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우주로 나아가기 위한 한걸음, '인공 잎사귀'에 대하여

by 11기전수이기자 posted Apr 15, 2019 Views 1339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 빠질 수 없는 것이 있다. 바로 산소이다. 장명충(Macrobiotus intermedius), 가시곰벌레(Echiniscus spiniger)같은 특이한 생물들을 제외하면, 지구 대기 중 산소는 복잡한 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필수 요소이다. 생명체는 에너지 생성을 위해 호기성 호흡을 통하여 산소를 얻는다. 사람도 마찬가지로 포도당과 산소를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 그리고 활동하기 위한 에너지를 얻는다.


bb2e88581ac06118f6083c94d7b9e1ce.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1기 전수이기자]


 21세기에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짐으로써, 우주선을 타고 나아가야 하는 거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자원이 한정되어 있는 우주환경에선 산소를 공급받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NASA뿐만 아니라 국내에서까지도,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산소 공급 수단인 ‘인공 잎사귀’를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개발 중이라고 한다. 인공 잎사귀란 과연 무엇일까?


 인공 잎사귀(Silk Leaf)는 영국 왕립예술학교 출신의 줄리안 멜치오리(Julian Melchiorri)와 미국 터프츠 대학교 실크 랩(Tufts University silk lab)과의 공동 프로젝트로 개발되었다고 한다. 일반 식물들은 물과 이산화탄소를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산소와 포도당으로 만드는데, 인공 잎사귀도 이와 같은 원리다. 실크 섬유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주재료로 하고, 식물에서 엽록체를 추출하여 실크 단백질 안에 집어넣는 원리로 제작되며, 실제 잎사귀처럼 물과 빛이 주어지면 스스로 산소를 만들어낸다. 이 잎사귀는 이산화탄소(CO2)를 흡수하고, 산소와 유기 복합물을 배출한다. 또한 아주 적은 양의 물이 잎의 면에 닿기만 해도 물 분해 반응이 일어나도록 제작했다. 인공 광합성은 10% 정도의 에너지 효율이 있어야 상용화가 가능한데, 인공 잎사귀(Silk Leaf)는 태양광을 이용한 에너지 효율이 10%에 달성했다고 한다. 현재까지 인공 잎사귀가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부분은 없지만, 자원이 고갈되어가는 현재 상황 속에서 우주여행을 위해 사용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1기 전수이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5267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979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8220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영화, '아이 캔 스피크' 2 2017.10.20 배수빈 11801
자유한국당 당권 누구 손에? file 2019.02.27 송봉화 11803
살충제 달걀 사건으로 알아보는 살충제 이야기 2 2017.09.04 최수혜 11807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 file 2017.05.29 정경은 11814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1821
조작되는 정치 여론, 국민은 무엇을 해야 하나 3 2018.05.24 황지은 11834
멈추지 않는 BMW 520d 모델 화재사고, 대책은? 2018.08.22 권영준 11839
유권자가 투표할 후보를 볼 때 더 중요한 것은 학교 정보인가? 경력 정보인가? file 2020.04.08 오주형 11841
제25대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그가 내세운 공약은? 1 file 2017.05.24 최현정 11845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847
방탄소년단의 일본 무대 취소사건, 그 이유는? file 2018.11.22 조윤빈 11848
사회적 문제 학교폭력, 법적 관념에서 답을 찾다 file 2017.11.23 김현재 11852
4차 산업혁명을 향한 중국의 도약, 우리나라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3.07 김명진 11858
언론의 힘, 그리고 언론의 빛과 어둠 file 2019.06.03 박은서 11875
미국의 극적인 승부수, '회담 취소 선언'이 가져온 효과 2 file 2018.06.11 김세민 11877
청소년들, 사드(THAAD)를 어떻게 생각할까? 1 file 2017.03.20 4기이예인기자 11880
중국 전역을 덮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책은? 3 file 2020.02.03 고기찬 11881
꽃 피는 3월을 뒤덮은 미세먼지... 그 원인은? file 2019.04.01 노영우 11887
심상치 않은 미국대선, 존재하는 변수는? file 2020.11.24 정예람 11891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892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11895
아직은 시작 단계인 남북정상회담. 2 2018.05.21 권오현 11897
제 2의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사건 막자 file 2017.03.18 황수민 11898
홍콩, 자유를 지키기 위해 거리로 나가다 file 2019.09.02 선혜인 11898
피의자 신분 박 전 대통령의 첫 검찰 수사 1 file 2017.03.21 최지오 11901
일탈 행위에 빠진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9.27 김하늘 11911
제 14회 민족정기선양 3.1독립만세재현 활동 개최 file 2017.03.25 조혜준 11917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1923
이외수작가의 "화냥기". 문학적 표현인가, 시대착오적 사고인가? file 2018.10.16 김단아 11935
정의당 원내대표 故 노회찬 국회의원 영결식 국회장으로 엄수 7 file 2018.07.31 허기범 11940
권선택 대전 시장, 시장직 상실. 대전 지하철 2호선은 어디로? 2017.11.21 한훤 11948
설 곳을 잃어가는 고졸채용 1 2019.03.04 장지선 11953
광복을 꿈꾸고 조국을 그리던 시인, 윤동주 3 file 2017.08.16 장서윤 11957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 중국이 쥔 양날의 검 3 file 2018.05.11 김명진 11967
일본의 거짓말은 어디까지인가 3 file 2019.02.27 노연주 11967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3 2017.04.28 유현지 11968
자유한국당 해산심판 청원 등록...'들끓는 민심' 2 file 2018.05.25 양성민 11970
순환되지 못하는 경제, 젠트리피케이션 2 2019.02.01 권오현 11977
삼산고 학생들이 힘을 합친 '위안부 소녀상 건립' 캠페인 1 2017.10.24 주하영 11981
'여성 혐오'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9.27 홍유진 11982
강릉 가스 사고, 그 책임을 묻다 file 2019.01.03 박현빈 11985
Marketing Taste Test - 블라인드 시음 1 file 2018.06.11 조찬미 11998
페미니즘을 선언하자! 14 file 2017.11.14 배성연 12002
이집트 수에즈 운하 사고 1 file 2021.03.30 최연후 12005
병봉급 인상, 병사들 어디에 쓸까? file 2018.03.27 윤보석 12006
우리가 쓰는 화장품에 가려진 동물실험 3 2020.03.23 신재연 12007
2018년 지방선거 1 file 2018.06.18 조은지 12009
피청구인 박근혜, 靑 을 쫓겨나다. file 2017.03.12 유태훈 120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