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코에 빨대가 꽂혀있는 거북이가 발견된 그 이후, 지금

by 11기박서연기자 posted Jun 07, 2019 Views 187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creen Shot 2019-06-06 at 11.08.02 PM.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박서연기자]


'바다’ 하면 어떤 것을 떠올릴  있을까옛날에는 시원하고 휴양지의 이미지만 떠올릴  있었지만 근처 바닷가만 가보아도 쓰레기들을 쉽게 접할  있고 최근에는 해양오염이 가장 먼저 떠오를 같다그린피스에 따르면 매년 바다에 버려지는 쓰레기양이 무려 800 톤이라고 한다그리고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바다에 1 6500 톤에 달하는 쓰레기가 떠다니고 있어 지금처럼 플라스틱 쓰레기가 증가한다면 2050 바다에서는 물고기보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많아질 것이라고 한다.


최근 들어 우리가 바다에 무심코 버린 쓰레기 때문에 수중 생명체들이 고통받고 있다는 기사들을 많이 접해볼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2015년에 코스타리카에서 코에 빨대가 꽂혀있는 거북이가 발견된 사례가 있다당시 거북이 코에 꽂혀있던 빨대를 빼자 코에서 피가 흐르고 괴로움에 몸부림을 치는 거북이의 모습이  세계의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어 사람들이 해양오염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렇다면 3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죽어가고 고통받고 있는 수중 생명체들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번째는프로젝트 어웨어(Project Aware)이다. 

프로젝트 어웨이는 다이버들이 해양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방치된 어망플라스틱 쓰레기를 수거하는 활동을 통해 상어, 만타가오리 종을 보호하는 활동이다현재 182개국이 참여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1,302,250개의 잔해물을 수거하였다.


번째는,  인도네시아에서 해양을 오염시키는 쓰레기들을 극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일년에 10 달러의 지원을 약속하였다.

2017 세계 해양 정상회담에서 인도네시아 해양부 장관인 판자이탄은 자연적으로 분해 가능한 카사바나 해초들을 플라스틱 대체물로 사용하는 새로운 산업을 발전시킬것과 플라스틱 가방 사용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도록 하는 정책을 제안하였다.

Screen Shot 2019-05-26 at 7.10.04 PM.png[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 기자단 11기 박서연기자]


세번째는지역해 프로그램(Regional Seas Programme)이.

유엔환경계획(UNEP)이 운영하고 있는 지역해 프로그램은 지중해흑해북·서태평양 등 지역해 권역에 속한 국가가 책임감을 가지고 해당 지역해 특성에 맞는 해양환경 보전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우리나라에서는 중국러시아일본과 함께  북서태평양실천계획(NOWPAP: North-West Pacific Region Action Plan) 이행되고 있다.


네 번째는, NOWPAP- ICC TEMM 워크숍이다.

유엔에서 주최하는  워크숍은 NOWPAP 4 회원국(우리나라중국러시아일본) 해양쓰레기 현황을 공유하고 각국의 해양쓰레기 정책  관리 방안에 대해 발표  토의를  내용으로 인근 연안에서 회원국 워크숍 참가자  지역주민 그리고 NGO 협업하여 연안 정화 활동을 통해 해양쓰레기 줄이기를 몸소 실천하는 시간을 갖는다. 4 회원국이 매년 모여 현재 시행 중인 다양한 정책에 대해 소개도 하고 있다중국 정부는 해양쓰레기 주요 배출국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육상과 해상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폐기물 관리 정책을 시행 중이고 민간기업의 플라스틱 사용 규제 강화미세 플라스틱 위해성 연구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사업 등 해양쓰레기 대응 정책을 시행 중이며 일본 정부는 부유침적 쓰레기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해양쓰레기 현황과 발생원인 분석에 집중하고 있다고 한러시아는 어선과 어구의 현대화, 폐어구 수거조업 체제 개편 등 조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양쓰레기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며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의 양을 저감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


이처럼 이제는 세계 모든 국가에서 해양 쓰레기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나라에서 실행되는 정책도 물론 중요하지만 해양 쓰레기의 양을 저감하고 고통받고 있는 수중 생명체들을 위해 우리 개개인의 노력이 더욱 중요한 것 같다지금부터라도 바다에 무심코 쓰레기를 버리지 말고 쓰레기통에 버리고 떨어져 있는 쓰레기를 줍는 행위 등을 실시한다면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가 생각해왔던 상쾌하고 시원한 바다의 모습을 다시 되찾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1기 박서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5439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2148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40151
미세먼지,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1 file 2019.04.09 박현준 15150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5153
한 사람에게 평생의 상처를 남긴 수완지구 집단폭행 사건 3 file 2018.05.25 박한영 15157
당신은 알고 있었는가,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파업 3 file 2016.06.18 정현호 15158
주황리본, 제2의 세월호 file 2017.11.30 안옥주 15160
죽어서도 편히 쉴 권리, 반려동물에게도! 2 file 2016.09.30 박채원 15174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영유권 주장 file 2019.08.16 백지수 15179
점점 사라져가는 생물들...생물 다양성을 보전하자! 1 2020.02.13 윤혜림 15186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5187
점점 폭력적으로 변해가는 태극기 집회 6 file 2017.02.20 송선근 15188
각 나라의 코로나19 대처법은? file 2020.04.09 이채영 15191
인천 초등생 살인 사건.. 13년으로 감형? 불만 표출 1 file 2018.05.09 이승원 15203
아파트 금연구역 지정, 좀 더 쾌적한 아파트 단지를 만들어요 2 file 2016.07.24 박하은 15207
"PARK OUT" 박근혜 탄핵 해외 반응 2 file 2017.03.12 이태호 15212
정치적 비리의 피해자가 된 올림픽 영웅. 6 file 2017.04.01 정예진 15226
이 ‘데자뷰’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5 file 2016.09.16 조민성 15228
아이스크림 정찰제, 확신할 수 없는 효과 1 file 2016.08.25 박하연 15234
신생아 낙상사고 후 3년간 사실 은폐... 의료윤리는 어디로? 2019.06.24 한웅희 15239
당사자인가, 연대인가? 인권운동의 딜레마 file 2018.12.26 김어진 15243
갈수록 난민혐오 심해져. 2 file 2016.03.25 임유희 15246
제1268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잊지못할 그 날의 아픔 5 file 2017.02.20 김연우 15251
애국자인가 반역자인가? 4 file 2017.02.22 심지수 15255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명령의 또 다른 의도는 없을까? 2 file 2017.02.15 김채원 15261
브뤼셀 테러 발생, IS의 테러는 어디까지 5 file 2016.05.24 정가영 15264
리우올림픽 D-10, 불안한 치안부터 러시아 도핑 논란까지 4 file 2016.07.27 이소민 15270
정부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역사진흥원’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09.04 디지털이슈팀 15282
美서 '북한·러시아·이란' 통합제재안 통과, 각국의 반응은? 3 file 2017.08.09 홍동진 15286
광복절 특사, 국민 대통합? 이젠 국민 취급도 안하나? 4 file 2016.08.15 오성용 15295
국정교과서, 누구를 위한 역사 통합인가 7 2017.03.02 방예진 15295
언어는 차별의 결과가 아닌, 시작이다 2 2018.10.12 유형민 15313
퀴어 퍼레이드 그 스무 번째 도약, 평등을 향한 도전! 서울 도심 물들인 무지개 file 2019.06.07 정운희 15315
난민 수용, 어디까지 가야 할까? 1 file 2019.10.22 전순영 15318
“여자들이 나를 무시해서 그랬다.” 4 file 2016.06.14 장은지 15322
기상이변, 넌 어디서왔니! 4 file 2016.09.01 김나림 15327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③죄수의 딜레마 2019.04.01 하예원 15344
저출산/고령화현상 이제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file 2017.02.24 신규리 15345
청소년을 보호하는 소년법, 개정 혹은 폐지? 4 2017.11.09 박찬영 15346
"앞으로 생리대 뭐 써요?" 아직도 논란이 되는 생리대 해결방안은 file 2017.09.27 한유진 15355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2018.01.23 김세정 15375
청소년의 방역패스, 필수인가 선택인가 1 file 2022.01.21 최재원 15377
바른정당 광주·전남도당 창당대회 개최 “친박은 배신의 정치인” file 2017.03.07 황예슬 15387
박근혜, 그녀는 좋은 대통령이었다. 덕분에 국민 대단합 이뤄.. 5 file 2017.04.16 이지연 15393
타오르는 촛불, 펄럭이는 태극기 그리고 헌법재판소 1 file 2017.02.11 이동우 15405
칭다오 세기공원의 한글 사용 실태 file 2019.08.02 유채린 15407
그야말로 혼용무도 삼권분립은 어디로? 6 file 2016.02.27 이민구 15409
특검, 그들은 누구인가? 3 file 2017.02.16 김예진 15422
모두를 경악하게 만든 코로나의 또 다른 습격...해결 방안은? 9 file 2020.08.25 염채윤 15423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4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