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새로운 단일 염기교정 가위 발명...더 가까워진 유전자 치료

by 10기최재원기자 posted Jun 04, 2018 Views 1696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 김진수 단장 팀이 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생쥐의 염기 하나만을 바꾸는 데 성공했다고 지난 28일 발표했다.

 

 유전자 가위는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해당 부위를 잘라내는 인공 제한효소이다. 유전자 가위는 그동안 최소 4개의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잘라낼 수 있었다. 그로 인해 겸상 적혈구 빈혈증과 같은 염기 하나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교정하는 실험을 할 경우 불필요한 변이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16년 시토신을 티민으로 바꾸는 단일 염기 교정 가위가 개발되었고, 지난해 아데닌을 구아닌으로 바꿀 수 있는 단일 염기 교정 가위가 발명되었으며, 지난 28일 동물실험을 성공했다.아데닌1.jpg

[이미지 제공=IBS,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는 spCas9과 아데닌을 가수분해하는 탈아미노 효소로 구성되어있다. spCas9으로 잘려진 DNA 한 가닥에서 탈아미노 효소가 아데닌에서 아미노 그룹을 제거하면 DNA 복구 과정에 의해 구아닌으로 바뀌는 원리로 작동한다.

아데닌2.jpg


[이미지 제공=IBS,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연구진은 이 기술을 이용하여 생쥐 배아의 Tyr 유전자의 염기를 교체했다. Tyr 유전자는 멜라닌 색소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로, 변이가 발생하면 백색증이 발병한다. 이 연구에서 연구진은 표적한 Tyr 유전자에만 변이가 일어났고, 다른 유전자에는 전혀 작용하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아데닌3.jpg


 

[이미지 제공=IBS,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어 연구진은 근육세포의 안정적 유지에 관여하는 Dmd(듀시엔형 근이영양증, Duchenne muscular dystrophy)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듀시엔형 근이영양증에 걸린 생쥐를 대상으로 이 기술을 이용한 치료 연구를 진행했고, 이 역시 성공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하나의 염기에 변이가 일어나 생긴 질병의 정확한 치료에 더 가까이 다가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6기 최재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0634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4540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56136
도시별 버스 요금 인상 2 file 2018.06.01 허찬욱 19930
도심 속 눈, 아름답지만은 않았습니다. 9 file 2017.01.25 송인준 15549
도심 속 생태공원을 달리다, 제 14회 태화강 국제 마라톤 대회. 1 2017.04.25 이가현 15212
도심 속 작은 힐링을 마주하기 file 2016.10.26 강예린 15921
도심 속 환경으로, 서울환경영화제(SEFF) file 2018.05.31 박선영 21688
도심 속에서 찾는 여유, '덕수궁' file 2021.09.09 박혜원 11412
도심 속의 작은 우주, 대전시민천문대 3 file 2019.01.23 정호일 18388
도심속 역사이야기 file 2017.04.08 정주연 14258
도심속 찬란한 멋과 예술, '제3회 부산 희망드림 빛축제' file 2023.03.27 김보민 6873
도심의 자리 잡은 예술, 스트리트 뮤지엄 11 file 2017.01.25 이예인 16938
도심의 한복판에서 휴식을 찾다 1 file 2016.05.21 민원영 15276
도움이 필요할 땐 이곳으로-한국소비자원 file 2016.11.18 김나림 18572
도자기 속에 숨겨진 '독', 이제는 밝히겠다. 2018.04.05 유민울 22152
도자의 꿈, 문화를 빚다. 2017.05.24 홍선의 15415
도전! 골든벨 묵호고와 함께하다. 1 file 2014.10.25 최희선 36066
도쿄올림픽, 안전하게 치러질 수 있을까? file 2021.04.20 풍은지 13430
도쿄올림픽의 금메달은 깨물어도 될까? file 2021.09.23 김하영 10372
독도 사랑 필통을 만들다!!(하늘고등학교 한방울 봉사단) 6 file 2016.03.13 김강민 17215
독도 체험관, 서울에서 독도를 만나다 file 2016.03.21 이소민 19230
독도, 세종실록지리지 50쪽에는 없다 3 file 2018.11.09 박상연 35900
독도를 가슴에 품고 대한민국을 세계로! 4 file 2017.06.03 정지윤 15297
독도를 위한 반크의 움직임, 디지털 독도 외교대사 발대식 ! 1 file 2016.04.11 황지연 16210
독도의 날 맞아, 독도문화제 개최 file 2018.11.28 여인열 14142
독립기념관에 가다 2019.01.25 전서진 18026
독립기념관에서 민족의 얼을 찾다 file 2017.05.24 조수민 14796
독립지사의 고통이 담긴 곳, 서대문형무소 file 2019.06.03 이윤서 16621
독보적 콘텐츠로 팬들과 소통한다! 세븐틴의 ‘고잉 세븐틴’ file 2020.11.25 김민결 14396
독서 기록 앱, '북적북적'을 파헤쳐 보다 1 file 2021.10.25 김승원 11411
독서마라톤 완주를 향하여 2 file 2016.05.21 장서윤 17513
독서의 도시 김해의 2016김해의 책 file 2016.07.18 최우석 16440
독수리의 기적, '나는 행복합니다' file 2018.10.16 이수민 16567
독일어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주한독일문화원 '파쉬 페스트' 1 file 2017.06.25 장지윤 17111
독특한 향기의 문화를 담은 중남미문화원 1 file 2020.02.04 맹호 14905
돌고래에게 자유를! 1 file 2017.03.21 문아진 18925
돌아보는 '설날'.... 연휴의 연장선 아닌 온정 나누는 우리의 고운 명절 5 file 2016.02.25 안성주 25237
돌아온 안방마님 양의지, 팀에 끼치는 영향은? 2 file 2017.07.26 최민주 15166
돌아온 컨셉 장인, (여자)아이들 1 file 2020.04.27 김민결 13007
돌풍의 에버튼! 파죽의 7연승 file 2020.10.14 최준우 14534
동남아 여행, 이 애플리케이션 꼭 다운 받아야해! file 2020.09.21 정진희 13145
동남아시아의 빈부 격차, 과연 해결이 가능할까? 1 file 2016.05.28 임주연 24167
동대문 DDP에서 열린 '헬로키티 50주년 특별전' file 2024.04.27 이주하 7132
동물 실험에 따른 생명윤리 문제 4 file 2017.05.18 김동수 24075
동물 없는 동물원: Augmented Reality Zoo file 2019.09.05 이채린 19680
동물, 사람의 가족이 되다 file 2017.05.24 김혜원 14161
동물보호법 개정, 그리고 모두가 행복한 세상 file 2017.03.20 박수지 15938
동백의 딸들, 성화 봉송에 참여하다 file 2017.11.07 이유진 17058
동산고, 송호고와 함께하는 영어책 읽어주기 멘토링 '리딩버디' file 2017.03.18 김명진 17802
동성애에 대한 인식, 어떻게 바꿔야 할까? 2 2017.05.08 박수지 215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