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글날' 제정

by 12기이지현기자 posted Nov 15, 2019 Views 121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PicsArt_11-03-10.32.4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2 이지현기자]


2019 9 11(현지 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의회가 '10 9 한글날' 기념일로 제정했다11(현지 시각) 캘리포니아 주의회는 지난 9 매년 10 9일을 '한글날(Hangul Day)' 제정하는 결의안(ACR 109) -하원 40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결의안(ACR 109) 올해부터 10 9일이 한글날로 지정됐다.


캘리포니아 주의회 샤론 쿼크-실바(민주) 의원실 박동우(66) 보좌관은 본지 통화를 통해 "미국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려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널리 알리는   중요하다고 믿었다. 한인회 도움을 받아 우리 한글을 널리 알리자는 편지를 의회에  호소했고, 마침내 -하원에서 모두 만장일치로 통과됐다."라고 전했다. 또한, "소수민족 언어로는 미국에서 처음으로 기념일이 생긴 "이라며, "한글의 위대함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결의안은 번호가 'ACR 105' 지정됐었으나  한글날을 기념하자는 의미에서 일부러 제출을 미뤄 'ACR 109' 맞췄다고 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2018 8 13(현지 시각) 한국 광복절 73주년을 맞이해 도산 안창호 선생을 기리는 의미에서 도산 안창호 선생의 탄생일인 11 9일을 '도산 안창호의 (Dosan Ahn Chang Ho Day)' 지정하자는 결의안을 채택했었다. 도산 안창호 선생은 생전  차례에 걸쳐  10 년간 미국에서 거주했고,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동쪽 소도시에서 정착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도산 안창호 선생 덕에 지금 미국 사회에서 한인들이 정착하는  보다  역할을  것으로 보인다당시 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은 "도산 안창호의  제정은 미국 국적이 아닌 외국인의 업적을 기리는 것으로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며 한인 동포 사회의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라며 "도산 안창호 선생이 민족의 지도자를 넘어 미국 현지인들에게도 이민 사회 지도자이자 사회운동가로 인정받은 "이라고 전했었다실제로 미국에서는 '도산 안창호 선생' '마하트마 간디 선생' 준할 만큼 위대한 민족운동가로 평가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2 이지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정예람기자 2019.12.02 19:30
    미국에서도 한글과 안창호 선생님을 사랑하는 마음이 매우 크네요. 정말 한국의 아름다웠지만 일제에 의해 가려졌던 역사가 다시 한번 세상에 주목받아서 한국인으로써 흐믓해지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02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38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639
양산 폐교회 건물 인근에서 훼손된 사체 발견 file 2021.01.11 오경언 12655
끝나지 않은 그들의 수라, 미제 사건 file 2017.03.18 최사라 12651
청소년들이 던져야 할 질문 하나, 과연 문명의 발전은 인류를 행복하게 해주었을까? 2 2019.01.11 임효주 12647
생활쓰레기문제,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 주자. 2 2017.07.17 박수지 12642
에이즈 치료제를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에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file 2020.03.09 김서연 12634
헌법재판소,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file 2019.05.28 김민준 12634
잇따르는 티베트 분신, 그러나 국제사회는 무관심... file 2018.03.02 박현규 12629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file 2017.03.25 김주영 12626
아리아나 그란데, 맨체스터 아레나 공연 중 테러 7 file 2017.05.30 서주현 12622
"낙숫물이 댓돌을 뚫는다." 1 2018.09.27 유하은 12614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12611
이번 설날 연휴, 고속도로 정체가 발생한 이유는? 1 file 2019.02.20 권민성 12608
전술핵 재배치, 당신의 생각은? file 2017.10.13 윤정민 12597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부의 불평등 2 file 2017.05.16 양현서 12588
해외, 국내의 #Metoo 운동, 차이점은? 1 file 2018.05.08 김세현 12587
헌법기관 vs 헌법기관... 아직 끝나지 않은 싸움 file 2017.03.21 박찬웅 12583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 변동 1 2018.10.01 권나영 12581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기자단 단톡방에서 성차별적 표현 쓴 회원에 대해 경고조치 검토중” file 2017.08.16 디지털이슈팀 12577
페이스북 이용한 '개인정보 불법 유통' 근절 필요 file 2018.04.11 신진우 12565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아시나요? 2 file 2017.07.08 이가현 12563
'학생을 위한' 수능 절대평가 과목 확대, 학생을 위한 것인가? 6 file 2017.08.24 도서영 12554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2539
국공립 어린이집의 확대 file 2019.11.29 임소원 12532
총기 규제에 대한 미국 내의 두 반응 file 2018.04.05 전병규 12523
끝까지 지켜보아야 할 세월호 인양 2 file 2017.03.07 김하늘 12522
살충제 계란 파동, 그 현황과 피해 1 file 2017.09.01 오수정 12518
구글 클래스 접속 오류... 학생부터 교사까지 '일동 당황' file 2020.09.28 황수빈 12508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바람 이뤄줄까 file 2017.05.25 서은주 12500
일본군 '위안부' 문제-현세대가 풀어나가야 할 숙제 2 file 2019.01.21 황민주 12496
청소년들의 일상이 되어버린 SNS 2 file 2018.01.03 정유정 12491
무너지는 교사의 인권 2 file 2018.04.02 신화정 12483
평창이 낳은 스타 file 2018.03.06 김동현 12483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2480
북한의 폭진, 멈출 수는 없을까 3 2017.10.17 권서현 12475
2018년, 최저임금 인상 5 file 2017.07.21 최현정 12472
소년법, 개정인가 유지인가? 1 file 2017.10.02 5기정채빈기자 12468
이시종 충북지사 “청주 서문시장 삼겹살 거리 활성화될 것” file 2018.03.06 허기범 12465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12463
한반도 문제의 판이 커진다? - 북러 정상회담과 중국의 반응 file 2019.05.02 맹호 12463
탄핵 후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들 file 2017.03.19 박윤지 12463
대한민국 공직사회...잇따른 과로사 file 2017.03.17 최시현 12462
대부분의 학생들이 하루를 보내는 학교, 그런데 이런 곳에 1급 발암 물질이 있다? 3 2018.08.24 공동훈 12455
국민의 힘은 과거나 현재나 모두 같다. 1 file 2017.03.19 신해인 12452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2449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폐지, 과연 올바른 해결책인 것인가? 2 file 2017.06.25 이지연 12442
부산시 교육청 학생인권조례 제정 임박 file 2017.10.02 박상혁 12440
그날의 기억 잊혀도 되는 걸까? 5 file 2018.04.20 강동준 12433
논란 속의 '페미니즘' 1 2018.04.18 이가영 124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