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고양이 액체설이 진짜라고?

by 11기박성아기자 posted Jul 10, 2019 Views 2368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요즘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다들 잘 아는 용어인 '고양이 액체설'은 고양이가 마치 척추가 없는 연체동물처럼 몸을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들 우스갯소리로 하는 말이었지만 프랑스 과학자 파르딘 마크-앙투안은 고양이 액체설로 수학 공식과 함께 어린 고양이가 늙은 고양이보다 모양을 더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여 이그노벨상 물리학 부문 수상자가 되었다고 한다. 그럼 고양이는 도대체 어떻게 액체라고 불릴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1fc4db68489fed036f355f1a89546002[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박성아기자]

    

 첫째, 고양의 몸의 구조이다. 고양이가 연체동물처럼 움직일 수 있었던 것은 사람보다 더 많은 척추뼈의 개수를 가지고 있는데 사람은 척추뼈가 33개지만 고양이는 무려 53개에 달하는 뼈를 가지고 있어 더 자유롭게 몸을 구부릴 수 있다. 그리고 사람은 쇄골 뼈가 다른 뼈들과 연결이 되어 있어 움직임이 제한적이지만 반면에 고양이의 쇄골은 뼈가 아닌 인대에 붙어 있어 더 자유롭게 몸을 구부릴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야생성과도 관련성이 매우 깊다. 야생에서의 고양이는 위험으로 지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공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좁은 공간을 현재 고양이까지도 선호하고 있고 이러한 야생의 습성이 남아있기 때문에 좁은 공간을 알아서 찾아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고양이를 기르고 있다면 고양이에게 비싼 캣 타워보다 숨을 수 있는 좁은 상자나 공간을 마련해주는 게 어떨까? 그렇게 된다면 고양이에게 더욱 효율적이고 아늑한 공간이 만들어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1기 박성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1기신여진기자 2019.07.11 21:32
    저도 고양이 만지면 연ㄴ체동물 같아서 신기했는데 이런 거였군요 !!
  • ?
    11기신여진기자 2019.07.11 21:33
    저도 고양이 만지면 연ㄴ체동물 같아서 신기했는데 이런 거였군요 !!
  • ?
    11기이지수기자 2019.09.26 22:06
    저도 고양이만 보면 정말 자세가 신기하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다 이런 이유였군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8637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7102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416435
나도 우리집 귀한자식, 청소년의 노동권리 당당하게 누리자! 1 file 2019.08.27 강훈구 14483
세계문화유산, 하롱베이를 찾아서 file 2019.08.27 정다솜 14284
꿈의 컴퓨터, 양자 컴퓨터 file 2019.08.27 김채운 17218
해외파 선수들의 기대되는 활약 file 2019.08.26 배승환 16830
포마켓, 포천 시민이 만들어가다 file 2019.08.26 김선우 16044
신나는 물놀이에 흠뻑 젖다 ‘정남진 장흥 물축제’ file 2019.08.26 조햇살 18168
증권회사의 증권회사인 한국예탁결제원에 가다! file 2019.08.26 윤다인 15375
서로 도우며 사는 사회. 사회적 경제 기업가를 꿈꾸다 file 2019.08.21 추세영 16082
서대문독립민주축제,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 1 file 2019.08.19 노주영 17254
모의유엔에서는 무엇을 하나요? 2019.08.19 이서연 23445
영월, 그곳의 여름은 1 file 2019.08.14 이지수 18820
자원을 생각하는 컵 1 file 2019.08.12 박지예 17280
환전은 무엇일까? file 2019.08.09 송수진 27787
기내식이 맛없는 이유는? 6 file 2019.08.07 박성아 20803
페르세폴리스 - 이란 소녀의 성장기 2019.08.06 김서연 19255
제련 기술의 발전, 현재와 미래의 밑거름 file 2019.08.05 박현준 18030
팬 만들려다 팬 잃고 돌아간 최악의 유벤투스 내한 경기 2 file 2019.08.02 백휘민 18670
'2019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가다 2 file 2019.08.02 조햇살 20609
한·중·일 초청 청소년 축구대회 "파주 FC 우승" file 2019.08.01 고요한 21487
서울 시청광장에서 열린 7.20 박해반대 행사 2019.08.01 송은녁 14939
'바이나인(BY9)', 기적의 첫걸음을 시작하다 2019.07.31 김민정 18041
'알라딘', 연기와 음악 모두 접수하다 1 file 2019.07.29 김민정 15304
情을 담은 정다운 청소년 자원봉사프로그램 file 2019.07.29 문유정 16445
한국 청소년, 미국 친구들과 만나다! file 2019.07.29 이솔 17145
마음의 온도, 언어의 온도 2 2019.07.26 신수민 19888
'아티스틱'한 염주체육관에 다녀오다 file 2019.07.26 김석현 15741
색다른 서울 근현대사 탐방하기 file 2019.07.25 최민주 17295
다양한 차원의 세계들 file 2019.07.25 11기이윤서기자 18057
누구나 알기에, 의미를 잘 분별해서 들어야 할 동요, '우리 집에 왜 왔니' 2 file 2019.07.25 유예원 18317
이번 방학은 달로 갈까? 사이언스 바캉스에서 만나! file 2019.07.24 나어현 16806
서툴게 오늘을 살아가는 당신에게 <곰돌이 푸, 서두르지 않아도 괜찮아> 1 file 2019.07.22 최가온 18190
'제헌절', 성찰의 계기가 되다 file 2019.07.22 최은서 18338
수원시 청소년의회에서 청소년도 정치를! file 2019.07.19 임유진 18320
작은 키가 어때서? 나는 작아서 좋아요! file 2019.07.18 김민경 18998
여행 경비가 부족할 땐 공짜 숙소로 카우치서핑? 2 file 2019.07.17 정지우 19094
없어져야할 문화 두 번째: 전족(연꽃발) 3 file 2019.07.12 이승환 23907
고양이 액체설이 진짜라고? 3 file 2019.07.10 박성아 23683
너 학교 끝나고 뭐 해? 나랑 카페 갈래? 스터디카페! 3 file 2019.07.09 하늘 24906
일본의 음식 여행 4 file 2019.07.08 이지수 22989
세계에서 가장 긴 도시 철도.. 서울 지하철 1호선이라고? 2 file 2019.07.01 김도현 31698
잠과 공부 시간 1 file 2019.06.28 장민혁 18960
여러분의 아이디어, 특허로 보호하세요! file 2019.06.27 박현준 18528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갯벌 속으로 ‘2019 고창갯벌축제’ file 2019.06.25 조햇살 22056
춤을 추는 Palette file 2019.06.20 조하은 26768
탈북 여대생 박연미, 전 세계를 대상으로 북한의 실상을 드러내다 file 2019.06.19 이승하 21846
'클래식씨-리즈' 롯데와 삼성이 추억을 되살리다 file 2019.06.17 백휘민 19332
제18회 거제시 청소년문화축제 file 2019.06.17 조혜민 19130
제 5회 소프트웨어 사고력 올림피아드 file 2019.06.17 고은총 177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