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신리성지에 가다

by 9기전서진기자 posted Nov 12, 2018 Views 1557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8년 11월 4일, 천주교인이라면 한번씩은 가본다는 신리성지에 갔다. 신리성지는 충남 당진시 합덕읍 평야6로 135에 위치해있다. 정식명칭은 '신리 다블뤼 주교 유적지' 이며 신리성지는 조선 후기 가장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거주했던 교우촌이며 현재는 천주교 성지로 지정되어있다.


20181104_142251_69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전서진기자]


신앙의 역사 

신리에서 천주교가 전해진 시기는 '내포의 사도' 이존창이 세례를 받은 1784년보다 약간 늦은 시기였다. 신앙이 전파되자 신리에 정착해 살던 밀양 손씨 집안을 중심으로 교우촌이 형성되어 1866년 무렵 마을 사람 400여 명 전체가 신자인 교우촌이 되었다. 신리는 해로를 통해 외부와 접촉하기 쉬운 조건, 그리고 내포의 여러 교우촌들과 쉽게 연결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었기에 조선 천주교회의 한축을 담당하였다.


순교자

기록상 신리의 첫 순교자는 1839년 기해박해 때 순교한 손경서(안드레아)이다. 1866년 병인박해 때

손자선 토마스 성인이 공주에서 순교한 이후 서울, 수원, 홍주, 해미, 보령 갈매못 등에서 40명이 순교하였다. 하지만 신리는 규모가 컸던 만큼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무명 순교자들도 많았는데, 인근 대전리 공동묘지에 있는 46기의 무명 순교자 묘소가 이를 말해준다.


병인박해의 영향으로 신앙의 자유가 주어진 후에도 오랫동안 신리에는 신자들이 살지 못했다. 오랜 박해를 기억하는 주민들은 신자들이 신리에 들어와 사는 것을 거부하였다. 그러나 수많은 순교자들의 땅인 신리는 신자들 사이에서 회복해야 할 장소로 기억되어야만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9기 전서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2374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7503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98834
'감독' 없는 인천, 울산과의 경기에서 1대 1 극적의 무승부를 이루다 file 2018.05.31 김도윤 14040
도심 속 환경으로, 서울환경영화제(SEFF) file 2018.05.31 박선영 21720
'2018년도 화성시 청소년 종합예술제'에서 여러분의 끼를 발산하라! file 2018.05.30 김태희 15413
책과 함께, 경의선 책거리 file 2018.05.30 최금비 14877
길거리에 버려지는 쓰레기... 어디에 버려야할까? 1 file 2018.05.30 진현용 35662
6자회담, 부산에서 열리다 1 file 2018.05.30 이시영 16097
미래를 위한 도약,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8.05.30 장서진 15864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독전' 시사회 및 레드카펫 행사가 열리다! file 2018.05.29 문지원 17731
'데미안', 한 권의 책으로 진정한 '나'를 찾기 1 file 2018.05.29 황유라 19174
환경에 대한 새로운 생각,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8.05.29 정하현 16830
5/15, 가족의 날! file 2018.05.29 강지희 15843
외교부와 함께하는 국제법 타운홀 미팅 제2탄, 부산으로 오이소! file 2018.05.29 김태연 16760
지구온난화의 정지? file 2018.05.29 금해인 16640
[기획] 사회적 경제를 위해 청소년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file 2018.05.29 김민우 20908
똑똑한 악동 토끼와의 당근밭 전쟁! 영화 '피터 래빗' file 2018.05.28 김수인 17360
휴일 100배 즐기기 '서울환경영화제'에서! 2018.05.28 김예나 17360
필리핀 보라카이 잠정폐쇄, 그 이후는? file 2018.05.28 박지현 20174
다양한 환경 이슈를 다룬 제15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8.05.28 김지은 15544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환경감수성을 채워주는 시네마그린틴 프로그램 file 2018.05.28 정하영 18814
뮤지컬이 나아가야 할 길 - 뮤지컬에서의 가수 출현은 합당한가 1 2018.05.28 김수현 17743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 열리다 1 file 2018.05.28 조햇살 20174
에메랄드빛 바다, 휴양지 괌 2018.05.28 이다해 17635
음식의 다양성을 겨냥한 편의점, 결과는 ‘대성공’ file 2018.05.28 김민재 16029
2018 PlayX4, 경제적 효과는? file 2018.05.28 박성은 17869
환경과 인간의 공존을 모색하는 아시아 최대의 '제15회 서울환경영화제' 성황리에 마무리··· file 2018.05.25 허기범 16817
청소년이 청소년 참정권에 대해 말하다 file 2018.05.25 염가은 14775
2018 담양 대나무 축제 file 2018.05.25 이지은 16418
'유기동물 행복찾는 사람들' 바자회 개최 1 file 2018.05.25 정수민 14956
암컷만 태어나는 초파리 미스터리, 비밀은 '세균'? 2018.05.25 이재협 17575
KAIST 예종철 교수 연구팀, 인공지능 블랙박스의 원인 밝혀 file 2018.05.25 성소현 18575
제주 4.3사건 70주년을 맞아 방문한 제주 4.3 평화공원 file 2018.05.25 박예지 16682
얼마 남지 않은 UEFA 챔피언스리그, 그 우승 팀은 어디가 될 것인가 3 file 2018.05.25 반고호 15299
청소년의 확실한 행복, 청소년 문화 축제! 1 file 2018.05.25 정세희 16687
제15회 SEFF,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8.05.25 유지연 14294
오는 6월, 중국 칭다오 여행 자제해야 2018.05.25 이준수 17667
만년 꼴찌 이글스, 단독 2위로 우뚝 올라서다! file 2018.05.25 김동현 14547
부를수록 그리운 이름 '우리 어머니' 글과 사진展 file 2018.05.25 김태희 15318
울산의 축제, 쇠부리축제 2018.05.25 김부상 16613
스웩 넘치는 악동토끼가 온다, 영화 <피터 래빗>시사회 2018.05.24 김민지 15754
어벤져스 인피니트 워의 흥행과 논란 1 file 2018.05.24 신지훈 20375
'We the Reds'! 대한민국 태극전사들이 러시아로 향하는 힘찬 발걸음 그 첫 번째! file 2018.05.24 강진현 15458
<영화 칼럼> 영화 읽어주는 고양이 첫 번째 이야기: 리틀 포레스트 2 file 2018.05.24 남연우 17520
용인, 제1회 청소년어울림마당 '동아리 페스티벌' file 2018.05.24 정수현 15941
2018년 우리들의 트렌드, 소확행 file 2018.05.23 정현택 17064
2018년 KBO리그, 기아타이거즈는 올해도 우승할 수 있을까? file 2018.05.23 서민경 16244
아쉬움이 남지만 화려했던 2018 전주 국제영화제 1 file 2018.05.21 안혜민 15648
'스승의 날' 축하 뒤에 숨은 불편함 2 file 2018.05.21 신효원 17418
5월 4일 (LG vs 두산), 어린이날 더비의 시작 2 2018.05.21 최용준 143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