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페루, 7.1의 강진

by 5기임규빈기자 posted Jan 22, 2018 Views 1064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Peru (1).jpg  [이미지 제공=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현지시각 14일 오전 4시 18분 남미 페루에서 규모 7.1의 강진이 발생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은 페루 수도 리마에서 남동쪽으로 438㎞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것으로, 진원의 깊이는 36.3㎞라고 발표했다. 현재까지 이 지진으로 최소 2명이 숨지고 65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페루 보건부는 광산 붕괴로 17명이 실종된 상태라고 밝혔으나, 페루 당국은 발표를 취소했다. 정전과 구조물 붕괴 등의 피해 보고가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AFP 통신에 따르면 호르헤 차베스 국가 민방위청장은 "아레키파 지역에서 2명이 숨지고 지금까지 65명이 부상한 것으로 보고됐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2명의 인명피해는 아레키파주 야우카와 베야우니온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점토로 만든 집이 무너지는 바람에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진의 영향으로 총 가옥 63채가 무너져 13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 뒤 태평양 쓰나미 경보센터는 곧바로 페루와 칠레 해안 일부 지역에 '쓰나미 위험 메시지'를 발령했지만 다행히 쓰니미가 발생하지 않아 곧 철회했다. 이로써 최악의 피해 상황은 면할 수 있었지만 페루 정부는 지진 피해를 수습하면서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페루 당국은 피해 지역에 군용기를 이용해 구조 물자와 인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 대통령은 "전력을 다해 대응하고 있다.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보낼 것"이라고, 메르세데스 아라오스 부통령은 "피해 지역에 보수작업이 즉각 이뤄질 수 있도록 피해 지역에 비상사태가 선포될 것"이라고 밝혔다. 


페루 강진에도 불구하고 프란치스코 교황은 예정대로 오는 18부터 21일까지 페루를 방문할 예정이다. 교황 방문 예정지역에 일부 지진 피해 지역도 포함돼 있으나, 페루 당국은 교황 방문 예정에 변동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AP 통신이 보도했다. 


규모 7.1 강진으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반복되는 전 세계적으로 계속되는 지진에 국내 여론 관심이 증폭됐다. 네티즌들은 지난 11월 발생했던 포항 지진을 기억하며 “안전한 곳이 없네. 그곳 분들 힘내세요” “거기 있는 우리나라 교민이나 여행객들은 어떤가요?” “ 에구... 지진.. 이제 정말 남의 나라 일이 아니다.. 한 번 겪어보니 너무 무서워” “ 불의 고리가 심상치 않다 정말... 지진으로 안전했던 한국이 5 넘는 강진이 1년 사이에 3번씩이나” “가족분들 걱정 많으시겠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더 큰 피해가 없길 바랍니다.” “지구 앞에 인간은 작은 존재. 피해가 크지 않길 바랍니다.” 등 불안하다는 반응과 함께 우려와 걱정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외교부는 우리 국민들의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 정부는 “페루 방문 예정이거나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에 안전 공지 게시했다”라고 말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5기 임규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7016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3871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57408
생활 속에 파고든 알코올 중독,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2018.04.18 정하현 10839
생활 방역 시대, 청소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 file 2020.05.04 서하연 9090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9297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799
생리대를 둘러싼 진실게임 2 2017.10.10 제규진 12416
생리대, 과연 안전한가? 5 2017.09.04 박채리 12334
생계형 난민의 폭풍... 그리고 유럽의 반난민 정책 1 file 2018.09.05 조제원 11713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8597
새롭게 바뀐 한국의 대통령, 중국과 한국과의 관계도 바뀌나? 2 file 2017.05.19 강지오 10839
새로운 형태의 자산 가치 상승, 현대 사회가 가지는 또 하나의 숙제 file 2021.05.26 한형준 7744
새로운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 발견, 이 팬데믹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0.09.02 방지현 8286
새로운 경제 정책, 대한민국을 바꿀 것인가 1 file 2017.07.25 홍은서 10022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912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14674
상업적 대리모 그리고 인간 존엄성 1 file 2020.05.06 임효주 12983
상암동 장례식장 건립, 주민들 반대 운동 확산 1 2018.05.03 도예준 12421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 발표 ··· "죄송하며 감사하다." 3 file 2017.01.23 이정수 64860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8367
삼성은 반도체 패권을 가져갈 수 있을까? file 2021.05.26 이준호 7454
삼성물산 "우수품종 토종식물, 래미안 단지에 활용 계획" file 2023.02.02 디지털이슈팀 5087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9087
삼성,애플에 이어 LG까지...? 3 2017.01.22 안유진 18396
삼성 휘청: 삼성 이재용 부회장 결국 포승줄에 묶이다 file 2017.02.21 송경아 16994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9852
삼산고 학생들이 힘을 합친 '위안부 소녀상 건립' 캠페인 1 2017.10.24 주하영 12007
살충제 달걀에 이은 물의 식료품 안전 문제 1 file 2017.10.12 장예진 10603
살충제 달걀, 과연 우리는 안심하고 먹어도 될까? file 2017.08.29 임수연 9829
살충제 달걀 파동, 그 결과는? 1 file 2017.08.25 김민 11484
살충제 달걀 사건으로 알아보는 살충제 이야기 2 2017.09.04 최수혜 11839
살충제 계란의 해결은 동물복지농장과 정부의 철저한 관리 1 file 2017.09.01 최나연 11470
살충제 계란, 지금에서야 밝혀진 이유 1 file 2017.09.07 김연아 13319
살충제 계란, 그것이 알고싶다 file 2017.08.30 강명진 10395
살충제 계란 파동, 그 현황과 피해 1 file 2017.09.01 오수정 12755
살색이 아닙니다. 살구색입니다. 3 2018.09.28 박시현 12306
산업재해로 멍든 포스코, 포항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1 2021.02.18 서호영 7776
산업부 삭제된 ‘北 원전 건설’ 문건 공개...원전게이트인가? file 2021.02.05 이승열 11328
산업 현장은 아직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랜섬웨어 사건” file 2021.07.09 우상영 8215
산사태와 폭우 피해를 줄여주는 사방댐 file 2019.10.28 윤혜림 15711
사후 피임약, 의사의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어도 될까? file 2018.10.01 박효민 15981
사회적 사각지대 속 청소년 부모, 긴급복지지원 법 발의되다 file 2020.07.27 김예한 10588
사회적 문제 학교폭력, 법적 관념에서 답을 찾다 file 2017.11.23 김현재 11881
사회적 거리두기 무시한 채 이태원 간 연예인들 file 2020.05.21 배선우 11843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이대로 경기는 나아질까 file 2021.12.20 박서빈 8887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8517
사형집행은 사형집행관이 한다 1 file 2018.08.30 정해린 11049
사형제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7.08.17 신지 22692
사지 않습니다, 가지 않습니다, NO JAPAN file 2019.08.29 선혜인 13952
사재기, 보이지 않는 검은 손 2 file 2016.09.25 강하윤 164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