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미래의 최고 직업 바이오가 답이다'

by 10기김민지기자 posted Feb 22, 2019 Views 179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치열한 입시 경쟁 속 국내 45개 대학, 265개 바이오 학과를 분석한 최고의 가이드북이 여기 있다.


바이오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김민지기자]


  "이 책은 평생 진로와 직업을 정하려는 청소년, 대학생들에게 바이오 분야를 알려주고자 썼다. 바이오에는 어떤 분야가 있고 어떤 직업이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그래야 바이오가 내가 하고 싶은 분야인지, 졸업 후에는 어떤 직장에 다닐 수 있는지를 미리 알고 결정할 수 있다." 이 책의 서문에 적힌 내용이다.


 이 책의 저자는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현 인하대학교 공대 생명공학과 교수이자 『생명과학 교과서는 살아있다』의 저자인 김은기 교수이다.

 

 책의 시작은 바이오산업이 4차 산업혁명에서의 역할을 자세하게 설명해준다. 저자는 바이오산업이 4차 산업혁명의 노른자라고 비유할 만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IT분야 등 바이오산업과는 조금 거리감이 느껴지는 분야라고 여겼던 기존의 생각을 깨는 계기가 되었다. 오히려 4차 산업혁명에서 합성생물학은 핵심 분야였다. 바이오산업은 IT, NT, BT가 결합된 형태로 홈 헬스케어, 웨어러블 헬스케어, 원격의료와 같은 스마트의료가 포함된다고 한다.


 이 책의 또 다른 장점은 진로로 고민하는 청소년들을 위해 단과대학별 특성, 관심 연구분야, 연구방법을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다. 미세한 차이가 있는 학과들이 있기에 이공 계열 진학을 생각하고 있는 학생들에게는 최고의 참고서이다. 국내 45개 대학, 265개의 학과를 모두 분석하여 학생들이 배우는 과목과 학과의 특성을 소개해주고 각 학과의 모집 정원부터 전체 교수 수, 학과의 전공분야 등 바이오 관련 학과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쉽게 표로 나타내었다.


 이밖에도 학과의 취업률이나 미래 직업은 물론 업종별로 평균 연봉, 직업별 하는 일 등 미래 진로에 대한 설명도 자세하게 소개하였으며 자신에게 알맞은 바이오 전공 학과를 추천해주듯이 어느 학과가 우수한지 소규모 학과와 대규모 학과 중 어떤 학과가 더 좋은지, 각 바이오 학과의 이름이 다양한 이유는 무엇인지 등 사소한 질문부터 학생들이 알기 힘든 정보와 함께 바이오 진로에 대해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지 등 깊은 조언도 아낌없이 적혀 있다.


 모든 대학의 바이오 학과 분석부터 현 교수님의 아낌없는 조언까지 의대, 공대, 자연대, 농대 등 바이오 학과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꼭 추천하는 책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0기 김민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0기윤예진기자 2019.02.22 22:44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미래산업이겠네요. 워낙 광범위한 분야라고 생각되어서 쉽게 표현해놓았는지 궁금합니다
  • ?
    10기심선아기자 2019.02.24 20:41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2323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7422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97551
광주 기아 챔피언스필드에 가보다 2 file 2017.09.07 장세인 16081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하늘마당, 빛과 그림자 file 2017.06.25 이세림 21582
광정동청소년문화의집, '코딩과 인공지능' 주제로 스마트한 생활과학교실 운영 file 2022.07.13 이지원 11480
광운대 아이스하키팀, 96년 만에 환호성 질러 2 file 2017.02.19 김연수 19005
광복절, 안성에서 그들을 기억하다 1 file 2018.08.27 안정섭 15981
광복의 환희와 되찾은 조국의 상징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9.01.08 이채린 15651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5347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3860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7134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6602
관중 입장이 재개된 프로야구 현재 상황 file 2020.10.26 나주현 12976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6486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7183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5093
과학적이고 아름답다!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 file 2018.01.30 곽승용 20231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9737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7374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5895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3438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file 2018.05.18 신온유 21130
과학에 대해서 궁금하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file 2017.10.25 이예준 16735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4755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6449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7146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3040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8024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2285
과천 누리마 축제의 현장으로 2017.11.24 고은빈 14807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5319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14884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5735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예술인들, 무예 24기 file 2021.04.23 최민서 12662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907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4978
공휴일 아닌 기념일, 그 의미는 알고있니? file 2017.07.25 장서윤 15891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3474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4440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2082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7211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4056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3419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8459
공연 '소년대로' 오는 16일까지 대학로서 공연 file 2023.04.12 박도현 7721
공스타그램, 이젠 공부도 SNS로! 7 file 2017.03.12 이지우 20454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617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1908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987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81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