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프로야구 응원가 '부활' 할까

by 10기오동택기자 posted Mar 04, 2019 Views 114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02291415822228_1_99_20160229144306.jpg

[이미지 제공=삼성 라이온즈 홈페이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삼성 라이온즈가 윤일상 씨 등 21명의 작곡가들에게 1심에서 승소를 거두었다. 응원가에 사용된 노래를 작곡한 작곡가들은 응원가의 무분별한 개사와 편곡으로 사상, 감정을 포함한 저작인격권의 침해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42000만 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저작인격권은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에 대해 갖는 정신적·인격적 이익을 법률로써 받는 권리'로 명시되어 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26(부장 박상구)는 피고 측인 삼성 라이온즈의 손을 들어주었다. 판결 이유는 삼성 라이온즈가 개사·편곡만 했을 뿐 저작권과 저작자의 인격을 침해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재판부는 "야구장 관객들의 흥을 돋우기 위해 음역대를 좀 높게 하거나 박자 템포를 좀 빠르게 변경한 것으로 음악전문가가 아닌 관객들로서는 기존 악곡과의 차이를 알아채지 못할 정도로 일부분을 다르게 한 정도에 불과하다""음악저작물이 응원가로 사용되는 과정에 수반될 수 있는 통상적인 변경에 해당한다"고 기각 이유를 설명했다. “완전히 개사 된 가사는 원래 저작물의 가사와 유사성을 찾기 힘들어 분리 가능한 독립 저작물로 인정된다고 덧붙였다.

아직 1심이기 때문에 작곡가 측에서 항소를 할 수도 있고 아직 해외 노래에 관한 저작권 문제가 마무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당장 다음인 2019년 시즌에 응원가의 부활을 기대하긴 힘들다는 전망이다. 현재 삼성라이온즈 이외에 여러 구단이 이와 같은 법정 공방을 진행하고 있다.


프로야구 구단들은 응원가 사용을 위해 연간 1억 원을 저작권 단체에게 지불했다. 작년 여러 작곡가들이 각 구단에 원곡 개사와 저작 인격권 침해로 소송을 걸어 2018시즌 동안은 구단에서 직접 만든 응원가를 사용해야만 했다. 귀에 익은 응원가와 달리, 생소한 리듬에 팬들의 목소리는 전보다 조금 작아졌다. 저작권으로 인해 선수 등장곡은 일체 나오지 않았으며 장내 아나운서의 선수 소개만 울려 퍼졌다. 우리나라 야구팬들은 다소 당황했다. 우리나라 응원가 문화는 다른 나라의 프로야구(MLB, NPB)와 달리 인기 가요가 많이 사용되고 경기장에서 응원가를 부르는 것이 발달 되었다. 다시 응원가가 부활한다면 귀에 익고 친숙한 리듬으로 관중들의 목소리를 더욱 높이고 다시 선수들의 개성을 잘 녹인 곡들을 듣거나 따라부르며 경기장을 뜨겁게 달굴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0기 오동택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6998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3853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57279
오랜 침묵을 깬 국제앰네스티, '군형법 제 92조 6조항을 폐지하라' 2019.07.19 신주한 11460
외래종(外來種)의 세계화,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2.26 조원준 11461
프로야구 응원가 '부활' 할까 file 2019.03.04 오동택 11461
'재팬 패싱'은 현실화될 것인가 1 file 2018.06.12 이후제 11462
나비가 되신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8 file 2017.07.23 송다원 11464
국민이 선택한 19대 대통령 문재인 1 file 2017.05.17 김상원 11466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새로운 대통령의 탄생. file 2017.05.12 김수연 11468
살충제 계란의 해결은 동물복지농장과 정부의 철저한 관리 1 file 2017.09.01 최나연 11470
GM 군산공장 폐쇄, 그 속내는? file 2018.03.02 백다연 11470
살충제 달걀 파동, 그 결과는? 1 file 2017.08.25 김민 11484
대형마트의 강제 휴무 제도 5년...현재는? 2017.09.27 허재호 11485
노트르담 대성당의 붕괴 file 2019.05.14 양재성 11485
대한민국의 하늘은 무슨색으로 물드나, file 2017.03.24 장채린 11486
아동성범죄 가해자 어디까지 용서받을 수 있나 3 file 2018.02.02 이승현 11489
런던 시민들의 분노가 폭발했다 3 file 2017.06.19 박형근 11494
인터넷 실명제, 누구의 손을 들어야 하는가 file 2018.09.27 유지원 11494
한중관계, 깊어지는 감정의 골 1 2017.05.21 유승균 11499
국경없는의사회, 한국사무소 설립 5주년 기념 ‘미니 체험관’ 텐트 전시회 개최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1507
문재인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그 안에 담겨 있는 새 정부의 메세지 file 2017.09.05 이지훈 11507
무개념 팬들의 SNS 테러에 얼룩지는 축구계 1 file 2019.06.05 이준영 11507
자유 찾아 다시 광장으로 나온 시민들, 국정 대전환을 촉구하다 2 file 2019.10.24 우상효 11512
어둠의 그림자, 청소년들을 덮치다 file 2020.06.23 최유림 11520
유가족의 간절한 기도, 떠오르는 세월호 1 file 2017.03.25 김수희 11522
김정남 사건, 해외반응은 어떠한가 file 2017.03.25 여수빈 11523
통일을 하면 경제가 좋아질까...? file 2018.11.21 강민성 11523
'폭염에 이어 폭우', 기습적 피해 받은 영동 1 file 2018.08.07 이선철 11524
"잊지 않겠습니다" 지난달 16일 안산서 세월호참사 5주기 기억식 열려 file 2019.05.23 황수빈 11524
2017 대선,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2 file 2017.06.06 최현정 11526
코로나19 예방하는 마스크! 알고 쓰자 file 2020.05.04 윤혜림 11526
같이 사는 세상, 층간 소음 file 2017.10.30 황현지 11527
줄지않는 아동학대...강력한 처벌 필요 file 2018.11.23 김예원 11527
우리가 즐겨하는 게임, 과연 바람직하게 하는 방법은? 2 file 2018.05.16 석근호 11529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11532
광화문에 나온 청소년들, 그들은 누구인가? 2 2017.03.26 민병찬 11533
경찰 머리채 논란 과연 과잉대응이었을까? 1 file 2018.09.03 지윤솔 11533
경제효과 5조 원, ‘방탄이코노미’ 1 file 2019.12.11 백지민 11535
사우디아라비아의 많은 변화, 여성들 새 삶 출발하나? 3 file 2018.10.12 이민아 11536
작지만 큰 그녀들의 외침 4 file 2018.07.26 김하은 11539
최저임금, 정말로 고용에 부정적 효과를 미칠까? file 2020.08.18 이민기 11547
PB상품, 득일까 독일까? 4 file 2017.07.26 서주현 11550
법원,'어금니 아빠' 이영학에게 사형선고, "사회에서 영원히 격리" 2 file 2018.02.23 이승민 11550
스페인을 덮친 테러 6 file 2017.08.23 박형근 11551
헌재소장 임명 부결... 문재인정부 사법개혁 '적신호' 1 file 2017.09.21 고범준 11551
미투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18.08.02 박세빈 11551
이화여대 총장 선출, 학생들의 정당한 권리를 위해 2 file 2017.03.23 박하연 11553
백악관에 닥친 권력 전쟁, 백악관 내전 1 file 2017.08.11 박우빈 11555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1555
'소프트 타깃' 테러 언제까지 이어질까 file 2017.05.23 유규리 115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