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사후 피임약, 의사의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어도 될까?

by 7기박효민기자 posted Oct 01, 2018 Views 16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사후 피임약이란 피치 못할 사정으로 피임이 되지 않았을 경우 원하지 않은 임신을 피하기 위해 성교 직후 대처할 수 있는 사후 피임법이며 계획되지 않은 성교가 있었거나 콘돔이 찢어져 피임이 불확실할 때 등 임신을 방지할 수 있는 피임법이다. 하지만 매우 고용량의 호르몬을 복용하는 것이므로 꼭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처방받아야 한다. 또한 복용하면 복용할수록 효과가 떨어지는 약품이다.


사전 피임약은 사후 피임약과 조금 다르다. 사전 피임약은 사후 피임약과 다르게 월경이 시작된 날부터 5일 이내에 복용하여야지 효과를 볼 수 있고 현재는 피임 효과뿐만 아니라 월경을 늦추기 위해, 불규칙한 생리 주기를 맞추기 위해 복용할 수 있다. 사전 피임약은 현재 의사의 처방 없이도 구매가 가능하다.


피임약 모자이크.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박효민기자]


현재 사후 피임약을 의사의 처방 없이도 구매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즉 사후 피임약을 응급의약품이 아닌 일반의약품으로 취급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 이유는 바로 원치 않는 임신일 경우 응급한 상황에서 의사와의 상담을 거치는 것은 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보장하지 않는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 사후 피임약은 성관계 후 12시간 이내에 복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고 늦어도 72시간 내에는 복용해야만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만큼의 오남용이 발생할 것이고 무책임한 성문화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는 이유이다. 이렇게 사후 피임약을 둘러싸고 많은 논쟁들이 오가는 가운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사후 피임약 관련 검토 계획은 따로 없다”라고 밝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7기 박효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8777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5840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72603
끝나지 않는 '금수저 선생님' 채용 논란, 그와 맞선 한 교사의 용기 있는 발언 2 file 2017.03.27 최서영 16885
사드 보복 조치에 정면돌파? 4 file 2017.03.27 김찬 10797
국정교과서, 앞으로의 운명은? 2 file 2017.03.27 유희은 11741
공병보증금 인상으로 소비자권리 되찾아 주겠다더니, 술값만 인상? 1 2017.03.28 정지원 14241
대구 '평화의소녀상' 희망을 달다 2 file 2017.03.29 김나현 12559
대중을 사로잡는 한마디,슬로건 4 file 2017.03.30 강민 15054
일본, 대만, 노르웨이까지… 과거 중국의 경제 보복 4 file 2017.03.31 남희지 14455
사라져야 할 권력 남용 5 file 2017.03.31 전원정 16256
올바른 역사 교과서? 올(ALL)바르지 않은 역사 교과서!! 2 file 2017.03.31 전은지 11782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4588
정치적 비리의 피해자가 된 올림픽 영웅. 6 file 2017.04.01 정예진 15288
탄핵 판결을 내린 헌법재판관 8명을 고소한 우종창, 그는 누구인가? 1 2017.04.02 김민정 12323
대통령 후보, 그들이 얻는 것은 무엇인가 7 file 2017.04.03 김민주 12155
국민의당 대선후보 안철수 “진실을 밝히고 미래를 열겠다” file 2017.04.09 황예슬 14033
우리가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할 세월호 1 file 2017.04.09 양희원 11713
기억해야할 4월 13일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일 3 2017.04.10 고선영 13327
세월호 인양, 시민들의 생각은? 2 file 2017.04.10 김동현 10877
아베에게 닥친 커다란 위기, '아키에 스캔들' 2 file 2017.04.11 박우빈 12588
미국 의회 북한 돈줄 차단 시작 1 file 2017.04.12 조채은 12173
[의혹검증] 세월호 인양 지연은 의도적일까···? 2 file 2017.04.15 김정모 14760
촛불집회 노벨평화상후보에 오르다? 3 file 2017.04.15 한한나 12366
"Remember 0416" 세월호 3주기 추모 행사 file 2017.04.15 윤하은 13995
세월호 참사 3주년 기억식 2 file 2017.04.16 최다영 12276
함께 지켜나가요, 소녀들의 평화 file 2017.04.16 김효림 12170
박근혜, 그녀는 좋은 대통령이었다. 덕분에 국민 대단합 이뤄.. 5 file 2017.04.16 이지연 15460
노란 물결이 일렁이는 4월 16일 file 2017.04.16 이지연 12185
세계 곳곳에서 열린 세월호 3주기 추모행사. 'Remember Sewol' 1 file 2017.04.16 김채원 12442
이제는 편안해질 수 있을까요 file 2017.04.17 안유빈 11309
가자! 416노란버스를 타고 김제동과 함께 file 2017.04.18 김하늘 10542
대선 토론회 북한 주적 논란, 진실은 무엇인가 3 file 2017.04.20 김동언 17879
4월 한반도 위기설 뭐길래? 1 file 2017.04.21 송선근 10528
아직 종로에 남아있는 삼엄한 분위기의 잔재 file 2017.04.23 오주연 10964
소중한 투표권, 국민들의 선택은? file 2017.04.23 민소은 11034
숫자를 통해 알아보는 대선 file 2017.04.24 백다미 12567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648
그립고 그리운 세 번째 봄, 세월호 기억식 열려 file 2017.04.25 소지인 11195
주요 대선후보들의 경제관련 공약을 알아보자 2 file 2017.04.25 천주연 12121
장미대선 속 장미의 진정한 의미는 '우리의 권리' file 2017.04.25 한우주 13466
선거마다 발병하는 고질병들, 언제까지 유효할 것인가 3 file 2017.04.25 정혜정 12154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3 2017.04.28 유현지 12011
시리아 미사일 공격? 그래, 미국은 좋겠지. 그러면 타국은? file 2017.04.29 김유진 10632
대통령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안양 범계에서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선거운동 벌여 file 2017.05.01 정유리 12437
누가 영웅을 쓰러뜨리려 하는가 3 file 2017.05.02 김수민 10766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892
무모한 트럼프의 100일간의 무모한 행보,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2 file 2017.05.03 김유진 10846
민주주의 꽃 1 file 2017.05.04 신승목 11686
18세 선거권, 권리 없는 의무가 있을 수는 없다. 5 file 2017.05.05 윤익현 17416
'투'덜대지 말고, '표'현하세요. 6 file 2017.05.05 이주은 116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