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by 8기김지민기자 posted Aug 30, 2018 Views 115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80825_22292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김지민 기자]


BMW가 국내 수입차 사상 최대 규모의 리콜을 단행했다. 2015년부터 이어진 BMW 화재에 대한 차량 결함 의혹에 대한 것이다. BMW는 차량 화재의 원인을 EGR 모듈의 이상에 있다고 보고, 여기에 관련된 42개 디젤 차종 106317대에 대해 20일부터 리콜을 시작했다. 해당 차량들은 전국 BMW 공식 서비스센터에 방문하여 EGR 모듈 부품을 교체받고 EGR 모듈 연결 파이프에 대한 세척을 받을 수 있다.

 

리콜 계획을 발표한 당시는 리콜이 시작될 때까지 약 한 달을 남겨둔 상황이었으므로 사측은 727일부터 예방적 차원에서 긴급 안전진단 서비스를 시행하였다. 서비스센터로의 자발적 방문, 혹은 전문 기술자의 방문 진단을 통해 차량 이상 유무를 파악하는 작업이다.

 

이에 더해 국토교통부는 BMW 차량의 리콜이 시작되기 전 이러한 긴급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리콜 대상 차량에 대한 운행정지를 명령했다. 14일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정부의 기본 임무는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는 국민의 지적을 엄중히 받아들인다, 사상 처음으로 리콜 예정 차량을 대상으로 운행 정지 명령을 전국 지방자치단체장에 요청했다. 당시 긴급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차량은 25%가량 되었으므로 충분히 국민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국토부의 명령에 의해 각 지방자치단체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에 명령서를 보내어, 안전진단이 아닌 것을 목적으로 차량을 운행하였을 시 형사처벌할 계획이다.

 

BMW 차량 화재로 인해 차량 결함에 의혹이 제기된 것은 2015년부터다. 올해 들어 BMW 차량의 화재가 하루에 한 번꼴로 연이어 계속되자 공론화되어 BMW 사측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러나 지난 3년간 제기되던 의혹을 무시한 대가는 결국 사상 최대”, “한국 최초와 같은 수식어를 단 조치를 통해 BMW 자신에 오명을 남겼다.

 

BMW 차량 화재는 해마다 어느 정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홍철호 자유한국당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화재가 발생한 BMW 차량은 201344, 201446대였으며, 차량 결함 의혹이 시작된 2015년에는 77, 201665, 201794대이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에는 최소 80건의 화재 사고가 일어났다.

 

심지어는 리콜 대상이 아닌 차량에서도 화재가 일어났다. 11대가 발화했으며, 이들 중에는 BMW가 발화 원인으로 지목한 부품이 없는 가솔린 엔진 모델도 포함되어 있어, 발화 원인에 대한 의혹은 아직 가시지 않았다. 리콜 대상이 아닌 차량들은 운행 정지 대상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아, 국민의 안전 위협 원인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BMW 화재사고 피해자들은 계속되는 화재에도 원인을 피해자에 전가하며,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BMW 관계자들을 포함하여 해당 회사의 독일 본사 회장 등 11명을 자동차 관리법 위반 혐의로 고소하였다. 고소장을 받은 경찰은 해당 사건을 지능수사대에 넘겨 집중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BMW가 발화 원인으로 유추한 EGR(Exhaust-Gas Recirculation) 모듈은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이다.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는 엔진은 질소산화물이 포함된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질소산화물은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어 지구 환경, 곧 생태계를 오염할 수 있다. 세계는 이를 규제하여 대기 오염원을 줄여나가기로 하였다. 곧 규제는 자동차에도 적용되었으며, 디젤 자동차 생산업계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일 필요가 있었다. 여러 방법이 시도되었으며, 그중 하나가 EGR 모듈이다. 기본 작동 원리는 질소산화물을 다량 포함한 배기가스를 다시 엔진으로 보내 연소하여 질소산화물의 비율을 줄여나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순환되는 배기가스는 엔진에서 배출될 때 그 온도가 매우 높다. 고온의 가스는 EGR 모듈에 큰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EGR 쿨러가 이 가스를 냉각한다. 사측은 올해 계속되는 화재의 원인은 EGR 쿨러의 냉각수가 누수되어 연결 파이프에 침전물이 쌓이며, 정상적으로 냉각되지 않은 고온의 배기가스가 이를 통과하면서 플라스틱 재질의 파이프에 구멍을 내고, 이 구멍을 통해 고온 가스가 누출되면 화재가 발생한다는 주장을 계속하고 있다.

 

그러나 EGR 모듈 자체의 문제가 있다는 것은 유독 화재가 한국에 집중되는 이유를 설명하기 힘들다. BMW 에벤비클러 부사장은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 BMW 디젤 차량은 동일한 EGR 모듈동일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고 말한 바 있다. BMW 차량의 결함률은 한국이 오히려 전 세계 평균보다 낮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의 일련의 BMW 차량 화재는 비슷한 시기 전 세계에서도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같은 모듈과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면 BMW 디젤 차량을 운행하는 모든 나라들에 비상이 걸렸을 것이다.

 

EGR 모듈 외에도 한국의 기록적인 폭염이 문제가 되었을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 BMW와 국토부에서 나온 말이다. 그러나 올해 들어 기록적인 폭염은 한국뿐이 아니었다.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열돔현상으로 인해 북유럽과 북아메리카, 동아시아 등 북반구의 많은 지역이 폭염에 시달리며 여러 국가가 사상 최고 기온을 경신하고 있다. 가까운 나라 일본에서는 폭염으로 인해 희생자가 속출하고 있다. 이례적인 북반구의 고온 현상에도 오직 우리나라에서만 BMW 화재가 이슈가 되고 있다.

 

한국에 화재가 집중되는 이유로 전문가들은 소프트웨어나 과격한 디젤 규제 등을 지목한다. 2015년 독일 자동차 기업 폭스바겐의 디젤 엔진 배출가스 조작 정황이 확인되어 당시 우리나라의 디젤 차량에 대한 규제가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유럽이 실시한 유로 61년 늦게 도입했다. 바뀐 규제에 의하여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일 필요가 있으므로 한국이 수입하는 자동차의 EGR 모듈 개도율을 높여 무리를 가게 했다는 말이다. 혹은 기존에 한국이 수입하는 자동차의 부품을 바꾸지 않고 소프트웨어를 임의로 조정하여 EGR 모듈에 과도하게 부하했다는 말도 있다.

 

EGR 모듈을 한국의 부품업체에서 공급받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는 말도 있다. 되도록 수입국의 부품을 사용하겠다는 BMW의 입장에 따라 한국만이 그들만의 부품을 장착한 차량을 수입하므로 해당 부품에 문제가 생기면 한국만이 피해를 입는다는 이야기이다.

 

결국 BMW 화재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EGR 모듈에 문제가 생긴 것이 현재로서는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EGR 모듈 홀로 문제가 생긴 것이 아니라, 해당 부품의 문제를 유도한 외부 요인이 존재할 것처럼 보인다.

 

현재의 BMW 차량 화재 문제를 속히 해결하고 앞으로의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막기 위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현재 명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정부 당국의 움직임이 보인다. BMW 사측은 국토교통부의 조사가 있다면 성실히 응하고 리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책반을 마련해 특별 운영해야 할 것이다. 사람들이 안전하게 교통수단을 이용할 권리를 위협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국토부는 국민 불안 해소를 위해 엄격한 조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BMW는 고객이 안심하고 운전할 수 있도록 긴급 안전점검을 면밀히 행하고, 필요한 경우 렌터카 지원에 힘써야 한다. 브랜드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사후 서비스가 중요하다. BMW의 발 빠르게 대응하고자 하는 태도가 중요할 것이다.

 

한편 BMW코리아 대표가 참석한, 더불어민주당의 BMW 화재 관련 긴급간담회에서는 민주당 의원들이 징벌적 손해 배상제 도입 등의 대응 대책을 꾸리기로 한 바 있다. 징벌적 손해 배상제는 재작년 가습기 살균제 사건 당시 공론화된 바 있다. 악의적이거나 반사회적인 불법 행위에 대하여 피해액보다 훨씬 더 많은 보상을 하는 것이 제도의 핵심이다. 이 제도가 시행된다면 민사상 처벌을 가중하여 이중 처벌이 될 수 있다는 것, 판사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 기업에 심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 등의 위험성이 따른다. 이번 일을 계기로 이 제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법적 허점을 보완할 수 있는 협의를 통해 도입된다면 앞으로의 화재 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다른 자동차 회사들에 있어서 각성의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디젤 자동차에 대한 과격한 규제가 이어지고 있다.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하더라도 과도한 규제로 자동차 회사에 부담을 주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을 이번 화재 사고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규제의 규모를 조정하고, 친환경 자동차 생산을 장려하는 정책을 같이 추진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현재 전기자동차 및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에 대한 논의가 여러 회사에서 진행되는 만큼, 친환경 자동차 충전소와 같은 인프라를 확충하고 기업들에 핵심 기술 개발 지원, 친환경 자동차 구매 지원 등의 정책을 추진한다면 과격한 규제를 가하는 것 이상의 환경보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한국이 탈핵을 진행하는 중이므로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여 전기에너지 자급률을 높이고 자원에 대한 해외 의존도를 낮추어 전기자동차의 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화재사고에 늑장 대응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국토부 관계자 중 BMW와 유착 관계에 있는 사람이 있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국토부는 이번 사고에 대해 신속하고 완벽한 진상규명을 하여 회의론을 종식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자기편 봐주기로 인해 국토부는 국산 자동차 회사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관대하게 대할 수 있다. 팔이 안으로 너무 굽으면 깁스를 하게 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지난 제천 화재 참사 때 소방안전 관리 관계자가 건물주 아들이었다는 것이 그 실례(實例) 중 하나이다. 관계를 중요시하는 관행을 근절하고 공정한 공무수행이 필요하다.

 

결국 BMW 차량 화재 문제의 해결도 BMW만이 노력하는 것이 아닌, 공공기관도 나설 필요가 있다. 앞으로의 인재(人災)를 막기 위해서는 우리도 안전불감증을 극복하는 등 다 같이 노력해야 한다. 하루빨리 범국민적 위기와 불안감이 종식되기를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8기 김지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8기채유진기자 2018.09.26 15:19
    모든 사건사고에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진실규명과 적절한 해결방안들을 잘 마련하는 사회로 변화해갔으면 좋겠네요!기사 잘 보았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9670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6911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80630
마크롱 정부에 반발한 '노란 조끼 운동' 시위 file 2018.12.10 정혜연 11391
설날 물가 상승, 여러분의 지갑은 안녕하셨습니까? 1 2017.03.13 임촌 11392
부르키나파소의 총리와 내각, 사임하다 1 file 2019.02.13 이솔 11392
왜 대한민국은 트럼프 대통령에 반감을 가지게 되었는가 2018.03.01 박세준 11398
중국인 관광객, 있다 없으니까 4 file 2017.03.24 이동욱 11399
학생들의 시선에서 본 2018 남북정상회담 2 file 2018.05.28 박문정 11400
가상화폐 속으로 빠져들다! 1 file 2018.01.22 임소현 11401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1403
카페 안에서 더 이상 일회용컵 사용 불가?, 환경부의 단속! 1 file 2018.10.08 김세령 11404
박근혜 전 대통령 '석방'하라는 대학로 제20차 태극기집회 file 2017.10.26 문서연 11406
또다시 다가온 2018 대학수학능력시험 file 2017.11.22 김서영 11409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11413
원전 찬반집회가 울산에서 열리다 2017.10.10 박채리 11415
이게 선진국 일본의 코로나19 대처방식이라고? 2 file 2020.04.21 이예빈 11420
사드 보복, 경제적 손해량은 어느정도일까 file 2017.03.19 이수현 11423
벼랑 끝에 선 한의학, 해결 과제는? file 2019.08.19 최양현 11427
미중 무역전쟁, 어디까지 갈까? file 2018.07.25 오명석 11428
증가하는 노인 복지 정책 예산.. 효과는? file 2019.01.23 허재영 11429
멈춰버린 돈, 지속적인 화폐 유통속도의 하락 원인은? file 2021.07.20 김수태 11436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1439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1442
조 바이든, 공식적으로 정권 인수 착수 1 file 2020.11.30 차예원 11443
평생 잊혀지지 않는 상처 file 2018.04.26 손어진 11449
학교폭력, 교육의 문제다 3 2018.06.07 주아현 11453
왜 우리는 알고 있는데도 실천하지 않는가 2 2018.07.25 임서정 11454
정점을 향해 가는 사드 보복, 그 결말은? 1 file 2017.03.26 정지운 11458
보이지 않는 칼날 2 file 2018.03.26 김다연 11460
20%대로 추락한 아베 지지율, 장기 집권에 "빨간불 " 2 file 2017.08.09 이진하 11461
노동계의 사각지대. 비정규직 그들의 외침.... 7 file 2017.09.14 서호연 11463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1463
개인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 2 file 2018.02.21 신화정 11466
러시아까지 영국에 이어 코로나 누적 확진자 1천 만명 넘었다...위드 코로나는 역시나 다시 중지 file 2021.12.24 정지운 11469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의 행보 1 file 2017.03.24 윤희수 11475
기다리던 탄핵 봄이 다가오고 있다. 1 file 2017.03.12 김윤정 11477
[기자수첩] AI, 인공지능이 규제되어야 하는 3가지 이유 file 2023.07.26 서예영 11479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11483
독도는 일본땅? 어이상실한 日 학습지도요령 해설서 논란 6 2017.06.30 김성미 11484
북한인권법은 미국의 정치적 카드? 2 file 2017.05.23 김윤혁 11486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1487
제39주년, 우리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예의 file 2019.05.22 박문정 11487
신고리 원전, 팽팽한 숙의민주주의·· 갈등의 끝은 존재하는가? 2017.10.23 조영지 11488
'재팬 패싱'은 현실화될 것인가 1 file 2018.06.12 이후제 11493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러시아 변호사와 만나다 1 file 2017.07.25 류혜원 11494
국민이 선택한 19대 대통령 문재인 1 file 2017.05.17 김상원 11495
아직 받지 못한 사과, 당신은 알고 계십니까? 3 file 2019.05.22 이송이 11497
청소년 지능범, 보호해야 하나? 2 file 2018.10.11 남승연 11498
나비가 되신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8 file 2017.07.23 송다원 11502
살충제 계란의 해결은 동물복지농장과 정부의 철저한 관리 1 file 2017.09.01 최나연 115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