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한반도 문제의 판이 커진다? - 북러 정상회담과 중국의 반응

by 14기맹호기자 posted May 02, 2019 Views 1288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90429_235009.pn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맹호기자]

 2019 4 25,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루스키 섬 내 극동연방대학에서 북한, 러시아의 정상이 만났다.

 푸틴은 이날 만찬 연설에서 "러시아는 한반도 외교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고, 북한과 미국의 대화를 지지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최근 "한반도 정세의 안정화"를 목도하고 있다며 앞으로 "한반도 평화와 이를 통한 번영을 국제 사회와 모든 이해 당사국 사이에서 이뤄내야 한다"라고 언급했다. 다음은 회담에 이은 기자 회견에서 매체들의 관심을 끈 푸틴의 발언이다. 푸틴은 비핵화의 전제 조건으로 "북한의 체제 보장"을 제시했고, 김정은 위원장이 "북한의 입장을 미국에 알려달라는 요청을 했었다"고 했다.

 회담 이후,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북러 정상회담이 비교적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한반도 평화를 위해 함께 노력해 왔으며, 한반도 문제와 관련한 로드맵을 공동으로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변인은 중국,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 이사국임을 언급하며 한반도 문제에서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중국 사회 과학원 아시아 태평양 연구소 전문가 양단즈에 따르면, 이번 회담은 북한의 입장에서 러시아의 정치, 경제적 지원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러시아의 입장에서는 한반도 문제 개입 동기를 마련하고 영향력을 확대시키는 효과를 얻게 했다.

 푸틴이 언급한 한반도 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적극적 참여"와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언급한 "중국의 역할" 에는 6자 회담 추진에 관한 공통적인 의도가 담겨있다. WSJ(월 스트리트 저널)이나 FT(파이낸셜타임즈) 등 해외 언론은 북러 정상회담이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기보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강하다고 평가하고 있고, 뤼차오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중국과 러시아는 한반도와 관련, 거의 같은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라고 말했다. 종전에 북한 비핵화 이슈에 관해 비교적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던 양국이 공통적으로 한반도 문제에 개입하려는 의도가 드러나는 대목이다. 한반도 문제의 ''이 커지려는 조짐인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0기 맹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6836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3682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55632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 정치권에 새로운 바람 불까? 3 file 2018.01.26 정민승 11805
베르테르 효과와 미디어 file 2018.01.26 정다윤 13954
블랙리스트,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것인가 file 2018.01.29 전세연 10744
브렉시트 투표 후 1년 반, 어디까지 왔나? 2 file 2018.01.29 신유진 10466
왜 그것은 말할 수 없는 비밀이 되었는가? 2 2018.01.29 김민소 9865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file 2018.01.29 서호연 11097
美정부의 무역 정책과 자승자박 2018.01.30 김민우 13372
민주-보수 4당의 정치 구도, 향후 어떻게 전개될까 2 file 2018.01.31 양륜관 13053
아동성범죄 가해자 어디까지 용서받을 수 있나 3 file 2018.02.02 이승현 11486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1031
비트코인, 엇갈리는 평가와 가치 file 2018.02.02 김민우 12638
국민의당 탈당파 민평당, 정의당과 연대? file 2018.02.05 박우진 10402
소년법 개정 (목적은 교화 먼저?/처벌 우선?) 1 file 2018.02.05 정준교 17831
강원도 표준 디자인 교복, 학생들은 '불편' 1 file 2018.02.07 이형섭 28804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 file 2018.02.07 김진 11553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888
자발이 확보하지 못하는 강제성, 어디서 찾을까? 1 file 2018.02.09 김현재 10643
가습기 살균제의 악몽, 액체괴물로 재발하나 2 file 2018.02.14 최수영 11768
고대영 KBS 사장 해임, 다시 국민의 품으로! 2 file 2018.02.19 김영현 10696
설날에도 웃지 못하는 그들, 지진 피해 직격탄을 맞은 경북 포항시 흥해읍 file 2018.02.19 한유성 11757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1593
울산 석유비축시설 지진에 안전한가? file 2018.02.20 오지석 14168
우버와 에어비앤비 더 이상 공유경제가 아니다. file 2018.02.21 김민우 16127
비트코인 사용시 주의할 점 file 2018.02.21 허어진 10882
원전밀집도 세계 1위인 우리나라, 원전사고에는 無기력 1 2018.02.21 이수안 13908
사이버 폐가는 불법 마약 판매상의 놀이터 file 2018.02.21 조승주 11660
개인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 2 file 2018.02.21 신화정 11412
청소년 인권 개선 위해 팔 걷고 나선 학생들 4 file 2018.02.21 변정윤 13216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file 2018.02.22 허나영 11127
의료기기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file 2018.02.22 홍수빈 12200
성범죄자들의 신상공개제도(처벌과, 또 다른 피해자) 1 file 2018.02.22 정준교 16310
법원,'어금니 아빠' 이영학에게 사형선고, "사회에서 영원히 격리" 2 file 2018.02.23 이승민 11541
공연계 '미투 운동' 확산… 오는 25일 관객 집회 열린다 6 file 2018.02.23 신지선 10898
페이스북, 러시아 간섭의 작은 증거 file 2018.02.25 전영은 10519
뒤늦게 알게된 요양원 건설 소식, 주민들의 반발 file 2018.02.26 하태윤 12243
주소지 파악 불가한 정체불명의 ‘대한민국청소년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8.02.26 디지털이슈팀 13729
우리가 얼마나 소중한지, 당신은 알고 있나요? 2 file 2018.02.26 임희선 12708
[단독] 국내 유명 청소년단체 사칭하는 ‘대한민국청소년협회’ SNS서 활개쳐..네티즌 피해 주의해야 file 2018.02.27 디지털이슈팀 26190
다시 불거진 문단 내 성폭력, 문단계도 '미투' file 2018.02.28 신주희 12464
SRF 열병합 발전소 신재생에너지의 빛인가? 어둠인가? 1 file 2018.02.28 이현규 16672
겨울철 끊이지 않는 레저스포츠사고,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8.03.01 강민지 11303
왜 대한민국은 트럼프 대통령에 반감을 가지게 되었는가 2018.03.01 박세준 11344
양심적 병역거부, 인정되어야 할 안건인가? file 2018.03.01 김은서 12045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9904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이제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1 file 2018.03.02 이단규 12270
간호사들의 악습, '태움 문화' 1 file 2018.03.02 김고은 20321
엄지영 연극배우 '오달수 영화배우로부터 성추행 피해' 실명 폭로···· 1 file 2018.03.02 허기범 14000
미투 운동, 누가 진실을 말하고 있는가 file 2018.03.02 이승현 120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