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이뤄낸 보람

by 15기박효빈기자 posted Feb 17, 2020 Views 144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기생충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3기 박효빈기자]


지난 202029일 미국 LA에서 열린 제92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작품이 4관왕을 달성했다. 이날 영화 기생충은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미술상, 편집상, 국제 영화상의 6부문의 후보로 올라 작품상, 각본상, 국제 영화상, 그리고 감독상을 수상하며 총 4부문의 상을 휩쓸었다. 유력 후보였던 영화 ‘1917’원스 어폰 어 타임인 할리우드를 제치고 한국 영화가 101년 만에 세계 영화계의 최상이 되었고 아카데미가 92년 역사상 처음으로 비영어권 나라에 작품상을 넘겼다는 점에서 더욱 의의가 크다. 또 봉준호 감독은 이번 시상식에서 마틴 스코세이지와 쿠엔틴 타란티노 등 세계적인 거장들을 제치고 감독상을 수상했다. 각본상 또한 아시아계 중에서는 최초이며 감독상 역시 아시아계에서 두 번째이다. 또한 영화 기생충은 제72회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바 있어 칸 수상작이 아카데미 작품상을 거머쥔 것은 역대 두 번째이다


영화 기생충은 송강호, 이선균, 조여정, 최우식, 박소담 등이 출연, 2019530일에 개봉했다. 누적 관객 수는 2020211일을 기준 10,108,712명으로 우리나라에서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프랑스는 2019년 6월 5일, 미국은 2019년 10월 11일, 그리고 일본은 2020년 1월 10일 영화의 영문 제목 파라사이트’(parasite)로 개봉한 바 있다


영화 기생충의 감독 봉준호 감독은 연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 한국 영화아카데미 11기 졸업생이다. 19936mm 단편 <백색인>의 작품으로 데뷔했다. 2003<살인의 추억>으로 그만의 작품세계를 구축했다는 높은 평가와 작품성, 흥행성까지 인정받았으며 2006<괴물>로 칸영화제에서 호평을 받고, 20068월 국내에서 개봉하여 최단기 천만 관객 돌파라는 성과를 맺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단 사회부=13기 박효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4기조윤혜기자 2020.02.21 18:30
    이 기사를 통해 영화 기생충의 수상이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 대한민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 ?
    15기박효빈기자 2020.02.29 14:34
    대단한 것 같아요. 우리나라를 알리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
    14기신동현기자 2020.02.24 17:43
    기사를 읽어보니 기생충은 한국영화계와 해외영화계에 한 획을 그었다고 해도 될 만큼 어마어마한 파급력을 불러일으킬거같네요.
  • ?
    15기박효빈기자 2020.02.29 14:34
    맞아요! 자부심을 가져도 될 것 같아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8395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6445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09008
대전시 유성구에서 청소년을 위한 '나Be 한마당' 열려 file 2017.09.18 신동경 18267
'기부박수 337', 스타들의 뜻 깊은 기부 릴레이 1 file 2017.05.16 고주연 18263
대한민국 대표 검색사이트 네이버! 3년만에 새 단장하다! 6 file 2017.03.13 한윤성 18262
이주 노동자 노동착취로 개최될 2022 카타르 월드컵 file 2016.10.24 노태인 18261
취미, 이제는 즐거움과 집중력의 두마리 토끼를 잡다 4 file 2016.03.13 이지수 18261
청주 광복절 행사, 청소년 우리나라 바른 역사 알기 file 2017.08.17 허기범 18257
장성규,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제6회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홍보대사 위촉 및 기부금 전달식 가져 1 file 2021.03.30 정지우 18255
『제2회 환경을 생각하는 과학/공학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 발표 file 2019.12.30 고서영 18247
포켓몬 고 한국 정식 출시, 증강 현실(AR)이란? 13 file 2017.02.03 정승훈 18238
순수하고 풋풋한 첫사랑을 엿보다, 영화 플립 2 file 2017.08.22 박소이 18237
아픔의 역사를 간직한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에 가다 1 file 2016.08.25 양소정 18236
'도깨비'의 저승사자, 이동욱의 첫 공개방송 3 file 2017.08.31 이나영 18234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 세상에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다! 1 file 2017.03.01 이윤희 18234
책으로만 본 국회의사당, 직접 만나보세요! 7 file 2017.02.08 김수오 18232
녹슬지 않는 철? 1 file 2017.03.21 손시연 18225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과학기술인 팝아트 전' 개최 file 2017.08.04 오태윤 18224
통일에 대한 너의 인식에 변화가 필요해! file 2016.07.25 오지은 18223
‘名家의 몰락’ 뉴캐슬, 화려했던 과거 file 2019.01.31 서한서 18222
프로야구 FA 미계약자들, 이대로 미아 되나? file 2018.01.15 손종욱 18222
'의료기술, 생명윤리의식' 둘의 관계, 의료계열직업 희망학생들이 고려해야할까? file 2017.05.25 진시은 18222
파주 영어마을에 갔다오다. file 2016.06.09 황지혜 18221
영화 겟 아웃의 나오는 인종차별에 대해 알아보자 1 2020.09.25 김경현 18216
'화성의 자랑' 송산 포도 축제장으로 file 2017.09.12 이지은 18207
스마트 디바이스 쇼(KITAS) 2017, 모든 스마트 기기들을 한눈에! 2017.10.11 이유진 18202
'2019 한중국제영화제 영사모 지역문화페스티벌' 세종시에서 열리다! file 2019.08.27 이채연 18201
영어교육의 기회를 모두에게 file 2016.09.26 이나은 18199
붉은 악마들, 부산에서 15년 만에 일어서다! 1 file 2019.06.11 김나연 18197
프로야구의 응원 변화! 1 file 2017.05.07 김지헌 18195
서초구 여성민방위대 창설 기념식 1 file 2016.06.01 정수민 18195
부산의 근현대 역사, 부산근대역사관 1 file 2017.08.27 손한이 18192
세계의 음식, 그이상의 문화 file 2016.04.17 이봉근 18190
얼음이 녹자 드러나는 살인의 비밀, <해빙> file 2017.03.18 이경하 18189
문화가 있는 날, 살롱 드 양림 1 file 2016.11.03 김다현 18189
도시 속 숨쉬는 역사; 단종과 정순왕후의 사랑이야기 part 2 1 file 2016.10.23 최원영 18189
끝없는 벚꽃의 향연! 2016 진해군항제 file 2016.04.11 최우석 18188
서툴게 오늘을 살아가는 당신에게 <곰돌이 푸, 서두르지 않아도 괜찮아> 1 file 2019.07.22 최가온 18186
모두가 차별받지 않는 세상을 위한 한 걸음, 성별 인칭대명사(Gender Pronouns) file 2021.10.05 홍소민 18183
Trick or Botanic! 서울식물원에서 만난 핼러윈 4 file 2019.11.01 정다운 18183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8181
국내 최대 규모의 건축박람회, MBC 건축박람회 file 2017.08.31 최나연 18179
'로스트 인 파리' 도미니크 아벨-피오나 고든, 첫 내한 file 2017.05.04 이지원 18179
[MBN Y Forum] 불가능을 즐겨라!, Enjoy the Impossible! 1 file 2017.02.19 박수연 18179
'서호정자' 가 우리의 안녕을 묻습니다. 2016.04.04 김형석 18178
B1A4 콘서트로 본 올바른 팬덤문화, '기부부스' 1 file 2017.02.25 성주영 18175
왕의 애민사상을 엿볼 수 있는 음식, 설렁탕 3 file 2017.03.23 박예은 18172
부천시 석왕사 연등축제 성료 file 2016.05.28 백재원 18171
힐링하는 축제, 유성온천 문화축제 file 2017.05.27 손예은 18168
게임 속 등장하는 로봇, 현실 개발은? file 2017.05.24 이현승 181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