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6자회담, 부산에서 열리다

by 7기이시영기자 posted May 30, 2018 Views 161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26일, 부산 동구에 위치한 부산 흥사단에서 전국 고등학생 통일토론대회 예선전이 열렸다. 고등학생 통일토론대회는 전국 단위로, 서울, 부산, 제주, 진주, 광주, 강원, 울산, 충북에서 열리며 토론 주제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방안이다. 토론 방식은 일반적인 토론에 비해 특별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가상의 6자회담 (북한의 핵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한반도 주변의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을 설정하여 원탁토론의 방식으로 진행하였는데, 이때 원탁토론이란, 6~10명이 한 조를 이루어 원탁에 앉아 주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여 좋은 해결방안을 찾거나 찬반 대립형 주제를 놓고 찬반 토론을 벌이는 토론의 한 형태를 뜻한다.


353ec7cb01bf188575f23b9f54ad558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시영기자]


토론은 6명의 토론자가 자리에 착석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중 한 나라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자신이 선택한 나라의 입장을 가지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이란 주제에 관해 다른 참가자를 설득하는 방식으로 토론이 진행되었다. 특정한 한 국가만 조사하여 토론에 참여한다면 불리해지기 때문에 모든 국가의 관점에서 보아 토론을 준비해야 한다는 점이 이 토론의 장점이자 단점이다. 참여층이 대부분 고등학생이라, 원탁토론이라는 새로운 토론방식에 낯섦을 느꼈고 토론 주제 또한 만만치 않아 1라운드에서는 많은 학생이 아쉬움을 남겼다. 하지만 어느 정도 감을 익히고 난 후, 2라운드에서는 대부분 학생이 토론방식에 익숙해져, 각자의 주장과 의견을 제대로 낼 수 있게 되고 토론 또한 부드럽게 이어져 나갔다. 토론에 참석한 한 학생은 "처음에는 한 번도 해보지 못한 원탁토론이라는 것이 너무 당황스러워, 내 생각을 그대로 전달하지 못해서 나 자신에게 너무 화가 났다. 이 토론을 너무 쉽게 생각하고 온 것 같아 부끄러웠다. 하지만 2라운드에서는 토론의 방식을 제대로 깨닫고, 내 주장을 확실하게 전달한 것 같아 만족스럽다."고 소감을 전하였다.


9fd00154f1eeb453c6ebb990eee52f0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시영기자]


남북한은 분단 이후, 7.4 남북 공동성명(1972), 6.15공동선언(2000), 10.4 남북 공동선언(2007), 그리고 현재 문재인 정부의 4.27 판문점 선언(2018)과 같은 많은 관계진전의 활동을 해왔다. 한민족의 통일을 위해 앞으로의 활동이 더 중요할 것이며 그 중심에는 우리 청소년들이 있다. 따라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전, 더 나아가 통일을 이루어내기 위해 이런 청소년 활동들이 더욱더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7기 이시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4583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0973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46729
부산서 열린 '청년의 날' 축제...공공기관, 스타트업 부스도 마련돼 file 2023.10.05 김보민 6725
부산시립미술관, 김홍석 작가와 '많은 사람들' 전시 개최해 file 2023.12.24 박우진 6198
부산시민공원, 포켓몬 고 대신에 '스탬프 투어'로 공원 100배 즐겨 보아요. 8 2017.02.22 최영 21581
부산에서 열린 <제15회 부산국제음식박람회> file 2018.10.29 이수영 14382
부산의 근현대 역사, 부산근대역사관 1 file 2017.08.27 손한이 18155
부산의 기자 꿈나무들, 부산일보에 모이다 file 2016.04.05 이민지 17113
부자 마을에 있는 쇼핑몰, 필리핀의 알라방 타운센터를 가다. 2018.04.19 마준서 23503
부처님 오신날 우리들의 시민의식 1 file 2016.05.23 신동현 15024
부천FC, K리그2 선두 유지하며 5경기 연속 무패 도전 1 file 2022.04.18 지주희 9700
부천문화재단, 도시사파리 예술시장 열었다 file 2023.06.22 박도현 6856
부천문화재단, 현대백화점서 도시사파리 예술시장 열어 2024.01.06 박도현 6339
부천시 석왕사 연등축제 성료 file 2016.05.28 백재원 18112
부천시 청소년산울림수련관으로 오세요!!! 4 file 2017.03.24 김동주 15763
부천시, '우크라이나 난민 어린이에게 보내는 곰인형 봉사' 개최 file 2023.06.15 오다연 7073
부천시민 여러분, 나무 심으러 오세요! file 2016.03.21 백재원 15016
부평 토굴, 일제강점기의 '노동착취'. 그런 일이 있었어? file 2017.09.04 김수미 19451
부평 핫플레이스 '평리단길' 3 file 2019.05.14 하늘 21598
부평구 청소년운영위원회 기프트, 위안부 캠페인 실시 file 2017.05.25 박소윤 14350
부활하는 한국 축구.. 벤투호에 거는 기대 1 file 2018.10.01 이준영 16210
북촌 한옥마을 늘어나는 관광객, 줄어드는 주민 5 file 2017.05.20 이지현 16199
북한 결식 아동을 돕는 '2017 지구촌교회 해피란 모금 행사' file 2017.05.14 박소윤 14470
분데스리가의 '50+1' 정책, 과연 디딤돌인가? 장애물인가? file 2020.08.24 남상준 18958
불법적인 드론을 저지하는 방법 ‘드론건’ 1 file 2017.03.22 이현승 16970
불빛 무대, 포항 밤바다 3 file 2018.08.03 윤의빈 15361
불운의 숫자 4, 4월은 불운의 달? file 2017.04.17 김수인 16694
불타는 주말,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에서 서울의 밤을 즐기다 file 2016.09.25 이소민 17717
붉은 악마들, 부산에서 15년 만에 일어서다! 1 file 2019.06.11 김나연 18148
브랜드에 따른 청소년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분석에 대한 연구 file 2016.06.25 권주홍 28147
블라디보스토크 제1회 한국의 날 2020.10.28 오예린 12905
블락비, 팬들과의 특별한 장소가 되어버린 화정체육관서 4기 팬미팅 'BEEUTIFUL' 개최 7 file 2017.02.14 정상아 17474
블락비와 함께한 "BEEUTIFUL" 했던 3시간 4 file 2017.02.20 박하연 13930
블랙핑크 X 셀레나 고메즈 'Ice Cream' file 2020.09.03 이다원 15227
블랙핑크, 셀레나 고메즈와 어깨 나란히… 이제 무대는 전 세계 2 file 2020.09.03 이재윤 12420
블루밍, 보기흉한 벽을 재탄생시키다 2017.05.25 이서진 14313
블루투스 이어폰, 너의 생각은? 16 file 2017.08.18 김나연 16367
블루투스는 왜 한 개만 연결이 가능할까? file 2021.05.27 장은솔 46191
비대면으로 만나는 세계 10대 미술관 file 2021.07.01 한윤지 10798
비대면으로도 봉사를 할 수 있다고? PEOPLE to PEOPLE "PTPI" file 2021.05.26 박수빈 11795
비대면의 한계를 넘다, 한국-인도네시아 교류 여행 file 2021.09.30 박예슬 11195
비상벨 울려도 모두 수업만......안전불감증 심각 2 file 2017.04.25 정무의 17870
비소미봉사단 통합발대식, 봉사의 실천 속으로 2 file 2017.04.09 김태헌 15570
비트코인, 편리함 뒤에 가려진 진실 1 file 2017.02.28 이수빈 16123
비행하라, 항해하라, 여행하라 '루이비통' 전시회 2 file 2017.08.22 최고은 13731
빅 벤, 4년을 기다려야 할 종소리 file 2017.09.26 정현서 14086
빅 벤, 마지막 종을 울리다 2017.09.05 김정환 15181
빅데이터, 우리 삶과의 연관성 file 2017.04.25 고민경 14662
빅맥지수로 세계경제를 보다? file 2017.03.25 김나영 15923
빅뱅 지드래곤, 인기 여전하네...'스타들과 함께 포즈' file 2023.04.19 박태양 91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