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혼성계주' 정식종목 채택

by 10기정재근기자 posted Aug 03, 2018 Views 223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국제올림픽위원회, 베이징 동계올림픽부터 혼성계주 정식종목으로 채택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혼성계주(쇼트트랙) 종목이 추가된다.


  IOC(국제올림픽위원회)는 7월 18일 로잔(스위스)에서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혼성계주(쇼트트랙) 외 7종목을 추가할 것으로 결정되었다.


 지금까지 쇼트트랙은 남녀 각각 3종목(500m, 1000m, 1500m)과 단체전 남녀 각각 1종목(여자 3000m, 남자 5000m) 총 8개의 종목으로 올림픽이 치러졌다. 하지만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단체전에 혼성계주 종목이 추가되면서 우리나라는 최대 9종목의 금메달을 획득할 수 있는 희망도 생겼다.


  2014-15 ISU 쇼트트랙 월드컵 4차 대회에서 3000m 슈퍼파이널 경기를 치르면서 올림픽 신설 종목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지만 현실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즉, 쇼트트랙 종목에서 신설 종목이 추가된 것은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이후 처음인 만큼 전 세계 쇼트트랙 팬들과 많은 국민들은 기대를 하고 있다.


KakaoTalk_20180802_14382103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정재근기자]


현 쇼트트랙 국가대표의 생각은?


  현 남자 쇼트트랙 국가대표인 홍경환 선수는 “혼성이라는 종목이 흔치 않지만 너무 재미있을 거 같고 열심히 노력하고 싶다.”라고 전하였고 같은 남자 쇼트트랙 국가대표인 박지원 선수는 “쇼트트랙의 기존 종목과는 다른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 거 같아서 기대가 많이 되고 열심히 차차 준비해나가겠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혼성계주 성적에 관한 내용은 두 선수 모두 “노력한 만큼 성적이 나올 것이고 협동이 잘 된다면 좋은 성적은 문제없을 것이다.”라고 성적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보여주었다.


  한편, 많은 쇼트트랙 팬들과 국민들이 걱정하는 부분이 있다. 바로 쇼트트랙은 터치를 할 때 엉덩이를 밀어준다는 부분이 많은 걱정을 사고 있다. 하지만 이미 국가대표 선수들은 훈련을 할 때 남녀 선수가 함께 계주 훈련을 많이 해왔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는 걱정할 필요가 없을 거 같다.


  현 쇼트트랙 여자 국가대표는 최민정, 심석희, 김예진, 김지유, 김건희, 최지현, 노아름, 신새봄 선수가 있고 남자 국가대표는 임효준, 황대헌, 곽윤기, 박세영, 홍경환, 이준서, 김건우, 박지원 선수가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8기 정재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1839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6614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85582
코로나 걱정없는 '사이버 박물관'으로 초대합니다 2 file 2020.07.01 진효원 14653
코로나 따라 상승기류 타는 'OTT 서비스' file 2020.10.05 차준우 14801
코로나 시대 소외당하는 청각장애인 1 file 2021.06.09 김지윤 21367
코로나 시대, 새로운 야구 관람 문화 file 2021.05.24 송유빈 12610
코로나 시대로 급증하는 일회용품 사용률…해결책은 제로 웨이스트 운동? 2 file 2021.08.23 정지운 26517
코로나 시대로 열린 새로운 시장 경제 file 2021.10.28 한지윤 9758
코로나 신조어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file 2020.09.23 조수민 15381
코로나 악조건 속 흥행 중인 영화 소울, 어떤 영화길래? 2021.01.27 유채연 15999
코로나19 걱정이 없는 세계, '모여봐요 동물의 숲' 9 file 2020.03.27 하건희 17788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학교에선 어떤 노력을 할까? file 2020.12.09 양윤아 14827
코로나19 사라져도 과연 우리는 이전과 같은 일상을 살 수 있는가 file 2021.03.15 권태웅 15839
코로나19 사태에도 동아리 목표를 보여준 씨밀레의 ‘온라인 캠페인’ file 2020.03.25 조윤혜 24930
코로나19 속 재개봉 열풍 중인 극장가 file 2021.03.19 홍재원 16290
코로나19 시대의 K-POP의 새 문화 '온라인 콘서트' file 2020.10.30 노연우 16194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등장, 로봇 카페 2 2020.09.28 김해승 12843
코로나19 시대의 슬기로운 독서 생활, 전자 도서관 1 file 2020.03.30 박민아 13920
코로나19 여파 속, 안전하게 도서관 즐기기 7 file 2020.04.10 하늘 15682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5950
코로나19 확산, 극장->안방, 뒤바뀐 문화생활 2 file 2020.04.13 정현석 13273
코로나19, 장애인들에겐 가시 1 2021.01.04 이수미 12820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8.27 길현희 12710
코로나19가 가져다준 ‘안방 관극,’ 뮤지컬 생중계 1 file 2020.05.02 송다연 14471
코로나19가 만들어낸 팬 콘텐츠, 방방콘 1 file 2020.04.27 정서윤 14283
코로나19가 몰고 온 비대면(Untact) 문화 file 2020.04.17 김지윤 12882
코로나19가 불러온 '원격 수업' 계속 될까? file 2021.03.02 김민희 11270
코로나19가 불러온 연예계의 비상 file 2020.09.07 홍지원 14743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6201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준 숙제… 분리수거, 재활용 file 2020.11.09 허다솔 16282
코로나19도 막지 못한 봄꽃 축제 3 file 2020.03.30 천수정 12543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3326
코로나19로 변한 덕질 문화, 온라인 콘서트에 대해 알아보자 2020.10.29 김경현 14072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7105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3541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문자의 증가..."재난 문자가 재난이에요" 4 file 2020.08.25 송한비 16854
코로나19로 인한 전세계 스포츠의 마비 1 file 2020.03.31 이정원 14179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우리 사회의 영화관의 모습 file 2021.02.26 유정수 12935
코로나19로 인해 해수욕장 풍경도 바뀐다 1 file 2020.06.29 이승연 13257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템플스테이, 색다른 문화즐기기 file 2021.04.28 윤희주 11559
코로나19를 예측했다? 재조명받는 영화 <컨테이젼> 1 file 2020.10.06 이소은 15778
코로나19에 맞서는 다양한 방법 '집콕' file 2021.02.25 김수연 11933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OTT서비스 1 file 2020.03.23 이서연 15459
코로나19의 위협엔 비대면 봉사활동 (신생아 모자뜨기) file 2020.10.23 신아인 13535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16319
코로나가 불러온 스포츠계 사상 초유의 사태 file 2020.03.18 김민결 14176
코로나가 세계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2 file 2020.06.01 서지완 17710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685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3096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바꾼 영화관의 풍경, 앞으로는? 4 file 2020.08.14 이준표 138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