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by 7기신온유기자 posted May 18, 2018 Views 205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과학계에 혁명을 일으킨다과학도라면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일일 것이다코페르니쿠스갈릴레오뉴턴아인슈타인 등 이 시대에서 존경받는 과학자들은 모두 과학의 혁명을 이룩한 학자들이다꼭 혁명을 일으켜야만 위대하며 존경받을 학자라는 뜻은 절대 아니다혁명이 아니더라도 인간 세계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학자들은 오늘도 어디에선가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그들의 노력은 우리 사회에 녹아들고과학의 점진적인 발전을 도모한다.

 

우리는 흔히 혁명을 정치적인 방식으로 생각한다미국 혁명프랑스 혁명러시아 혁명 등이 이런 사례이다이런 혁명을 통해서 과거의 모든 것이 전복되고새로운 질서가 시작된다절대왕정에서 민주주의로봉건제에서 평등한 사회로 바뀌는 등 우리는 무언가 잘못됐다는 것을 깨달을 때마다 혁명을 통해 우리가 지향하는 방향으로 사회를 이끌었다이러한 혁명의 개념을 과학에 처음으로 제시한 사상가는 임마누엘 칸트라고 소개된다미국의 과학사학자이자 과학철학자인 토머스 쿤(Thomas Samuel Kuhn, 1922년 7월 18~1996년 6월 17)은 자신의 저서 과학혁명의 구조를 통해 과학혁명의 과정에 대한 견해를 제시한다과학에서도 혁명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히기보다는과학에서 혁명과 같은 급진적 변화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준다.

과학 혁명의 구조 책 표지.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신온유기자]


과학에서의 혁명은 앞서 언급한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단어와는 내재된 뜻이 다르다패러다임(paradigm)은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로서의 인식의 체계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토머스 쿤이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처음으로 제안한 패러다임은 한 시대의 사회 전체가 공유하는 이론이나 방법문제의식 등의 체계를 뜻한다쿤은 과학의 혁명이 특정 시기의 어떤 과학자들이 지키려고 고집하는 전통즉 패러다임이 지켜지는 과정에서 일어난다고 주장했다쿤의 이러한 주장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과학자 공동체가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미덕에 도전한다.


그 미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새로운 가설이나 발견이 등장했을 때과학자 공동체는 토론논쟁검증을 통해서 가설을 기각하거나 발견의 오류를 짚는다이런 혹독한 검증 과정을 거치고 나서도 살아남는 것이 비로소 과학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여진다이런 설명대로라면과학은 검증 과정에서 살아남은 것들이 조금씩 축적되면서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그런 점에서 새로운 가설이나 예상치 못한 발견은 과학의 진보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쿤은 비판에 열린’ 태도가 아닌, ‘닫힌’ 태도가 과학 발전의 실체라고 설명한다그는 과학자들이 이렇게 특정한 패러다임을 받아들이고 그 틀 안에서 연구하는 모습을 정상 과학이라고 정의했던 것이다쿤의 견해를 뒷받침하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오페라(The Oscillation Project with Emulsion-tRacking Apparatus)에서 발표한 뉴트리노사건이다이 사건은 2011년 과학계를 큰 충격에 빠뜨렸다뉴트리노는 세상을 구성하는 입자 중 하나로한때 빛보다 빠른 물질로 알려졌었다스위스 제네바 근처의 세른에서 약 730킬로미터 떨어진 이탈리아 그란사소까지 뉴트리노 빔을 쏘아 속도를 측정한 결과빛보다 약 1억 분의 6(60나노초빠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과학사를 다시 쓸 만한 발견을 한 오페라 과학자들조차도 연구결과가 잘못됐다고 생각했다상대성 이론이라는 패러다임 속에서 과학 활동을 하는 학자로서그것을 무너뜨릴 자신들의 연구결과는 용납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실제로 실험에 참여했던 몇몇은 발표 논문에서 자신의 이름을 빼달라고 요청했을 정도였다.

결국 오페라 측은 뉴트리노의 속도 측정에 영향을 준 오류를 확인했고그 결과 빛보다 빠른 물질의 발견은 6개월 만에 해프닝으로 밝혀졌다빛이 세상에서 가장 빠른 입자라는 하나의 패러다임이 유지된 것이다여기에서 특이한 점은빛보다 빠른 물질을 발견한 연구진조차도 자신들이 발견한 물질에 대해 의구심을 품었다는 것이다자신들이 실험한 결과를 부정할 정도로 기존에 존재하던 패러다임의 영향력은 대단했다.


또 다른 예로는 천왕성과 해왕성의 발견을 들 수 있다뉴턴 이래로 과학자들은 고전 역학을 받아들여 우주의 운동을 설명했다그런데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 1738년 11월 15~1822년 8월 25)이 망원경으로 지구보다 63배나 큰 태양계의 일곱 번째 행성을 발견하면서 패러다임이 흔들리기 시작했다.그 행성은 천왕성으로천왕성의 궤도는 당시의 고전 역학을 따르지 않았다고전 역학이 틀렸을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그때 과학자들은 고전 역학에 의문을 제기하는 대신패러다임을 지키기 위해 과감한 해법을 내놓았다바로 천왕성 바깥에 또 다른 행성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을 제시한 것이다무리수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결국 이 가정은 1846년 독일의 요한 갈레가 해왕성을 발견하면서 사실로 드러났다.

고전 역학을 지키려는 노력은 해왕성의 발견으로 이어졌다그리고 이 과정에서 기존 패러다임(고전 역학)은 더욱 강해졌고과학의 진보가 이뤄졌다쿤은 이 과정을 이렇게 요약한다.

 

정상 과학은 패러다임이 미리 만들어 놓은 비교적 경직된 상자에 자연을 처넣으려는 노력이다.” -토마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중에서

 

그리고 그는 과학자들이 자신의 패러다임을 온갖 비판으로부터 지키려는 노력이 과학 활동의 진짜 모습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기존에 존재하는 패러다임은 새로운 발견의 수용을 막는 절대적인 벽이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그러나 기존의 패러다임은 그 역시도 충분한 비판과 수용의 과정을 거쳐 자리매김한 것이다따라서 이미 존재하는 고유한 패러다임에 대해 그렇게까지 생각할 필요는 없다오히려 이전 연구의 축척물인 패러다임들의 존재가 과학이라는 배의 방향키 역할을 해주기도 한다허무맹랑하거나비과학적인 연구결과들이 학계에 나오게 되더라도기존의 패러다임을 기본적인 판단의 근거로 삼아 쉽게 제외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결론적으로 쿤은 위에서 설명한 대로 과학혁명이 기존의 패러다임을 유지하려는 과정에서 일어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에 반대되는 의견을 제시한 인물이 있었으니 그는 바로 영국의 철학자 카를 라이문트 포퍼(Karl Raimund Popper, 1902년 7월 28~1994년 9월 17)이다포퍼는 쿤 이전까지 가장 영향력 있던 과학철학자였다그는 추측과 논박을 통해서 과학의 혁명이 진행된다고 주장했다끊임없이 회의하며 비판하는 시각이야말로 과학의 본질이며인류가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가져야 할 이상적인 태도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렇듯 혁명의 과정을 설명하는 방식에는 견해가 갈린다그러나 중요한 것은 혁명은 그 결과 자체로도 가치가 있다는 점이다지금까지 대다수의 사람들이 생각해오던 하나의 개념을 뒤집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는 것은 결과적으로만 보았을 때에도 충분히 존경받아 마땅한 일이다그러나 그 과정은 결과라는 달콤함을 모두 덮기 무색할 정도로 까다로우며어렵다연구 결과에 따른 주장은 여러 비판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해야 한다.


지금도 과학계에서는 끊임없이 새로운 주장이 제기된다연구 결과 끝에 탄생하는 이 주장은 또다시 패러다임을 뒤흔든다한 가지 분명한 것은 하나의 주장이 패러다임으로써 인정받기까지 많은 논쟁을 거친다는 점이며이 결과 밝혀낸 패러다임은 인류가 미지의 세계에 한 발 더 가까워졌음을 의미하는 지표라는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7기 신온유기자]

TAG •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890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602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8936
시험 끝난 연휴, 프랑스 20세기 호화로운 일상 사진들로 마음 속 여유를 ! 1 file 2017.05.09 김나현 14401
시카고 컵스 108년만의 값진 우승 6 file 2016.11.04 김나림 16373
시청자와 소통하는 방송, '1인 미디어' 5 file 2017.03.06 안자은 19836
시청, 새로운 땅으로... file 2016.06.20 3기박준수기자 14596
시즌 첫 출발을 위한 전북 현대의 출정식 1 file 2019.02.28 박상은 14743
시중은행 환전 혜택 눈치게임 2017.09.21 이나현 15180
시인 정지용의 '제32회 옥천 지용제' file 2019.05.27 양유빈 16780
시원함 전에 안전을 먼저 확인하자. 2 file 2017.06.08 김나림 15973
시원한 휴식, 남일대 해수욕장에서 어때? file 2017.07.25 공혜은 18775
시원한 맥주와 함께, 2017 전주 가맥축제 file 2017.08.28 김근선 16336
시안(西安),? 중국의 고도(古都)를 여행하다 2 2017.03.11 양수빈 15095
시선집중! 관람객 지갑 열리는 '2017 KITAS 스마트 디바이스 쇼' file 2017.08.31 박세진 13689
시베리아 횡단 열차 타봤니? 1 file 2019.03.15 정지우 22870
시민이 행복한 '2017 아산·천안 일자리 박람회' 1 file 2017.10.02 강창규 17143
시민들의 웃음이 피어나는 곳, 순천시평생학습문화센터를 취재하다. file 2016.11.20 유성훈 16457
시민들을 위한 지하차도, 시민들에게 공포감 조성? 2 file 2017.04.02 정선아 14504
시민과의 소통이 절실한 지금, 고양시는? 1 file 2020.12.08 김한나 13359
시미즈 다카시 감독의 신작 영화...'사나 저주의 아이' 4일 개봉 file 2023.10.07 이준오 8747
시립중랑청소년센터 청소년 동아리, ‘중랑 우리 동네 미술관’ 연계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 진행 file 2022.10.19 이지원 7564
시립보라매청소년센터, 서울시동아리지원사업 2022년 방과후아카데미 동아리 운영 시작 file 2022.06.23 이지원 8942
시립문래청소년센터, 2023년 청소년환경축제로 청소년의 생태문화 만든다 file 2022.11.22 이지원 8604
시립마포청소년센터, 3년 만에 2022년 마포구청소년페스티벌 하늘연달축제 성료 file 2022.11.14 이지원 9644
시립구로청소년센터, 청소년 크라우드 펀딩 ‘FUN펀딩’ 실시 file 2022.10.30 이지원 7231
시립강동청소년센터, 가족환경 봉사활동 프로그램 ‘우리마을 환경 家꿈단’ 운영 file 2022.11.25 이지원 8421
시대의 어둠 속 작은 ‘등불’이 되었던 저항시인, 윤동주 2 file 2017.03.01 최은희 16559
시대의 아이콘 블랙핑크, 10월 2일 첫 정규 앨범으로 컴백 예정 file 2020.09.25 김서영 12774
시내버스 도착안내시스템(BIS) 기술이 궁금하다구요? 2 file 2016.05.18 이도균 27235
시끌벅적한 도시 한복판에서의 멍 때리기 1 file 2017.05.23 최지오 14890
시각화 그게 뭐길래? -시각화의 이중성 1 file 2022.03.25 조수민 16224
시각, 청각을 잠시도 방심할 수 없는 영화 '장산범' file 2017.09.06 신현지 21935
승자가 정해져있는 ‘인간 VS 인공지능 번역대결’ 2 file 2017.02.25 정진미 21121
승가원, 장애 인식 개선 위한 ‘장애바로알기 영상 공모전’ 개최 file 2022.09.30 이지원 7536
슬로바키아 청소년 교류단,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방문..韓 청소년 정책에 많은 관심 보여 file 2018.07.09 디지털이슈팀 15191
스프링샤인, ‘친환경 히트프리 캠페인'에 발달장애인 예술가 아트워크 협업 file 2023.01.12 이지원 8768
스포츠의 이모저모 file 2017.07.23 최민규 12867
스포츠 산업과 미디어가 만나다! ‘그들의 긴밀한 관계…’ file 2016.08.16 한세빈 20379
스포넥트, ‘2022년 대학생 87km 비치대장정’ 시작 file 2022.08.23 이지원 8136
스페인 발렌시아의 대표음식, 빠에야 file 2016.04.24 김세영 22367
스파이더맨의 화려한 귀환!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실화, <핵소 고지> file 2017.08.04 최다인 16123
스티븐 스필버그, 그의 한계는 어디인가: 레디 플레이어 원 file 2018.04.04 김민하 16882
스트리밍, 음반 시장을 바꾸다 1 file 2016.05.21 권용욱 15660
스트레스에 관한 간단한 고찰 file 2017.04.29 이영혁 19503
스트레스가 부른 소비, 'X발비용' file 2017.04.15 이수빈 16887
스타필드 코엑스몰 별마당 도서관을 방문하다 2 file 2019.01.24 박희원 21100
스타벅스, '스타벅스 청년인재' 졸업생 16명 배출 file 2023.02.28 디지털이슈팀 8248
스위트 왕국, 과자전 2 file 2016.05.10 이지수 18461
스웩 넘치는 악동토끼가 온다, 영화 <피터 래빗>시사회 2018.05.24 김민지 15450
스승의 날의 의미, 잊어버리진 않았나요? 1 file 2016.05.18 박하은 165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