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영국 총선, 보수당 승리... 존슨 총리의 향후 과제는?

by 13기김지민기자A posted Dec 20, 2019 Views 1196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영국 국기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3기 김지민 기자].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3기 김지민기자]


지난 12일 열린 영국 조기 총선에서 보리스 존슨 총리가 이끄는 보수당이 하원 과반 의석을 획득하여 승리하였다. 보수당은 전체 의석 650석 중 과반수가 넘는 365석을 얻어, 향후 단독 내각을 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제1야당인 노동당은 203석을 얻어 참패했다. 이는 노동당의 전통적 지지기반이었던 잉글랜드 중부와 북부 '붉은 벽'의 유권자들이 제2국민투표를 하겠다는 노동당에 등을 돌리고 브렉시트 완수를 공약으로 내놓은 보수당에 투표하였기 때문이다. 제레미 코빈 노동당 대표는 책임을 지며 사퇴 의사를 표명하였고, 곧 차기 노동당 대표를 선출할 절차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자유민주당 역시 당 대표인 조 스윈슨 대표가 낙선하는 등 혼란을 겪고 있다.


보리스 존슨 총리는 성탄절 이내에 새 의회에서 유럽연합과의 합의안을 통과 시켜, 내년 1월 31일 브렉시트를 단행할 예정이다. 총선 직후, 브렉시트로 인한 불확실성이 해소되어, 영국 파운드화는 3% 가까이 급등하였다. 다만, 모든 불확실성이 제거된 것은 아니다. 영국 정부는 유럽연합을 비롯한 세계 각국과 11개월의 전환 기간 내에 자유무역협정(FTA)을 이뤄내야 한다. 기한 내 FTA를 이뤄내지 못할 경우 영국은 큰 경제적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스코틀랜드 독립 문제가 재점화 되고 있다. 이번 선거에서 스코틀랜드는 스코틀랜드 국민당(SNP)의 손을 들어주었다. 이는 지역 유권자들이 브렉시트에 반대하고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주장하는 SNP에 표를 몰아주었기 때문이다. SNP 대표인 니콜라스 스터젼 스코틀랜드 자치 정부 수반은 총선 후 "제2의 독립투표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존슨 총리는 이에 반대의 뜻을 밝혔으며, 양측은 가까운 시일 내에 다시 논의하기로 하였다. 


이번 총선에서 당선된 650명의 의원들은 17일 하원에 모여 본격적으로 임기를 시작했다. 또한, 존슨 총리는 소폭의 개각을 단행했으며, 의회의 새 회기가 열릴 때마다 여왕이 의회에서 정부의 향후 정책을 발표하고 승인을 요청하는 여왕 연설(Queen's Speech)은 19일에 열릴 예정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3기 김지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25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63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866
2018학년도 수능 연기, 땅이 준 기회의 7일. 2 file 2017.11.17 임하은 13934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8121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9523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8682
2021년 최저임금 130원 인상된 8,720원 결정…역대 최저 인상률, 그 이유는? 1 file 2020.07.24 이민기 12752
2022 부산도시재생박람회 연기 및 축소 개최 file 2022.11.04 이지원 5747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7741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차 정기 심포지엄 개최 file 2022.08.19 이지원 5502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토론회 개최 file 2022.08.25 이지원 5593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7207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 file 2018.02.07 김진 11311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677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9195
20대 국회의원 선거, 새로운 정치바람이 불다 2 file 2016.04.16 황지연 16591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709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7205
21대 총선에서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첫 시도, 결과는? file 2020.05.07 장민서 9198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392
27년 만에 깨어난 사람도 있다! 안락사는 허용되어야 할까? file 2019.05.27 배연비 24947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7452
2년만에 진행된 남북 고위급 회담 file 2018.01.12 정성욱 10327
2살 아들 살해한 20대 父...늘어가는 아동학대 1 file 2017.02.24 조유림 15587
2월 14일, 달콤함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 16 file 2017.02.14 안옥주 16974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에 가려진 슬픈 역사 20 file 2016.02.14 김혜린 18769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4865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743
2차 북미정상회담, 평화를 위한 발걸음 file 2019.03.04 김주혁 9267
3.11 이것이 촛불의 첫 결실입니다 2 file 2017.03.18 김현재 10623
3.1운동 100주년, 배경과 전개 양상 및 영향을 알아보자 file 2019.04.01 맹호 13094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2542
32번째를 맞이하는 2020년 도쿄 올림픽, 과연 예정대로 열릴 수 있을까? 6 file 2020.02.28 장민우 15208
365일 우리와 함께 하는 화학물질 file 2020.05.06 이유정 7884
3년동안 끝나지 못한 비극 1 2017.09.28 윤난아 11576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2018.01.23 김세정 15149
3월 9일 부분일식 관찰 2 file 2016.03.25 문채하 16994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8154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10596
3주째 지속되는 미국 캘리포니아 토마스 산불, 그 사태의 현장은? file 2017.12.22 이수연 12951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4411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과제 1 file 2016.04.25 강예린 17260
4.13 총선! 야당은 분열 여당은 균열 1 file 2016.04.09 최다혜 17398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1705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7913
4.7 보궐선거가 보여준 민심 file 2021.04.20 서호영 7773
4.7 보궐선거의 결과 그리고 그 이후의 행보 file 2021.04.26 백정훈 104353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7118
40년 전 그땐 웃고 있었지만…국정농단의 주역들 구치소에서 만나다 file 2018.03.30 민솔 10771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7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