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고소한 소통! 행복한 동행! 2018 청주 삼겹살 축제 성황리 개최

by 10기허기범기자 posted Mar 05, 2018 Views 1533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MG_960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허기범기자]


대한민국 최초 유일의 삼겹살 특화공간인 청주 삼겹살거리에서 3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2018 청주 삼겹살 축제가 열렸다. 청주 서문시장 상인회는 삼겹살거리가 조성된 2012년부터 숫자 3이 겹치는 33일을 삼겹살 데이로 명명해 매년 청주 삼겹살 축제를 통해 청주 삼겹살 문화와 맑은 골 청주를 홍보하여 청주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2018 청주 삼겹살 축제는 먹자판, 놀자판, 난장판으로 나눠 운영했다. 먹자판에서는 무료 잔치 한마당을 열어 삼겹살 시식회를 진행했고, 청주 특산품인 청주 오믈렛, 본정(本情), 졸졸호떡 등 10여 가지를 시중보다 20% 이상 싼 가격에 판매했다. 놀자판에서는 사물놀이, 캘리그라피, 삼겹살 축제 삼행시 짓기, 노래자랑 등으로 시민들에게 웃음을 주었다. 난장판에서는 분식, 특산물, 순대, 삼겹살 등을 판매하는 26개의 야시장을 운영했고, 청주시장배 돼지 한 마리 요리 경연대회(우리 맛집 자랑)가 열렸다.


청주는 내륙지방으로서 오래전부터 다양한 육류문화가 발달해왔다. 특히 청주지방에서 생산되는 돼지고기는 궁궐에 진상할 정도여서 조선 시대 세종실록지리지에도 이와 관련된 기록이 나올 정도이다돼지고기는 서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육류가 아니었으나, 1960년대 이후 산업화와 함께 돼지 사육 투수가 많이 늘어나면서 돼지고기 소비가 크게 늘었다.


특히 청주 삼겹살은 연탄불에 생고기를 직접 구워 먹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굵은 소금을 뿌리거나 옅은 간장 물에 담갔다가 굽는 방식이 주류를 이뤘다. 특히 한약재를 넣고 끓인 간장 물에 담가 구우면 돼지고기의 잡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향미가 더할 수 있어 독특한 청주 삼겹살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청주 서문시장 삼겹살거리 이승진 상인회장은 청주 삼겹살을 통해 청주가 널리 알려지고 청주를 찾아오는 외지손님들이 늘어나기를 소원합니다. 서문시장 삼겹살거리에서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어 가시길 바랍니다.”라고 청주 삼겹살 축제의 성공을 기원했다.


1964년 개설된 청주 서문시장은 교통의 요지에 있었기 때문에 1960년도 당시에는 청주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손꼽았었다. 시장의 현대화, 터미널의 이전, 대형 할인점의 입점 등으로 그전 같은 활기를 찾아볼 수 없었지만 2018 청주 삼겹살 축제로 인해 청주의 옛 모습을 회상하는 축제가 되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허기범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5699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2641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68455
지구촌이 한마음 한뜻으로 벌이는 즐거운 축제 file 2016.05.27 박가영 15303
보들별 잔치 (시간, 그들에게 묻다) file 2016.05.13 3기전재영기자 15303
베트남서 "한국어 제1외국어로 채택될 것" 1 file 2020.12.03 김유진 15304
"봄을 향해 두발로 전진하자!" 환경과 건강 둘 다 지키는 의왕시 '두발로데이' 5 file 2017.02.13 이승연 15305
학생들이 재구성한 뮤지컬 "God Spell" 하나님을 찬양하다. 3 file 2017.02.20 이찬희 15306
김수영 문학관을 방문하다 1 file 2017.03.20 김주연 15306
스마트 세상에 살아갈 우리를 위한 '제5회 테크+ 제주' 1 2017.09.08 신온유 15309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9월 새학기부터 ‘청소년상담1388 온라인 캠페인’ 실시 file 2017.09.05 디지털이슈팀 15310
제36회 대통령배 전국수영대회 개최 2017.08.28 박수연 15311
인천의 명소들을 한눈에 보다! 인천시티투어 2018.07.17 김다인 15311
지역 주민 모두를 하나로 뭉치게 만든 ‘오송 한마음 축제’ file 2017.08.01 박정은 15312
2018년, 대구의 중심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다 file 2018.03.07 정민승 15313
런던, '친환경 생태 도시'로 탈바꿈한다 file 2018.04.03 김환 15316
국민의 알 권리, 재판에서 찾아봐요!! 1 file 2017.01.23 김현재 15317
K리그 클래식 깃발더비 경기리뷰 file 2016.07.25 박상민 15318
여성 인권, 이대로 괜찮은가? 1 file 2018.03.30 손정해 15320
2017 서울 모터쇼를 다녀 오다. file 2017.04.18 주건 15321
프로듀스101 시즌2 최종 11인 워너원 데뷔에 한걸음씩 다가가는중 2 file 2017.07.24 이아영 15321
찌라시 전쟁 1 file 2018.01.26 김영인 15321
101명에 대한 사랑은 무엇일까 file 2017.07.23 하은지 15322
눈의 의지로 별을 기리다. file 2017.03.25 임소진 15323
가을, 책을 읽어볼까요? 6 file 2017.09.22 김수인 15323
방치된 자전거도로 이대로 괜찮은가 4 file 2017.04.12 김도연 15329
핑크 카펫 길만 걸으세요! file 2018.03.02 김서현 15330
얼마 남지 않은 UEFA 챔피언스리그, 그 우승 팀은 어디가 될 것인가 3 file 2018.05.25 반고호 15332
도심의 한복판에서 휴식을 찾다 1 file 2016.05.21 민원영 15333
차세대 항공기 보잉787 2 file 2017.03.29 신준영 15333
영화 재심 속에서 우리 사회의 뒷모습을 직면하다 2 file 2017.03.26 박소영 15334
'클린데이' - 우리가 살 곳을 우리가 더 깨끗하게 1 file 2017.03.27 조영서 15334
In Cambodia, 아세안이 한 자리에 모였다고? 2017.09.29 이유정 15335
고소한 소통! 행복한 동행! 2018 청주 삼겹살 축제 성황리 개최 file 2018.03.05 허기범 15335
'이상문학상'을 아시나요? file 2017.03.25 정준서 15336
증권회사의 증권회사인 한국예탁결제원에 가다! file 2019.08.26 윤다인 15336
롯데월드 'Friday Burning 나이트파티' , 그 뜨거웠던 현장으로 2 2017.02.25 최민규 15340
하림 푸드트럭, 동신여고·국제고 방문 무료 시식회 실시 6 file 2017.08.18 디지털이슈팀 15340
예산 청소년미래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 첫걸음 떼다 file 2018.01.24 신다인 15345
무공해 청정 영화, '리틀 포레스트'를 소개합니다 2 file 2018.03.06 김민하 15345
모두 함께 즐기는 '2017 경기 다독다독 축제' file 2017.10.24 고희원 15346
울산광역시 교육청,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학부모 연수 개최 1 file 2018.05.02 조예린 15346
독도를 가슴에 품고 대한민국을 세계로! 4 file 2017.06.03 정지윤 15347
2017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을 소개합니다! 1 file 2017.09.19 홍여준 15350
캄보디아의 아픈 기억, 킬링필드(Killing Fields) file 2020.02.14 윤하은 15350
문화조건의 볼모지에서 피어난 기적, 충남 서천군 봄의 마을 종합교육센터 2017.10.25 전건호 15351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5353
당신은 멀티가 가능합니까? 4 file 2017.03.17 김서영 15354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캠페인이 열리다. file 2017.08.31 박성준 15354
작은 발걸음이 소외된 이웃에게 큰 힘이 됩니다! 2019.05.08 이채빈 15356
시끌벅적한 도시 한복판에서의 멍 때리기 1 file 2017.05.23 최지오 153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