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무더운 여름, 예민해진 눈, 내가 지킨다!!

by 3기구민주기자 posted Jul 19, 2015 Views 229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여름을 맞아 휴가와 같은 야외활동을 즐기면서 사람들과 접촉하는 일이 많아지고 항상 그래왔듯이, 전염성 질병들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무더운 더위와 장마가 반복되는 여름, 우리의 눈은 날씨와 대기 상태의 영향을 받아 더 예민해집니다. 여름철 유행성 눈병은 유행성 각결막염, 급성출혈결막염(아폴로 눈병), 급성 인두결막염(풀염) 등이 있습니다. 잠복기가 비교적 짧고 호전도 빠른 다른 유행성 눈병과 다른 유행성 각결막염은 강력한 전염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 눈병은 지난해보다 70% 가까이 늘었고 지금도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눈에 발생하는 질병은 세균성, 진균성, 바이러스성, 알레르기성, 화학성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유행성 각결막염은 우리의 눈을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조직인 결막에 아데노 바이러스에 의한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요 원인인 아데노 바이러스는 전염력이 아주 강하기 때문에 직접 접촉 뿐만아니라 수영장 물과 같은 간접 접촉으로도 전염됩니다.또한 유행성 각결막염은 감염 후 치료를 해도 면역력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언제든지 다시 감염될 위험이 있습니다.


감염이 의심된다면 안과를 찾아 염증과 충혈을 완화해주는 점안액을 사용하고 2차 감염을 줄이기 위한 광범위 항생제를 넣어줘야 합니다. 환자들은 안과에 가서 예방을 했어도 이와 같은 생활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특히 학생들은 여름방학을 맞아 TV나 컴퓨터를 장시간 즐기곤 하는데, 이 행동은 우리 눈의 피로도를 증가시킵니다. 어른들은 무엇보다 술을 멀리 해야합니다.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술은 눈병이 회복되는 시간을 늦추고 더욱 악화시킵니다. 또한 집에서 많은 시간을 같이 보내는 가족들의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함께 사용하는 수건, 베게를 따로 쓰고 생활 영역을 격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바른 손 씻기 6단계 <출처: 범국민 손 씻기 운동 본부>


유행성 각결막염은 약 일주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하게 되어 약 한달이 지나면 후유증 없이 치유되지만 염증으로 인해 시력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감염이 된다면 생사가 걸린 심각한 증상을 일으키진 않지만 한달동안 질병이 지속되기 때문에 생활이 불편해 집니다. 가만히 있어도 더운 여름에 걸리는 유행성 눈병을 막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거의 모든 유행성 질병이 그렇듯, 예방의 우선순위는 바로 위생입니다. 손만 잘 씻어도 감염병 70%는 예방됩니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피하는 것이 좋지만 나갔다 오더라도 손을 자주 씻고 청결을 유지해야 합니다.손을 씻을 때에는 향균 성분이 포함된 비누나 세정제를 사용해 흐르는 물로 올바른 방법에 따라 씻는다면 남아있는 세균의 약 99.8%를 제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번 여름방학에 더위에 지친 학생들과 어른들도 모두 빠짐없이 손을 자주 씻어 건강하게 여름을 즐기기 바랍니다.


출처<http://tongblog.sdm.go.kr/346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

LSD&mid=shm&sid1=103&oid=056&aid=0010197731>


edith0525@naver.com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기 구민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2기조혜인기자 2015.07.21 21:29
    요즘 눈이 간지럽고 아파서 들어왔어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갈게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5774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2521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43860
1년에 한 번뿐인 대학수학능력시험 2 2020.11.27 김준희 9670
1년에 단 1시간, 지구의 휴식시간 7 file 2016.03.20 전지우 18291
19대 대선의 여담 2 file 2017.05.21 강민 10804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미래 file 2017.05.20 이동준 10771
18호 태풍 차바, 울산 태풍피해 심각 3 2016.10.24 김현승 18508
18세 선거권, 권리 없는 의무가 있을 수는 없다. 5 file 2017.05.05 윤익현 17368
16차 촛불집회, 꺼지지 않는 촛불 1 file 2017.02.24 임지은 16169
16년만의 여소야대… 20대 국회는 과연? 3 file 2016.04.25 유진 16544
14일 '충주시민 반기문 환영대회' 열리다. 3 file 2017.01.25 김혜린 17452
140416 단원고.. 그리고 잊혀진 사람들 2 2018.05.08 김지연 10576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6 file 2020.10.15 김지윤 10937
12년의 결실, 대학수학능력시험 2 file 2016.11.25 최시헌 18778
1281번째, 9241일째 나비들의 날개짓 2 file 2017.05.08 이다은 10423
1270차 수요집회-1270번째 대답없는 메아리 2 2017.05.24 이하은 10916
1270째,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 중 3 file 2017.02.23 김규리 16077
1268차 수요집회, 소녀상 곁을 지키는 사람들 3 file 2017.02.13 이윤영 16056
1219차 수요집회 열려…청소년이 할 수 있는 일은? 10 file 2016.02.25 박채원 18902
11년 만에 한미 2+2 회담 2021.03.25 고은성 9206
111년만의 기록적인 폭염,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2 file 2018.08.21 박상정 10310
10월 국산 소형 SUV 판매량, 1위는 누구? 2 file 2017.11.20 김홍렬 13098
10월 25일은 독도의 날 file 2017.11.20 성유진 11541
10월 25일, 독도의 날 1 2017.11.22 박민영 10852
10원과 50원짜리 동전, 이대로 괜찮은가 5 file 2018.08.24 강민규 13303
10대 청소년, “우리를 위한 정책은 어떻게 만드나요?” 2 file 2017.05.21 홍세영 10193
10대 범죄 문제 약하게 처벌하면 제자리걸음 file 2019.07.23 김이현 13584
10년 만에 다시 재조명된 ‘장자연 사건’...청와대 국민청원 3위 기록 1 file 2019.04.05 안서경 13934
1020 정치참여, '젊은 정치' 가능할까? 10 file 2017.02.11 최은지 28648
100만의 촛불, 대한민국을 밝히다 1 file 2016.11.25 윤지영 19135
100만원짜리 콘서트 5 file 2016.03.25 장채연 16934
'회복되는 남북관계'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 2018.04.04 마준서 10256
'혹시'나 '옥시'만은 1 file 2016.05.15 조민성 16862
'호남 민심 잡기' 나선 야당 주자 문재인 4 file 2017.01.22 김다현 17954
'행정구역 쪼개기'로 불편함 겪는 위례신도시 하남 주민들 file 2016.05.25 최민지 18079
'합리적인 금리' 라 홍보하는 이자율 27.9% 2 file 2017.02.13 최민주 16943
'한강 사건 타살 가능성 낮다'라는 전문가에게까지 근거 없는 억측 file 2021.06.03 박지훈 10130
'학원 집 학원 집...' 초등학생들의 이야기 file 2018.11.22 박서현 12448
'학생을 위한' 수능 절대평가 과목 확대, 학생을 위한 것인가? 6 file 2017.08.24 도서영 12777
'학교폭력 의혹' 서수진, 연예계 문 다시 두드린다 file 2023.10.21 이가빈 5824
'하얀 계란' 아직 생소하신가요? 14 file 2017.01.25 정수아 30301
'표현의 자유'의 정당성에 관하여 13 file 2016.02.19 김지현 18677
'폭염에 이어 폭우', 기습적 피해 받은 영동 1 file 2018.08.07 이선철 11509
'폭력에서 자유로운 나라?'...부산 사하구 여중생 폭행 사건 발생 1 file 2017.10.10 허석민 23555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9297
'트럼프 대학' 소송 2500만 달러로 서둘러 종결 1 file 2016.11.22 백재원 18141
'투'덜대지 말고, '표'현하세요. 6 file 2017.05.05 이주은 11589
'통제된 화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file 2020.01.22 권민서 9482
'탄핵 지연 어림없다' 광화문을 밝힌 84만 명의 사람들 4 file 2017.02.19 김현수 15520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83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