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의료기기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by 6기홍수빈기자 posted Feb 22, 2018 Views 122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80221_13231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홍수빈기자]


 "단 거 좀 그만 먹어! 그러다 당뇨 걸리겠다.". 단 음식을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주변인의 잔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당뇨는 혈증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의 오해와 다르게 당뇨는 단 음식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질병이 아니다. 선천적으로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제1형 당뇨는 전체 당뇨병의 약 10퍼센트를 차지한다. 제1형 당뇨병은 주로 소아에게 발생한다.

 

 제1형 당뇨병을 앓는 환우들은 평생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당뇨 환자는 자주 혈당 측정을 해서 적절한 인슐린 양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잦은 혈당 측정은 손가락의 통증을 유발하여 당뇨병 환자들이 고역을 겪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자주 혈당을 측정한다고 해도 혈당 변동폭이 큰 경우 전반적인 혈당 조절 상태를 반영하기는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는 '연속 혈당 측정기'의 도움을 받아 해결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기란 혈당치와 혈당 추세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주는 기기이다. 기존의 혈당계와 달리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야간의 필요 인슐린 용량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소아 당뇨 및 특발성 1형 당뇨, 자가면역질환 1형 당뇨 환자들이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연속 혈당 측정기는 우리나라에서 구하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해외 사이트를 통해 들여오는 게 대부분인데 문제는 이 과정이 의료기기법에 있어서 위법이라는 것이다. 이에 당뇨를 겪고 있는 아이들이 아이들답게 살아갈 수 있어야 한다며 의료기기법의 완화를 촉구하는 청원이 청와대 게시판에도 올라온 상황이다. 소아 당뇨 및 1형 당뇨를 앓으면서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들을 충분히 고려한 법으로 개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료기기법은 의료기기의 제조, 수입 및 판매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의료기기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하고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제정한 법이다. 현재 "의료기기 제조업자, 수입업자는 식품 의약품 안전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품목허가를 받지 않거나 품목신고를 하지 않은 의료기기를 판매, 임대, 수여해서는 안 된다."라는 엄격한 내용이 연속 혈당 측정기를 수입해 오는 일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의료기기법의 목적은 국민 보건 향상이다. 현재 의료기기법의 문제가 무엇인지, 무엇이 환자들을 위한 옳은 법인지 곰곰이 따져보고 원래의 목적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홍수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6954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3805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56890
사이버 폐가는 불법 마약 판매상의 놀이터 file 2018.02.21 조승주 11664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8373
사우디아라비아의 많은 변화, 여성들 새 삶 출발하나? 3 file 2018.10.12 이민아 11534
사생팬의 위태로운 경계 1 2017.10.23 김다은 14850
사법시험의 폐지와 '로스쿨 제도' 5 file 2017.07.25 최서진 11661
사법시험 폐지의 합헌 결정에 대한 반발, 그 이유는? 1 file 2018.01.18 이승민 11579
사법부, 잇따른 영장기각 file 2018.11.07 박상준 10592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오늘 하루 만큼은 금연하세요 2014.07.31 장정윤 23109
사람이 포켓몬을 잡는 건지 포켓몬이 사람 잡는 건지... 9 file 2017.02.09 이지은 16836
사람 하나 잡는다, 가짜 뉴스가 뭐길래? 5 2017.02.24 김가은 14921
사라진 여당 추천위원들… 이대로 세월호 특조위 무력화 되나 9 file 2016.02.25 유진 16627
사라지는 통일의 필요성.. 대책은 무엇인가 3 file 2017.08.17 김정환 11664
사라져야 할 권력 남용 5 file 2017.03.31 전원정 16233
사라져가는 프랑스의 엘리트주의 file 2021.04.26 김소미 10198
사라져가는 교복의 의미 4 file 2018.12.27 정지혜 18389
사드, 그리고 각국의 시각 3 file 2017.03.22 김규리 12857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3 file 2017.05.30 김도연 12541
사드 보복, 경제적 손해량은 어느정도일까 file 2017.03.19 이수현 11383
사드 보복 조치에 정면돌파? 4 file 2017.03.27 김찬 10780
사드 배치에 성난 성주, 김천 주민들… “사드가 안전하다면 청와대 앞마당에 놓으세요” 1 file 2016.08.25 유진 15837
사드 배치, 황강댐 ‘수공’ 레임덕 완화 도구 1 file 2016.07.18 이민구 15056
사드 배치, 남한을 지킬 수 있는가 17 file 2016.02.16 고건 17289
사드 반대했더니 불순세력, 사드배치 반대했더니 지역이기주의 file 2016.07.24 조민성 15837
사교육 이대로 가도 문제없는가..! file 2017.03.20 이현 10569
사과, 어려운 일 입니까? 5 2017.09.12 5기김경원기자 11758
삐까뻔쩍한 아파트를 가진 가난한 사람들, 당신이 몰랐던 이유 2017.09.19 호수 10952
삐걱거리는 2020 도쿄올림픽, 성폭행 사건도 발생 file 2021.07.27 오경언 8129
빌 게이츠의 꿈, 원자력 발전소로 이룬다 file 2020.11.17 최준서 12732
빈곤과 가난은 옛이야기일까? 1 file 2018.07.04 박상미 12143
비판을 비판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3 file 2017.02.20 김민주 17612
비트코인, 엇갈리는 평가와 가치 file 2018.02.02 김민우 12638
비트코인 지속적인 하락세…정부의 대처 눈여겨봐야 2 file 2018.04.02 민솔 10706
비트코인 사용시 주의할 점 file 2018.02.21 허어진 10883
비추는 대로 봐야하는가, 언론의 신뢰성 문제 3 file 2016.05.25 김영경 17053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모두가 행복할 변화인가? file 2017.05.21 한윤정 11301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누가 차별당하는 것인가 4 file 2017.07.19 윤익현 17378
비어있는 임산부 배려석 찾기가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6 file 2017.02.25 박유진 22911
비바람에도 꺼지지않는 촛불, 14차 광주시국 촛불대회 1 file 2017.02.13 정진영 17416
비가 와도 함께한 1271번째 수요일... 일본정부의 진정한 사죄를 촉구하는 수요시위 현장 9 file 2017.02.22 정지윤 15594
블랙리스트,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것인가 file 2018.01.29 전세연 10746
블라인드 채용 법 발의 5 file 2017.07.09 송선근 14817
블라인드 채용 득인가 실인가 2017.09.25 황수민 11303
블라디보스토크, 첫눈처럼 눈보라로 가겠다 2020.11.23 오예린 8202
브뤼셀 테러 발생, IS의 테러는 어디까지 5 file 2016.05.24 정가영 15294
브렉시트....현재 진행 상황은? file 2017.12.12 현승현 13553
브렉시트 투표 후 1년 반, 어디까지 왔나? 2 file 2018.01.29 신유진 10467
불안한 일회용 생리대, 천 생리대는 어때? 12 2017.09.06 김나연 12928
불법주차 개선위한 대책마련 시급 1 file 2016.11.17 김지현 183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