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한국의 보수가 영국의 보수당에서 배울점은 무엇인가?

by 6기김다윗기자 posted Mar 08, 2018 Views 1269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로 대한민국의 보수는 내리막길을 걷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리얼미터의 여론조사에 의하면, 정당지지도는 민주당 45.9%, 한국당 20.8%, 바른 미래당 10.5%, 정의당 5.6%, 민주 평화당 3.4% 였다. 탄핵정국에 비해 보수정당의 지지율은 어느 정도 회복을 했으나, TK지역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민주당이 1위를 차지했고, 한때 보수의 텃밭이였던 PK지역에서도 민주당에 2배가 넘는 지지율격차로 1위를 빼앗기게 되었다. 중도우익성향의 바른 정당과 중도성향의 국민의당이 통합하여 바른 미래당을 창당하였다. 그러나 이 당을 보수정당이라고 부르기에는 부족한 면들이 많다. 그렇다면 한국 보수가 이렇게 까지 몰락한 원인은 무엇일까? 촛불혁명 이후, 박근혜 정권의 부패로 인한 불신이 가장 큰 이유이지만 보수당내의 자각과 국민을 향한 반성이 없는 상황과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의 막말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한국보수가 기존 보수의 정체성을 상실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다. 

1520339021731 (2).jpg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김다윗기자〕

우리는 한국보수의 좋지 않은 상황에서 영국의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보수당(Conservative and Unionist Party)의 사례를 통해 그 해결점을 찾아볼 수 있다.
영국의 보수당의 기원은 1780년대에 소 윌리엄 피트를 중심으로 한 휘그당의 탈당파들로 올라간다.
1832년 로버트 필이 토리(Tory)라고 불렸던 당의 이름을 보수당으로 바꾸면서 현재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1830년대 영국에서 가장 큰 사회적 이슈는 곡물법이었다. 당시 보수당은 곡물법폐지와 관련하여 찬반으로 나뉘어 내분을 겪다가 실각하게 된다. 실각 이후 보수당은 약 30년간 집권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보수당은 대세에 맞지 않는 정책을 고수하는 것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켰고, 당의 결속을 통해 안정을 이루어냈다. 이렇게 보수당은 위기를 현명하게 대처하였다. 이에 큰 역할을 한 사람은 영국의 전성기시절의 총리였던, 벤저민 디즈레일리(Benjamin Disraeli)였다. 디즈레일리 총리는 현대적 영국보수당의 기초를 만들었고, ‘하나의 국민’ 원칙을 통해 사회통합을 추구하는 정당의 이미지를 완성한다.
 20세기에 급부상한 노동당에게 처칠의 보수당은 세계대전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정권을 내주게 된다. 보수당의 뚜렷한 정책 변화는 1970년대 후반에 나타나는데, 영국은 IMF에 구제 금융을 신청할 정도로 심각한 경제 위기를 겪었다. 이때, 중산층출신의 정치인, 철의 여인 마거릿 대처(Margaret Thatcher)가 신자유주의로 보수당을 집권시켰다. 대처 총리는 당내에서 이데올로기 정립을 위해 다양한 연구 활동을 장려하였다. 이는 보수당의 장기집권의 기반이 되었다. 그녀의 뒤를 존 메이저가 이었으나, 여러 가지 스캔들과 경제의 몰락으로 인해 보수당은 제3의 길을 들고나온 노동당의 젊은 당수 토니 블레어(Tony Blair)에게 418석대 165석의 충격적인 패배를 겪었으며 약 12년 동안 야당이 되어 침체기를 겪었다. 그러나 블레어 총리의 사임으로 고든 브라운이 후임자가 되었고, 이에 보수당은 따뜻한 현대적 보수주의 또는 온정적 보수주의를 내세운 엘리트출신의 젊은 데이비드 캐머런(David Cameron)을 당수로 내세워서2010년 총선에서 자유민주당과 연정하여 집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수당은 당의 위기가 있을 때마다, 혁신과 당내 변화를 통해 시대에 뒤처지지 않고, 
약 200년의 오랜 역사를 유지해왔다. 또한 선거패배 후에도 분열을 겪기보단 당이 단합하여 철저한 패배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젊은 피를 수혈하고 시대에 맞지 않는 강령은 폐기함으로써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줬다. 대한민국 역대 보수정당 중 가장 오랫동안 존재했던 정당은 민주공화당으로, 약 17년 동안 존재했었다. 대한민국에서 보수라는 정치인들은 정당을 만들고 난 후, 선거에서 패하면 쉽게 당명을 바꾸고, 분열하곤 했었다. 야당이 돼서는 신사적이고 합리적인 보수의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대한민국의 보수가 영국보수당의 사례를 본받아 보수의 가치를 재건하고, 노인들과 엘리트들만을 위한 보수가 아니라, 모든 국민을 위한 보수가 되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6기 김다윗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6819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3661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55463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2043
양심적 병역거부, 인정되어야 할 안건인가? file 2018.03.01 김은서 12045
박근혜 전 대통령 검찰 조사 D-3...과연 진실은 밝혀질까? 3 2017.05.12 김수연 12050
피청구인 박근혜, 靑 을 쫓겨나다. file 2017.03.12 유태훈 12052
학교폭력 줄이자는 목소리 커지는데...교육 현장에선 ‘개콘’ 우려먹기 file 2021.03.23 박지훈 12052
노인 복지 정책, 어떻게 얼마나 변했는가? file 2018.07.26 장서진 12054
'스몸비', 좀비가 되어가는 사람들 1 file 2018.10.04 신미솔 12060
금리 인상의 양면성 2017.12.13 원종혁 12068
"가히 무술옥사(戊戌獄事)", 이명박 4대 혐의 반박 2018.04.12 김예준 12068
경상북도 안동에서의 위안부 소녀상 건립, 그 미래는? 1 2017.07.01 윤나민 12071
남북정상회담, 그 효과와 발전방향은? 2 file 2018.10.01 김도경 12074
악성 댓글,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20.01.13 조연우 12083
5060 신중년 정책, 국민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1 2017.09.05 김민주 12085
함께 지켜온 대한민국,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들 1 file 2017.10.23 변서연 12085
주요 대선후보들의 경제관련 공약을 알아보자 2 file 2017.04.25 천주연 12088
미투 운동, 누가 진실을 말하고 있는가 file 2018.03.02 이승현 12089
데이트 폭력은 사랑이라고 할 수 있는가? 1 2018.12.19 이유경 12089
Marketing Taste Test - 블라인드 시음 1 file 2018.06.11 조찬미 12097
청소년을 위한 페미니즘, 교육이 나서야 한다 3 file 2018.12.18 황준하 12107
공정한 취업의 신호탄, 블라인드제 1 file 2017.06.25 황현지 12109
제천 화재 사건의 근본적 원인은 우리다 2018.01.03 제규진 12113
'n번방' 들어가기만 해도 처벌받는 개정안 추진 중 1 file 2020.03.31 전아린 12118
미국 의회 북한 돈줄 차단 시작 1 file 2017.04.12 조채은 12119
영국 총선, 보수당 승리... 존슨 총리의 향후 과제는? file 2019.12.20 김지민 12123
신소재 그래핀과 보로핀의 산업화 해결 과제 file 2021.05.21 김률희 12125
대통령 후보, 그들이 얻는 것은 무엇인가 7 file 2017.04.03 김민주 12129
선거마다 발병하는 고질병들, 언제까지 유효할 것인가 3 file 2017.04.25 정혜정 12133
함께 지켜나가요, 소녀들의 평화 file 2017.04.16 김효림 12140
빈곤과 가난은 옛이야기일까? 1 file 2018.07.04 박상미 12140
늘어나는 평화의 소녀상에 관하여 5 file 2017.05.16 정수빈 12146
노란 물결이 일렁이는 4월 16일 file 2017.04.16 이지연 12149
무더위 속 할머니들의 외침 2 file 2018.08.17 곽승준 12151
성동구 평화의 소녀상 지킴이 플래시몹 1 file 2017.08.16 황수현 12154
아직 해결하지 못한 숙제, 소년법 2 2018.04.16 성채영 12157
프랑스 파리와 미국 LA, 2024년과 2028년 하계 올림픽의 무대가 되다! 1 file 2017.08.07 이수연 12164
피로 물든 광주, 진실은 어디에? file 2019.05.24 안서경 12167
'다사다난'했던 2017년, 가장 '빛났던' 청와대 청원 게시판 2 2018.01.02 전세연 12176
바이든을 지지한 "너희가 멍청한 거야", 전 민주당 소속 여성 리더가 말하다 1 file 2020.11.03 김태환 12178
중국, 우리는 안된다더니 중국판 사드 배치 1 file 2017.08.22 이호섭 12179
'자율주행 자동차' 무인화 시대 다가오다 file 2019.02.28 이승민 12184
포항 지진 피해 연이어 속출... 보상은? file 2017.11.21 김주연 12188
다음, 카카오톡에 이어 이제는 네이버까지... file 2019.06.26 이채린 12188
달걀 가격 4000원대로 하락...농가들은 울상 file 2017.10.11 김주연 12192
가장 치열한 전쟁, 종자전쟁 2017.12.26 황혜령 12196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2199
의료기기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file 2018.02.22 홍수빈 12200
힘의 가치 2017.10.10 최지원 12203
한반도 평화 물꼬 튼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5.02 이선철 122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