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경제학이多 - 국제경제학

by 8기김민우기자 posted Nov 12, 2018 Views 1594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현재 인류는 세계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 다양한 국제 사회의 주체들이 세상을 이끌어 가고 있으며 곳곳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일들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제 또한 마찬가지이다. 미국과 중국과 같은 강대국이 아니어도 아시아의 작은 나라에서 혹은 남아메리카의 작은 나라에서 발생한 경제 위기나 자연재해는 전 세계의 경제를 흔든다. 이처럼 전 세계가 연결되어 가는 현재에 경제학에서 주목받는 분야는 바로 국제경제학이다.

 

  국제경제학은 서로 다른 국가 간에 이루어지는 상품이나 서비스 거래, 혹은 자본의 이동과 같은 일들에 영향을 주는 제도, 정책 등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이 주된 과제이다. 국제 경제학은 무역과 관련된 국제 관계를 다루는 국제 무역론과 금융적 측면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국제 금융론으로 나눌 수 있다. 국제무역론은 미시경제학에서의 무역 파트와 유사한 점을 보이며, 국제 금융론은 거시경제학의 화폐거래 파트와 유사한 점을 보인다. 그러나 완전히 다른 이 두 주제를 묶어주는 것이 바로 국제경제학의 모습이다.

 

  국제 무역론은 국제적으로 이루어지는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미시경제학의 응용 분야로 봐도 무방하지만, 금융위기나 세계 경제변동과 같은 거시적 요소가 결합하기도 하기에 단정 지을 수 없다. 국제 무역론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주제는 무역이 세계 경제를 어떻게 더 긍정적으로 변화 가능성이다. 이렇다 보니 서로 다른 환경을 보유한 국가들이 무역하게 되면 양 국가 모두 후생이 증진되며, 동시에 품질이나 기능적 측면의 상품 시장이 성장하는 원동력으로 무역을 여기고 있다.

 

  국제 금융론은 국제적으로 이루어지는 금융 관련 자본의 이동을 연구하는 것이 주된 과제이다. 거시 경제학이나 화폐 금융론에서 다루는 주제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환율과 무역 및 자본이동의 관련성에 대해서 주로 다루기에 조금은 다르다. 특히 국제 금융론이 강조되었던 이유는 몇 번의 세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국제 금융 정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부터였다. 그 이후에 국제 금융론 관련 논문에서는 금융위기 관련 연구가 급증하기도 했다.


이미지.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김민우기자]


  국제 경제학은 학부 수준에서 배우는 것보다 대학원 수준 이상으로 들어가야 진수를 알 수 있을 정도로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연구에 대한 현실 적용도 적다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앞으로 보호무역주의와 같은 많은 세계 경제문제가 도드라지리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인 만큼 국제경제학의 중요성은 커질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8기 김민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8319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5311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68418
음원차트 순위 꼭 있어야 하나? 1 file 2020.01.02 전혜은 9665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8616
계속 더워지는 지구... 최근 5년이 가장 더웠다 file 2019.12.31 유승연 9694
학생참여가 가능한 캐나다 선거 Student Vote Day file 2019.12.30 이소민 12439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8696
부정선거와 선거 불복...혼돈의 볼리비아 2019.12.26 신주한 9408
Netflix가 시작한 OTT서비스,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file 2019.12.24 이지현 13455
한중정상회담의 개최, 향후 전망은? file 2019.12.24 신주한 9231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1094
영국의 조기 총선 file 2019.12.23 홍래원 9045
영국 총선, 보수당 승리... 존슨 총리의 향후 과제는? file 2019.12.20 김지민 12149
경제효과 5조 원, ‘방탄이코노미’ 1 file 2019.12.11 백지민 11551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9838
대한민국 가요계의 그림자, 음원 사재기 file 2019.12.02 조은비 11818
국공립 어린이집의 확대 file 2019.11.29 임소원 12775
SNS는 사람이다 file 2019.11.29 전혜은 15067
어린이가 안전한 나라...? file 2019.11.28 김두호 10538
클라우드 기술, IT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file 2019.11.27 이선우 14534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468
일본군 '위안부' 피해, 오해와 진실 file 2019.11.25 정혜인 10485
불거지고 있는 인터넷 실명제 논쟁... 해결책은? 3 file 2019.11.18 박수빈 13676
하늘의 별이 된 설리, 우리가 해야할 숙제는? 2 file 2019.11.15 정다은 13568
올해만 7차례 지나간 것은 무엇인가 1 file 2019.11.15 김선우 10652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글날' 제정 1 file 2019.11.15 이지현 12412
과연 본인 돈으로는 본인 표만을 사면 안 되는 것일까? file 2019.11.14 조서윤 10886
정시 확대, 조국이 쏘아올린 작은 공 2019.11.11 정혜원 10523
유니클로 광고 논란, 일본 불매운동 재점화 file 2019.11.08 권민서 12430
영국, 12월 12일 조기 총선 실시 확정 file 2019.11.07 김지민 10715
솔라페인트, 페인트로 에너지를! file 2019.11.06 최지호 12430
아침밥은 왜 먹어야 하나요? 1 file 2019.11.01 12기우가희기자 16962
오늘날의 신소재 2019.11.01 김이수현 14553
미-중 무역전쟁의 시초 file 2019.10.31 김효정 10549
영국 산업단지서 시신 39구 실린 화물 컨테이너 발견... file 2019.10.31 김지민 12563
미디어, 가벼운 매체가 가진 무거운 영향력 2019.10.30 김우리 10420
산사태와 폭우 피해를 줄여주는 사방댐 file 2019.10.28 윤혜림 15732
자유 찾아 다시 광장으로 나온 시민들, 국정 대전환을 촉구하다 2 file 2019.10.24 우상효 11533
난민 수용, 어디까지 가야 할까? 1 file 2019.10.22 전순영 15361
'우리는 독립을 요구합니다!', 카탈루냐의 독립 요구 시위 2019.10.22 신주한 10940
홍콩 시위, 소녀는 왜 싸늘한 시신으로 돌아왔나 file 2019.10.21 박채원 12539
불매운동, 자주적 화합의 계기 될 수 있을까 1 file 2019.10.15 박문정 11316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따른 전 세계 고기류 인플레 file 2019.10.11 유승연 10625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현재 상황과 대처방안은? 2 file 2019.10.11 정예람 24547
권리와 자유를 지키는 홍콩의 목소리 1 file 2019.09.30 김하민 14257
올림픽인가 실험인가 2 2019.09.30 이지환 10270
Greta Thunberg, 스웨덴의 만 16세 소녀가 UN에 서게 된 까닭은? 1 file 2019.09.30 이채린 11092
세계는 미투를 외친다 file 2019.09.30 김사랑 10711
모두가 방관하여 발생한 일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file 2019.09.27 유예원 9219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106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