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조선명탐정 : 흡혈괴마의 비밀'. 시리즈의 흥행을 이어가다?

by 6기이예원기자 posted Feb 26, 2018 Views 172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8175767_2003194576601758_9797259_n.jpg

[이미지촬영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예원기자]

조선명탐정 : 흡혈괴마의 비밀이 지난 28일 개봉하였다.

조선명탐정3는 앞선 2011년 개봉한 조선명탐정 : 각시투구꽃의 비밀’, 2015년 개봉한 조선명탐정 : 사라진 놉의 딸을 잇는 3번째 시리즈다. 이 영화는 강화에서 기이한 불에 사람이 타 죽는 연쇄살인사건을 김민(김명민 분)과 서필(오달수 분)이 조사를 하는 도중 기억을 잃은 묘령의 여인 월영(김지원 분)을 만나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이야기다. 전작과는 다르게 이번 영화에서는 여주인공의 비중이 크게 늘었고, 여주인공이 중심축이 된다. 영화를 관람한 김** 양은 전작들을 재미있게 봐서 그런지 이번 작품도 기대가 컸는데,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재미있게 봤다. 특히 새롭게 등장한 월영의 캐릭터가 마음에 들었다. 월영을 통한 스토리가 웃음뿐 아니라 마음 한편에 울림을 주는 내용도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친구나 연인, 가족 모두 다 함께 보면 좋을 적극 추천하는 영화이다.”라고 하였다. 3편을 함께한 김민과 서필의 케미, 새롭게 합류한 월영에 대하여 개봉 전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온 조선명탐정3는 개봉일 박스오피스1위를 당당히 차지하였다. 그 뿐 아니라 개봉 후 6일 간 박스오피스 1, 6주 차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블랙팬서, 골든슬럼버 등 많은 인기작이 개봉한 가운데 아직까지도 박스오피스 2, 3위를 오가며 흥행을 이어나가고 있다. 전작인 조선명탐정1478만 명, 조선명탐정2387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였다. 과연 조선명탐정3가 전작들의 관객 수를 넘을 수 있을지 의문인 가운데, 지난달 17일 진행된 V앱 무비토크에서의 공약이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이날 김명민, 오달수, 김지원 배우는 500만 관객이 넘으면 영화에 나온 트리오 댄스를 추겠다는 공약을 걸었다조선명탐정3는 개봉 3주 차인 현재 200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과연 세 배우의 공약이 이루어질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여전히 흥행을 이어나가고 있는 '조선명탐정 : 흡혈괴마의 비밀'.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이예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1791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6534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84505
꿈나무 아이들의 급식실, 편의점 1 file 2017.09.27 신유정 23666
대한민국의 전통, 한국 민속촌! 2015.05.04 한지원 23677
친환경적인 브랜드, 프라이탁 1 file 2020.06.15 설수안 23713
구글이 바라는 이상적인 통신사 Made by Google 통신사 : Google Fi file 2019.02.28 정성원 23721
'내가 사랑했던 모든 남자들에게'-나와서는 안 되는 편지들이 나와 버렸다! 1 file 2018.10.24 박채윤 23749
방탄소년단, UN에서 또 한 번 세계에 위로의 메시지를 던지다 1 file 2020.09.28 김우정 23769
음식물 쓰레기, 일본에선 그냥 버릴 수 있다고? 1 file 2020.10.05 김시은 23772
'제가 좀 영향력이 있지 말입니다' - 드라마 [태양의 후예] 와 PPL file 2016.03.24 이시은 23773
매력 덩어리, '스포츠 클라이밍' 1 file 2017.09.25 이예준 23776
캣조르바 탐정추리학교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3 file 2019.02.08 심화영 23798
'위안부' 할머니들을 지키고 평화를 가꾸는 우리는 피스가드너입니다. 17 file 2017.01.18 이민지 23809
<유기견을 사랑하는 천사들> 보호소 봉사 1 file 2018.08.31 정수민 23809
충남, 과학愛(애) 빠지다 file 2018.10.24 유어진 23814
[2019 세계 뇌주간] 창의성의 비밀, 뇌과학은 알고 있다 2019.03.27 김규린 23816
없어져야할 문화 두 번째: 전족(연꽃발) 3 file 2019.07.12 이승환 23816
전국대회 '청소년 방송콘텐츠 경연대회' 개최! 1 file 2015.09.20 정은성 23818
책의 도시, 군포시! file 2014.10.23 이효경 23820
스마트폰으로도 전문가 영상을! 혁신적인 가격의 'Snoppa M1' 3 file 2017.02.16 김지훈 23833
포켓몬 고(Pok?mon GO)가 추락하는 이유 무엇인가 3 file 2017.02.24 임유리 23845
모모귀신, 실제로 존재할까? 4 2018.09.12 고유진 23848
춘천청소년의 눈이 담긴 청소년영상제작교실, 그 교육의 과정을 검토하다 1 file 2017.08.16 임다안 23849
스마트폰이 신체의 일부가 된 사람들 6 file 2020.04.13 차예원 23855
나무여성인권상담소, 청소년 인터넷 신문 모니터링 활동 진행 2015.07.20 온라인뉴스팀 23908
학생들이 생각하는 원어민 선생님, 원어민 선생님이 생각하는 한국 file 2017.10.24 김지우 23926
놀 수 있는 몬스터, '스포츠 몬스터' 1 file 2017.11.30 이예준 23931
몽환적인 핑크빛 하늘... 이유는? 1 file 2021.09.09 하지수 23941
나의 스마트폰 속 비서? 1 file 2018.09.19 김찬빈 23967
행복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도파민'은 무엇일까? file 2021.07.23 이수정 23986
'에브리타임' 익명성 개선 인식은 어떠한가? file 2020.11.09 석종희 23989
왓챠, 새 스트리밍 서비스의 장을 열다 3 file 2016.05.24 이지원 23999
유튜브 '알고리즘'이란? 6 file 2020.08.11 김상혁 24086
동물 실험에 따른 생명윤리 문제 4 file 2017.05.18 김동수 24089
우리는 어제 사람을 죽였다 4 file 2020.10.05 정미강 24176
성큼 다가온 추석, 당신의 방을 지켜라! 1 file 2015.09.26 정수민 24180
동남아시아의 빈부 격차, 과연 해결이 가능할까? 1 file 2016.05.28 임주연 24182
우리 생활 속 숨어있는 수학 원리 file 2020.03.30 장서윤 24193
논란의 유튜브 예능 '가짜 사나이' 계속된 논란에 결국 방송 중단 2 file 2020.10.19 홍재원 24201
앞으로 카카오톡 차단 상대가 내 프로필 못 본다 file 2018.03.27 오경찬 24205
해외의 고등학교 축제, 한국과 많이 다를까? 10 file 2017.03.18 한태혁 24208
B-Sal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한 도롱뇽, 그에 응답한 연구진과 학생들 file 2017.08.08 박서영 24244
뻐카충, 오나전 짜증나! file 2014.07.27 이유진 24261
수박 모자이크병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4 file 2017.08.07 박지성 24331
1부 승격, 다크호스로의 비상을 꿈꾸다 file 2015.05.17 정은성 24468
알고 있다고 다 아는 것이 아닌 '독도' 3 file 2015.07.27 명은율 24510
[일본 관서지방 여행기] pt 4 오사카 (完) 2 file 2017.03.18 박소이 24527
학교 2017의 시작, 이쯤에서 알아보는 드라마 학교시리즈가 사랑받는 이유? 4 file 2017.06.08 김혜원 24570
SNS.. 그 편리함 속 숨겨진 역기능 4 file 2016.03.18 김주영 24589
교토의 랜드마크라고 불리는 청수사, 알고 보면 백제의 죽마고우(竹馬故友)? 6 file 2016.02.23 안민 245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