지 않았다 file 2021.04.09 김도원 9909
실업의 종류와 대책 -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한 실업자 급증 file 2022.03.10 권나연 9907
국민의힘 대선 토론 취소, 이준석 리스크의 현실화? file 2021.08.23 송운학 9903
안전띠 그것은 왜 필요한가? 1 file 2020.02.27 오경언 9899
북미회담의 결과는 어떻게 될까 1 file 2018.06.05 양희원 9896
전세계가 랜섬웨어에게 공격당하고 있다. 2017.07.24 최민영 9893
김복동 할머니 별세, 위안부 문제의 현주소는? file 2019.02.26 박은서 9892
'시간은 흘러도 그때 그 마음 그대로' 촛불집회 2주년 기념 file 2018.10.30 장민주 9892
베트남에서 점점 심해지고 있는 코로나19 2 2020.04.14 김정원 9891
코로나로 무너진 세계 file 2020.05.13 이채영 9889
왜 그것은 말할 수 없는 비밀이 되었는가? 2 2018.01.29 김민소 9884
도로 위 무법자, 전동 킥보드...이젠 안녕 1 file 2021.05.20 변주민 9877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9865
“다시 시작하는 대한민국” 2 file 2017.05.13 한지선 9865
미국 대선의 끝은 어디인가? 1 file 2020.11.25 심승희 9855
아파트 값과 전세값 앞으로는? 1 file 2020.11.05 박범수 9848
대한민국의 새로운 시작을 누구와 함께 할 것인가? 1 file 2017.03.26 구성모 9847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1 file 2017.06.24 윤은서 9842
유행처럼 퍼지는 우울, 무기력....혹시 ‘코로나 블루’ 아니야? file 2020.04.27 정예진 9838
살충제 달걀, 과연 우리는 안심하고 먹어도 될까? file 2017.08.29 임수연 9838
북한의 도발과 중국의 태도 file 2017.09.26 박형근 9834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9832
'어린이 다발성 염증 증후군', 코로나19에 이은 새로운 위협 file 2020.06.26 이다은 9823
위기에 부딪힌 에너지 전환 정책,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 file 2018.07.26 박문정 9803
수요 집회, 사람들의 가슴을 울리다 1 file 2017.05.07 김현재 9799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9789
인류의 제2의 재앙 시작?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코로나 변종 발견되다 file 2021.01.19 김태환 9787
위기의 인도, 코로나19 극복하나? 1 file 2021.05.25 오경언 9782
대왕 카스텔라의 부활 1 file 2020.03.19 강민경 9781
대선에만 치우친 시선, 2022년 재보궐선거는? file 2022.02.25 고대현 9772
[공동취재] 기획기사 ① 신길 2구역 “재개발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file 2021.12.24 오정우 9770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씨, 구속 2개월 연장...7월 범죄인 인도심사 추가 심문 file 2020.06.25 김수연 9768
경기도 2차 재난지원금 지급 시작, 경기지역화폐카드 사용 시 혜택 1 file 2021.02.17 김수태 9767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된 요즘...마스크 때문에 싸우는 나라가 있다? 1 2020.09.29 진예강 9763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9752
이별 후 과도한 집착과 가스라이팅... 이제는 형사처벌까지? file 2022.02.25 김명현 9750
하버드 교수의 ‘위안부’ 비하 발언 file 2021.03.09 최연후 9750
폭우 피해 원인 공방…4대강 사업 vs 태양광 1 file 2020.08.20 김대훈 9749
문 대통령이 밝힌 기해년의 목표는 무엇인가 file 2019.01.08 권나영 9735
OCN의 긴급 편성 변경,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 1 file 2019.09.25 정은재 9733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9728
제19호 태풍 솔릭의 영향은 어디까지일까... file 2018.09.03 정다원 97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