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데미안', 한 권의 책으로 진정한 '나'를 찾기

by 7기황유라기자 posted May 29, 2018 Views 191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헤르만 헤세의 소설 '데미안'은 주인공인 싱클레어가 방황하던 소년 시절 데미안을 만나 진정한 자아를 찾아나가는 이야기이다. 유년시절의 싱클레어는 자신을 가두는 울타리 속의 세계에서 그 세계가 원하는 삶을 살아가는 수동적인 소년이었다. 싱클레어는 어느 순간 그 속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잘못된 무리와 어울리려 거짓말을 하였고, 이로 인해 협박을 받으며 고통스러워하게 된다. 이러한 싱클레어의 모습은 현대사회에서 진정한 자아를 찾지 못하고 속박된 삶을 사는 현대인이 잘못된 일탈을 하고, 더욱 자신이 누구인지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KakaoTalk_20180525_22520133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황유라기자]


<타인을 위한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자신이 아닌 부모님과 사회를 위해 살아가는 학생들처럼 우리 사회에는 타인과 사회를 위한 삶을 사는 사람들이 있다. 타인의 기대 속에 자신이 아닌 타인을 위한 삶을 사는 사람들은 어떤 행위들을 할 때 '그것이 타인의 마음에 들까?'라고 하며 자신들을 나무라곤 하는데, 데미안에서는 이런 나무람은 자신을 망치는 것이라 말하며 반대한다. 자신을 소중히 하며 자신을 위한 삶을 살아가라는 말과 함께 용기를 잃지 말라고 격려해주어 정체성을 잃고 외부적 요인에 의해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있는 그대로 살아갈 수 있도록 용기를 준다.

    

<한 가지 상황에서 선한 마음과 악한 마음이 동시에 들어 고민인 사람들에게>

 이 책은 그동안 우리가 지향했던 선한 세계가 다가 아님을 강조한다. 그동안 우리가 추구했던 선으로 가득 찬 세계는 절반뿐인 세계로, 그 나머지 절반의 악한 세계 또한 존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그의 말은 그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느낀 이중적인 감정이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인식하게 해준다. 선한 마음과 악한 마음이라는 대립되는 두 마음 모두 외면하지 않고 수용함으로써 하나로 받아들이는데, 여기서 말하는 '악'이라는 것은 생각을 스치는 모든 것을 그냥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아니고, 일반적인 상식을 넘어선 범죄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으며 악한 마음에 대해서만 규정한다. 그 악한 마음을 존경과 사랑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면 그 악한 마음 나름대로의 의미를 알게 될 것이라 말해주어 자신이 하는 특정한 한 가지 일에 대해 긍정적인 마음과 부정적인 마음을 동시에 가지고 있지만 악한 마음을 외면하고 나중에 혼자 악한 마음으로 인해 고민하는 현대인에게 그 악한 마음을 인정하게끔 도와줌으로써 고민을 덜어준다

 

<힘든 현실로 꿈을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현실의 벽에 부딪혀 꿈을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데미안은 자신들이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계속해서 할 수 있게 하고 꿈을 지키라는 용기를 준다. 그 꿈들은 그들이 지는 최상의 것이라며 그 꿈들을 그대로 살아가라고 당부함으로써 자신의 꿈을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잠시나마 자신들의 과거의 꿈들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고, 다시 그 꿈을 꿀 수 있게 해준다. 사회를 살아가며 사회의 힘든 현실로 자신의 꿈을 잃어버린 현대인에게 그 꿈을 다시 가지게 도와주어 그들이 그들이 진짜로 원했던 모습에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진정한 자아를 찾지 못해 고민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데미안'을 읽으며 진정한 자신의 자아를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7기 황유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박기상기자 2018.06.03 23:39
    읽지 못한 소설인데 기사를 보니 당장 읽어보고 싶어지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9567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2737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29713
아름다움의 기준은 없기에, 바비인형의 대변신 2 file 2018.06.07 김채용 16667
'세종에 말한다!' 세종시 청소년 사회 참여 발표 대회 개최 2017.09.27 김홍재 16667
마음이 따뜻해지는 어버이날 2 file 2016.05.09 3기전재영기자 16666
인문학을 두드리다, 인디고 서원 4 file 2017.02.20 오세민 16661
직원이 없는 '무인매장' file 2020.10.28 정승우 16660
“담쟁이가 그린 세상”에 가다 1 file 2017.12.04 오태윤 16659
새롭게 떠오르는 흑린, 세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1 file 2017.02.25 이유림 16656
'고양호수꽃빛축제'에서 오감을 만족시키다 1 file 2018.01.30 김태정 16655
웹툰보다 더 웹툰 같은 가장 완벽한 영화의 등장 <치즈 인더 트랩> 3 file 2018.03.26 김응민 16654
공감 있어 더 나은 세상, Better Together file 2017.11.27 이가빈 16654
표현의 자유를 가장한 무의미한 혐오, 어디까지 용납해야 하는가? file 2021.03.08 박혜진 16653
제주 4.3사건 70주년을 맞아 방문한 제주 4.3 평화공원 file 2018.05.25 박예지 16652
불운의 숫자 4, 4월은 불운의 달? file 2017.04.17 김수인 16651
2019 삼성 갤럭시 S10 이전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까...? 8 file 2019.03.04 최수혁 16649
한의학에 대해 1 2016.04.05 신이진 16644
KBO리그 개선이 시급합니다. 2 file 2016.12.16 최호진 16643
삿포로 눈축제를 다녀오다! 2018.03.07 김유리 16640
여자프로배구팀 KGC인삼공사, 2018 보령·한국도로공사컵 대회 우승 file 2018.08.16 김하은 16638
감정, 너 어디서 왔니? 4 file 2019.10.16 윤지현 16637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인 마무리 file 2018.03.03 김세빈 16636
인형뽑는 기계..? 돈 먹는 기계..? file 2017.04.25 변유빈 16635
눈물샘 자극 한국 영화 추천 TOP3 file 2020.05.27 조기원 16634
리베라CC 벚꽃축제를 개최하다. file 2018.04.23 이지은 16634
메이즈 러너, 더욱 화려해진 마지막 이야기로 새해를 맞이하다 2 file 2018.01.19 나형록 16634
청소년들의 논문 Project Together! 3 file 2016.03.15 이지웅 16634
세계의 공장 베트남으로 오세요!! 5 file 2016.03.02 김유민 16634
3월을 준비하는 학생들 8 file 2016.02.21 김민지 16632
'비밀의 숲 2' 약방의 감초, 존재감 빛나는 조연들 2 file 2020.10.05 김나현 16629
청소년에게 날개를 달아주다! '부평구청소년수련관 자치조직 발대식' file 2016.03.20 박소윤 16628
계속 되는 무더위, 도대체 언제까지? 1 file 2016.08.26 지예슬 16626
WORLDCUP IN KOREA 2 file 2017.03.12 박승재 16621
서울시립동대문청소년수련관, ‘청소년페스티벌 Youth Only Live Once’ 열어 1 file 2017.11.26 디지털이슈팀 16619
세계인과 하나되다. '이태원 지구촌 축제' file 2017.10.24 하지선 16616
눈 위의 마라톤, 평창동계올림픽 크로스컨트리 경기를 보러 가다. 6 file 2018.02.22 마준서 16615
지구온난화의 정지? file 2018.05.29 금해인 16610
지금, 아이오와주는 1 file 2018.02.19 강지희 16609
독립지사의 고통이 담긴 곳, 서대문형무소 file 2019.06.03 이윤서 16607
빛과 색채의 눈부신 조화 '르누아르의 여인' <서울시립미술관> 4 file 2017.04.10 임경은 16607
겨울방학 모의유엔에 도전하고 싶다면? 1 file 2016.11.25 변지원 16606
아물지 않은 상처, Boxing day 태국 쓰나미 1 2017.06.23 권윤주 16603
잠자는 숲속의 중력파 1 file 2016.03.22 김준영 16602
잘나가는 영화들의 잘나가는 이유! 3 file 2016.03.20 이봉근 16602
임기자의 매3문: NCT DREAM 의 마지막 첫사랑 뮤직비디오 논란 4 file 2017.02.26 임정연 16600
동장군이 찾아왔지만, 청주시 야외스케이트·썰매장 북적거려···· 1 file 2018.02.02 허기범 16599
'소금회' 의료봉사단,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다 file 2018.04.03 김가현 16596
이웃나라의 세뱃돈 풍습은? 1 file 2018.02.20 윤현정 16595
영화 '미나리', 기생충의 명성을 이어갈까? file 2021.03.29 권나원 16594
미래 전력 신기술을 만나는 글로벌 전력 축제를 소개합니다. file 2016.11.18 천주연 165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