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학생독립운동기념일 ‘함께 만든 대한민국, 함께 만들 대한민국’

by 8기오수환기자 posted Nov 02, 2018 Views 1569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충청북도 청주교육지원청은 11월 1일 청주교육지원청 강당 및 광장에서 '함께 만든 대한민국, 함께 만들 대한민국'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제89주년 학생독립운동기념일 행사를 진행하였다. 강당에서는 청주 농업고등학교 관악부 학생들의 공연과 수곡중학교 학생들의 난타와 가야금 공연이 이어졌다. 또한,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주제로 청주 중앙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의 연극 공연이 진행되었다. 그 후 우리의 다짐 낭독 선언을 통해 학생으로서 지켜야 할 경건한 마음을 드러냈다. 광장에서는 10여 개 단체가 운영하는 부스 체험 행사가 진행되었다.


20181101_13461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오수환기자]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의 배경이 된 사건인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1929년 10월 30일 광주에서 나주로 가는 통학 열차에서 일본인 남학생이 한국인 여학생을 희롱하는 사건을 빌미로 시작되었다. 여학생이 희롱당하는 모습을 지켜본 여학생의 사촌 동생 박준채는 일본 학생에게 사과를 요청했으나, 이를 일본 학생이 거절하자 큰 싸움으로 번졌고, 주변에 있던 학생들까지 싸움에 참여하였다. 싸움이 끝난 후 일본 경찰은 한국 학생들에게만 벌을 내렸고, 이에 화가 난 광주 학생들은 11월 3일 항일 운동을 진행하였다. 항일 운동은 광주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에 퍼지게 되었고, 학생들은 동맹 휴학 시위까지 벌이며 일본에 저항하였다.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3.1운동 이후 규모가 가장 큰 항일 민족 운동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휴전 직후인 1953년 10월 20일 제16회 임시국회에서 젊은 학도들에게 민족적 사명을 다하도록 사기를 높이기 위해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일인 11월 3일을 '학생의 날'로 지정하였다. 하지만 1972년 10월 유신 직후인 1973년 3월 30일 정부가 각종 기념일을 통폐합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날'이 폐지되었고, 이후 1984년 9월 22일 국가 기념일로서 '학생의 날'이 부활하였다. 또한, 2006년 2월 9일 학생의 날이라는 명칭을 '학생독립운동기념일'로 바꾸면서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과거 일제강점기에 우리 선배들이 겪었던 갖은 역경을 느끼게 해주는 행사였다. 매년 11월 3일 항일 운동에 참여한 학생들을 위해 기도해주고 묵념하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 8기 오수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6851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4364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87919
문화가 있는 날, '톡, TALK! 기상 콘서트'로 떠나요 file 2017.09.28 김나현 17075
헌 물건이 새로운 주인을 만나는 고양시 나눔 장터 1 file 2017.09.28 김서현 16430
1000원? 5000원? 아니, 이제는 2000원! 2 file 2017.09.28 이승희 16617
덴마크식 정치실험, 이종걸, 정병국, 박지원 의원과 협치를 논하다 file 2017.09.28 김정환 17789
다가오는 추석, 변화된 추석 1 file 2017.09.28 이한빈 15896
2017 남양주 슬로라이프 국제대회 개최! 2017.09.28 신유림 16774
우주로 가는 과학!! ‘Science to space’ file 2017.09.27 백예빈 17546
청소년들이 만들어가는 사회의 변화, YOUTHCHANGEMAKERS file 2017.09.27 조하은 16395
꿈나무 아이들의 급식실, 편의점 1 file 2017.09.27 신유정 23821
미디어를 테이크아웃 하라 file 2017.09.27 고은서 17201
전국 최초의 충청남도 서천 생태 유학마을 2017.09.27 전건호 15518
'세종에 말한다!' 세종시 청소년 사회 참여 발표 대회 개최 2017.09.27 김홍재 16780
서초구를 뒤흔들다. 2017 서초구 서리풀 페스티벌 file 2017.09.27 김서영 106455
길거리에서의 흡연, 개선 방법은? 1 file 2017.09.27 어윤서 25405
함께 만들어가는 하모니, 노래하는 바람개비 2017.09.26 안세은 16243
[책소개] 그들만의 역사가 아닌 아프리카 2017.09.26 이수빈 14367
K-Beauty로 세계를 물들이다! ‘2017 오송 화장품 뷰티 산업엑스포’ file 2017.09.26 김다빈 15952
나도 말할 수 있다. '아이 캔 스피크' file 2017.09.26 김예은 15444
충전 방식의 변화와 이차전지, '슈퍼 커패시터'의 탄생 file 2017.09.26 최민영 16800
제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을 다녀오다. file 2017.09.26 백준채 13990
한 사회참여 동아리를 만나다 file 2017.09.26 임규빈 15007
빅 벤, 4년을 기다려야 할 종소리 file 2017.09.26 정현서 14099
한국 천주교 순교자들의 역사, 오륜대 한국 순교자 박물관 file 2017.09.26 허재영 17352
울산 북구 청소년 예술제 "너의 끼를 보여줘!" file 2017.09.26 김태은 15619
느티나무 가족봉사단이 꿈꾸는 함께 아름다운 세상 file 2017.09.26 오가연 13788
'제7회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에서 미래를 엿보다 file 2017.09.26 오주연 14573
'#셀피 나를_찍는_사람들' 하나의 해쉬태그로부터 예술이 되기까지 file 2017.09.26 오주연 15507
국가란 무엇인가 - 유시민 file 2017.09.26 홍도현 16029
어느날, 내가 죽었습니다. [새로운 나를 위한 힐 다잉체험기] file 2017.09.26 이승호 15376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보안! 「SSTF(Samsung Security Tech. Forum)」 개최 2017.09.26 안도현 13968
광주 트라우마센터 치유의 인문학 시인 박준,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1 file 2017.09.25 이세림 16282
여름아, 안녕 2017.09.25 함주연 14989
매력 덩어리, '스포츠 클라이밍' 1 file 2017.09.25 이예준 23839
금융과 기술의 결합, 로보어드바이저 file 2017.09.25 김나영 13537
2017 대한민국 LED 산업전과 대한민국 ICT 융합 엑스포 성황리에 마쳐 file 2017.09.22 박광천 17566
갈색 지방, 지방이라고 다 같은 지방이 아니다! 1 file 2017.09.22 박광천 21145
제13회 경암 바이오유스캠프 file 2017.09.22 한제은 16636
가을, 책을 읽어볼까요? 6 file 2017.09.22 김수인 15336
광주 프린지 페스티벌, 그 멋과 열정 속으로 1 file 2017.09.22 김서영 17772
아파트 주민들, 고양이를 키우다 4 2017.09.22 유예은 15322
안양국제청소년영화제 성공적으로 막을내리다. 1 file 2017.09.22 김가희 14495
"기억합니까?" 당진청소년 평화나비 Festa 2017.09.22 김마음 15906
[우리 지역 행사] 제37회 전국 장애인체육대회 충주에서 성공적으로 개최 file 2017.09.21 유민상 18005
ASMR, 당신은 사용하시나요? 4 file 2017.09.21 안현진 17288
약(弱)팀에서 약(藥)팀으로! 롱주, 롤챔스 섬머 우승 file 2017.09.21 조윤지 17112
일본의 숨겨진 작은 제주도 1 file 2017.09.21 김하은 17981
논란의 중심에 선 생리대, 그 해결책은? 1 file 2017.09.21 주은비 16290
너도 나도 우리 모두 책이다! file 2017.09.21 홍수빈 164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