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미국의 극적인 승부수, '회담 취소 선언'이 가져온 효과

by 7기김세민기자 posted Jun 11, 2018 Views 1188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Letter-to-Kim-Jung-Un.jpg

[이미지 제공=백악관 홈페이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미국은 지난달 24일, 싱가포르에서 개최가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전격적으로 취소 의사를 천명했다. 이는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을 폭파한 지 채 하루도 지나지 않은 때의 일이었다. 게다가 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 회담을 마치고 귀국한 지 하루 만에 발생한 일이기도 해 전 세계에 더욱 큰 충격과 우려를 안겨주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한반도 정세가 또 한 번의 고비를 맞을 것으로 예측했으나 이 같은 예상과는 달리 현재 북미 관계는 급속도로 호전되어 싱가포르 정상회담을 목전에 두고 있다. 정상회담 취소로 최악의 위기를 맞았던 북미 관계가 이토록 빠르게 회복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이었을까.


 문 대통령의 외교안보특보를 맡고 있는 문정인 연세대 명예특임 교수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공개적인 적대감과 극도의 분노를 회담 취소의 표면적 이유로 들었지만, 실제로는 의제 조율이 잘 안 된 것 같다."며 의제 조율 상의 충돌을 회담 취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었다.


 동시에 문 교수는 만약 북한이 핵실험 강행과 미사일 발사 등 무력시위를 하던 도중에 이런 상황이 발생했으면 상당히 문제가 될 만한 상황이었으나, 북한이 그동안 지속적으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미국인 인질 석방 등 호의적인 행보를 이어나가는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당시의 시국을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했었다.


 당시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던 전문가들은 비단 문 교수뿐만이 아니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이번 북미정상회담 취소는 본질적으로 미국 내부 문제, 조율 부족 등 때문이고, 북한도 이런 이유로 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며 “역설적으로 본인들의 필요와 간절함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고 회담 재개 가능성에 대해 낙관적인 태도를 보였었다. 또 미국의 브루킹스연구소는 “트럼프는 현 상황에서 북한의 핵포기를 받아내지 못하고 정상회담이 오히려 갈등을 확대시킬 것으로 판단한 것”이라며 “취소는 최선의 선택”이라고 주장했었다.


 전문가들의 예상은 그대로 적중했다. 북한은 회담 취소 선언 이후 9시간 만에 김계관 외무성을 통해서 회담 재개에 대한 유화적인 입장을 밝혔고 미국은 이에 화답했다. 이전의 북한의 태도에선 찾아볼 수 없었던 이례적인 모습이다. 미국의 '승부수'가 하나의 성공적인 '외교 전략'으로 작용한 것이다.


 한편 양국 정상은 회담을 이틀 앞두고 싱가포르에 도착해 오는 12일에 열릴 정상회담을 준비 중이다. 이번 회담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하루빨리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킬 수 있길 기원해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7기 김세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6076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2843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47422
원전밀집도 세계 1위인 우리나라, 원전사고에는 無기력 1 2018.02.21 이수안 13899
비트코인 사용시 주의할 점 file 2018.02.21 허어진 10873
우버와 에어비앤비 더 이상 공유경제가 아니다. file 2018.02.21 김민우 16112
울산 석유비축시설 지진에 안전한가? file 2018.02.20 오지석 14139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1583
설날에도 웃지 못하는 그들, 지진 피해 직격탄을 맞은 경북 포항시 흥해읍 file 2018.02.19 한유성 11741
고대영 KBS 사장 해임, 다시 국민의 품으로! 2 file 2018.02.19 김영현 10685
가습기 살균제의 악몽, 액체괴물로 재발하나 2 file 2018.02.14 최수영 11758
자발이 확보하지 못하는 강제성, 어디서 찾을까? 1 file 2018.02.09 김현재 10637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876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 file 2018.02.07 김진 11544
강원도 표준 디자인 교복, 학생들은 '불편' 1 file 2018.02.07 이형섭 28797
소년법 개정 (목적은 교화 먼저?/처벌 우선?) 1 file 2018.02.05 정준교 17820
국민의당 탈당파 민평당, 정의당과 연대? file 2018.02.05 박우진 10397
비트코인, 엇갈리는 평가와 가치 file 2018.02.02 김민우 12624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1017
아동성범죄 가해자 어디까지 용서받을 수 있나 3 file 2018.02.02 이승현 11477
민주-보수 4당의 정치 구도, 향후 어떻게 전개될까 2 file 2018.01.31 양륜관 13039
美정부의 무역 정책과 자승자박 2018.01.30 김민우 13356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file 2018.01.29 서호연 11090
왜 그것은 말할 수 없는 비밀이 되었는가? 2 2018.01.29 김민소 9843
브렉시트 투표 후 1년 반, 어디까지 왔나? 2 file 2018.01.29 신유진 10455
블랙리스트,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것인가 file 2018.01.29 전세연 10731
베르테르 효과와 미디어 file 2018.01.26 정다윤 13945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 정치권에 새로운 바람 불까? 3 file 2018.01.26 정민승 11788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중증 외상분야 지원 확대 청원에 대한 태도 밝혀 file 2018.01.24 문세연 12290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2018.01.23 김세정 15387
하와이, 38분의 공포 4 file 2018.01.22 전영은 11656
위안부 할머니들의 눈물. 1 2018.01.22 서호연 11751
세스코 근무 환경, 1년이 지난 지금은? file 2018.01.22 홍수빈 21658
가상화폐 속으로 빠져들다! 1 file 2018.01.22 임소현 11341
페루, 7.1의 강진 file 2018.01.22 임규빈 10629
가상화폐의 실명제가 논란이 되는 이유 2 file 2018.01.18 김진모 10736
사법시험 폐지의 합헌 결정에 대한 반발, 그 이유는? 1 file 2018.01.18 이승민 11561
이 노래는 언젠가 고향땅에 닿을 겁니다. file 2018.01.17 여승헌 11660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2018.01.15 서호연 12534
압구정 현대 아파트 경비원 해고 사건, 진행 상황은? 1 file 2018.01.12 노영석 15789
남북 정상의 신년사에 담긴 의미는? file 2018.01.12 정성욱 11779
2년만에 진행된 남북 고위급 회담 file 2018.01.12 정성욱 10532
2017에서 2018, 변화하는 ICT 10대 이슈들 2 file 2018.01.10 허예림 13650
'제2의 조두순'사건에 분노하는 국민들..아동 성범죄 처벌 강화해야.. 6 file 2018.01.10 이정은 13382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 키운 불법 주·정차 앞으로 어떻게····? 1 file 2018.01.09 허기범 14246
대한민국도 흔들린다 - 공포에 휩싸인 한반도, 더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2 file 2018.01.08 고은경 11555
1인 미디어, 이대로 괜찮은가 7 2018.01.08 김태경 31033
골든글러브, 끊임없는 인기투표 논란 file 2018.01.08 김나림 13837
제 1316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아픔을 기억하겠습니다 file 2018.01.05 김민하 13105
청소년들의 일상이 되어버린 SNS 2 file 2018.01.03 정유정 12740
제천 화재 사건의 근본적 원인은 우리다 2018.01.03 제규진 121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