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학생독립운동기념일 ‘함께 만든 대한민국, 함께 만들 대한민국’

by 8기오수환기자 posted Nov 02, 2018 Views 1564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충청북도 청주교육지원청은 11월 1일 청주교육지원청 강당 및 광장에서 '함께 만든 대한민국, 함께 만들 대한민국'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제89주년 학생독립운동기념일 행사를 진행하였다. 강당에서는 청주 농업고등학교 관악부 학생들의 공연과 수곡중학교 학생들의 난타와 가야금 공연이 이어졌다. 또한,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주제로 청주 중앙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의 연극 공연이 진행되었다. 그 후 우리의 다짐 낭독 선언을 통해 학생으로서 지켜야 할 경건한 마음을 드러냈다. 광장에서는 10여 개 단체가 운영하는 부스 체험 행사가 진행되었다.


20181101_13461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오수환기자]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의 배경이 된 사건인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1929년 10월 30일 광주에서 나주로 가는 통학 열차에서 일본인 남학생이 한국인 여학생을 희롱하는 사건을 빌미로 시작되었다. 여학생이 희롱당하는 모습을 지켜본 여학생의 사촌 동생 박준채는 일본 학생에게 사과를 요청했으나, 이를 일본 학생이 거절하자 큰 싸움으로 번졌고, 주변에 있던 학생들까지 싸움에 참여하였다. 싸움이 끝난 후 일본 경찰은 한국 학생들에게만 벌을 내렸고, 이에 화가 난 광주 학생들은 11월 3일 항일 운동을 진행하였다. 항일 운동은 광주뿐만 아니라 전국 곳곳에 퍼지게 되었고, 학생들은 동맹 휴학 시위까지 벌이며 일본에 저항하였다.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3.1운동 이후 규모가 가장 큰 항일 민족 운동으로 기록되었다. 이후 휴전 직후인 1953년 10월 20일 제16회 임시국회에서 젊은 학도들에게 민족적 사명을 다하도록 사기를 높이기 위해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일인 11월 3일을 '학생의 날'로 지정하였다. 하지만 1972년 10월 유신 직후인 1973년 3월 30일 정부가 각종 기념일을 통폐합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날'이 폐지되었고, 이후 1984년 9월 22일 국가 기념일로서 '학생의 날'이 부활하였다. 또한, 2006년 2월 9일 학생의 날이라는 명칭을 '학생독립운동기념일'로 바꾸면서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과거 일제강점기에 우리 선배들이 겪었던 갖은 역경을 느끼게 해주는 행사였다. 매년 11월 3일 항일 운동에 참여한 학생들을 위해 기도해주고 묵념하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 8기 오수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0789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4787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60005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5294
꽃처럼 활짝 핀 사랑, 꽃동네 당연지사 프로그램 2017.12.04 김지연 14532
알고 보면 더 재밌는 뮤지컬 1 file 2017.12.04 석채아 18032
“담쟁이가 그린 세상”에 가다 1 file 2017.12.04 오태윤 16674
동해안의 꽃, '강릉' 바다 보고 가드래요! 1 2017.12.04 박정민 18224
박상진 의사, 그는 누구인가 1 2017.12.04 김명빈 17572
YG엔터테인먼트, 엔터테인먼트 꿈나무 위한 교육공간 ‘YGDP ZONE’ 오픈 1 file 2017.12.05 디지털이슈팀 18768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청소년 자살 예방 위한 ‘다 들어줄 개’ 캠페인 실시 file 2017.12.13 디지털이슈팀 16097
평창 굿즈 열풍, 올림픽 성공적 개최의 신호탄일까? 2 file 2017.12.15 윤정민 16561
V-POP과 K-POP 2 file 2017.12.15 이도경 15750
일상 속의 숨쉬는 역사, 김해 율하유적공원을 찾아가다. file 2017.12.18 최희수 18656
2018 평창동계올림픽 성화, 19일 청주 고인쇄박물관·흥덕사지 봉송 file 2017.12.20 디지털이슈팀 15709
제 72주년 광복절, 광화문 광장과 세종문화회관에서 행사와 집회 열리다 file 2017.12.20 양륜관 17461
많은 혜택을 누리시오! file 2017.12.22 김주은 15131
영화 '범죄도시'에 등장하는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3 file 2017.12.22 김민지 16251
해피추석, 메리추석 어르신들과 함께해요! (인터뷰뉴스) file 2017.12.22 성승민 16510
서울신천초 모의창업팀, 고사리손으로 판매한 수익금 기부 file 2017.12.25 김서윤 15789
Blooming their hooes with you, 희움을 아시나요? 1 file 2017.12.25 서수민 17815
SNS로 유행하는 평창 롱패딩, 그 이유와 문제점은? file 2017.12.26 김진모 17761
영화 '베테랑'과 '부당거래'는 다르듯 같다. file 2017.12.26 손종욱 17559
석유에서 문화로, '문화비축기지' 1 2017.12.26 안지수 18728
제2회 서대문구 청소년연합축제 ‘청청(靑廳)' 개최 1 file 2017.12.26 안지수 15842
'아듀! 2017년' 양양 해맞이 축제 현장을 가다 4 file 2018.01.03 마준서 15233
배우들이 돋보이는 영화 '좋아해줘' 1 file 2018.01.03 정유정 14846
세상을 따뜻하게 하고 싶다면, 착한기술! 4 2018.01.08 이유정 16402
생명과 태양의 땅 충청북도에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으로 세계를 노래하다·· file 2018.01.08 허기범 16147
평창으로 맞이할 해외 관광객, 어디로 가야할까 1 file 2018.01.09 김정환 16724
대한항공, 평창올림픽 기간동안 인천-양양 국내선 운항... 효과는? 4 file 2018.01.09 마준서 16694
프로야구 FA 미계약자들, 이대로 미아 되나? file 2018.01.15 손종욱 18129
세계 유명인사들의 '크리스마스' file 2018.01.16 김민지 15790
<청소년 근현대사 교실, 스포츠의 정신이 함께한다!> file 2018.01.19 김현재 16825
일코노미의 경제적 파급력 file 2018.01.19 배정은 16013
한파로 전국이 꽁꽁, 눈으로 도로에 묶인 전주 file 2018.01.19 김수인 16083
메이즈 러너, 더욱 화려해진 마지막 이야기로 새해를 맞이하다 2 file 2018.01.19 나형록 16642
영화 <1987>, 오늘날을 사는 우리에게 전하는 묵직한 메시지 2 file 2018.01.22 박우빈 15317
4차 산업혁명, 한국잡월드 미래직업랩으로 대비하자! 1 file 2018.01.22 손채영 17835
세계 문화유산의 도시 수원에서 평창 동계 올림픽 성화봉송이 이루어졌다 1 file 2018.01.22 박선영 18205
2018 평창 동계올림픽 D-22 3 2018.01.22 김민지 21216
미국에서 가장 큰 쇼핑몰?! Mall of America ! 3 file 2018.01.23 강지희 18519
구글의 빅데이터, 어디까지 알 수 있을까? file 2018.01.23 신온유 19335
2018 평창동계올림픽으로 기대되는 강원도 file 2018.01.23 이은채 16157
종이를 만나다, <Paper, Present: 너를 위한 선물> 4 file 2018.01.23 김민하 17216
"미세먼지 싫어요"... 실내로 실내로 file 2018.01.23 구승원 18316
12월 국산 중형차량 판매량, 중형차의 왕은? 12 file 2018.01.24 김홍렬 18219
1987년 여름, 그들은 무엇을 위해 거리로 나왔을까? 6 file 2018.01.24 박환희 16979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5078
예산 청소년미래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 첫걸음 떼다 file 2018.01.24 신다인 15306
수원시 마리몬드 소녀상 원정대 기행 1 file 2018.01.25 박선영 183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