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유산균, 어떻게 먹어야 할까?

by 5기오지원기자 posted Dec 01, 2017 Views 3054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들, 과연 건강할까?

  현재 다수의 기업들이 다양한 유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생 유산균제품도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시중에서 흔히 접하는 요구르트들은 당분 함유량이 높으며 유산균 함유량도 많지 않아 보인다. 다음은 광휘고등학교 오지원, 김인실 학생이 탐구한 결과이다.

그림1.png그림2.png

[이미지 촬영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지원기자]

위 사진은 유산균 수 비교를 위해 직접 동치미, 식초, 와인(발효식품)으로 요구르트를 만든 모습이다.


그림3.png그림4.png그림5.png

[이미지 촬영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지원기자]

직접 만든 요구르트와 시중에서 판매되는 요구르트를 MRS Agar이라는 유산균 배양 배지에 도포한 후 혐기상태(무산소 상태)를 만들어 배양한 모습이다.


그림20.png

[이미지 촬영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지원기자]

실험 결과이다. 예상과 같이 시중에서 판매되는 요구르트의 유산균 수가 직접 만든 것들보다 현저히 적다. (사진과 다른 회사의 요구르트로 실험하여도 결과는 같았다.)


 각종 가공 식품에 의존하며 성인병에 시달리고 있는 현대인들, 그리고 그 유력한 용의자 비만. 유산균 함유량을 내세우며 "장 건강을 위한 당신의 선택"이라는 문구의 요구르트 광고들. 과연 그들이 당신의 건강을 책임지는가  집에서 내 손으로 만들어 먹는 요구르트는 유산균과 당분의 함유량에서 그것들보다 우세하다. 나의 가족들의 건강을 위해 그들에게 손수 만든 요구르트를 선물하는 것은 어떨까.


쇠 숟가락이 유산균을 파괴한다?

 답은? "그렇지 않다"이다. 이 또한 광휘고등학교 학생들이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림6.png

[이미지 촬영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지원기자]

 같은 종류의 배지 3개를 배양시킨 후 각각 쇠, 플라스틱, 나무 소재의 물질을 반응시킨다.

그림7.png그림8.png 플라스틱


그림9.png그림10.png 나무


그림11.png그림12.png 쇠

[이미지 촬영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지원기자]

실험 결과 쇠가 녹슬었을 뿐 유산균에는 아무 결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과정에서 유산균을 쇠 숟가락으로 섭취할 때는 배양 전의 유산균이므로 요구르트와 숟가락을 배양 전에 반응시켜야 한다는 오차를 발견하여 두 번째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쇠 숟가락과 플라스틱 숟가락으로 요구르트를 각각 300회 저은 후 유산균을 배양해보는 것이었다. 실험 과정에서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숟가락으로 떠먹은 후의 요구르트들 또한 배양해보았다.

그림15.png그림18.png

그림16.png그림17.png


그림14.png 왼쪽 사진은 비교를 위해 새 요구르트를 배양한 것이다.

[이미지 촬영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지원기자]


 위의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쇠 숟가락은 요구르트의 유산균 수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실험을 진행한 학생들은 "우리의 실험이 사람들로 하여금 무심코 사먹게 되는 요구르트들을 경계하, 직접 만들지  하더라도 시중의 다양한 요구르트들의 유산균과 당분 함유량에 관심을 갖게 하였으면 좋겠다. 또한 이 실험을 통해 숟가락의 재질이 요구르트의 유산균을 파괴한다는 잘못된 인식을 전환할  있었다."라며 그 소감을 전하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 = 5기 오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정용환기자 2018.01.30 00:52
    저도 가끔 요구르트를 먹을 때 쇠숟갈을 자제하고 플라스틱 숟가락을 사용했었는데, 아무 영향이 없다니 처음 안 사실이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86297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93602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379874
[해외특파원 뉴스] 일본, 후쿠오카의 관광지 21 file 2016.02.15 서지민 30451
유산균, 어떻게 먹어야 할까? 1 2017.12.01 오지원 30546
화제의 중심인 넥슨의 야심작 메이플스토리2! 1 file 2015.07.10 이하원 30744
청소년의 명품 소비를 말하다 file 2021.09.27 양지윤 30763
경기 부천시 도당 1-1구역 투명한 재개발 위해 조합원 뭉쳤다 1 file 2022.04.04 지주희 30832
청소년의 언어 문제의 심각성 2014.07.29 신윤주 30887
'야민정음', 언어유희일까 한글파괴일까 file 2017.05.26 서은유 31020
세월호 1000일, 이제는 알아야 합니다. 5 file 2017.01.22 김수민 31029
<4차 산업혁명> 이런 직업 어떨까? file 2018.02.28 임현호 31538
유기동물, 왜? 그리고 어떻게? 1 2017.03.12 장준근 31549
직접 체험한 'SKY PRIORITY' 누구를 위한 혜택일까? 2 file 2017.05.18 한태혁 31577
세계에서 가장 긴 도시 철도.. 서울 지하철 1호선이라고? 2 file 2019.07.01 김도현 31630
욕, 무슨 뜻인지 알고 있니? file 2014.07.27 김유빈 31646
미국 LA여행의 필수코스, 게티센터 2 file 2015.03.25 김민정 31722
약은 어떻게 버려야 할까? 1 file 2022.02.07 민지혜 31757
1980년대 그때 그시절의 편지 20 file 2016.02.20 지다희 31774
강미강 작가와 “옷소매 붉은 끝동”의 만남 file 2021.01.19 정주은 31877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1952
동화 속 친구들이 살고 있는, 인천 송월동 동화마을 7 file 2017.02.20 한지민 32175
물을 사랑한 화합물, 고흡수성 고분자 4 file 2017.02.20 권보미 32280
포근한 햇살을 품은 마비정 벽화마을 4 file 2015.02.17 전지민 32369
IT 산업의 혁명...'KITAS 스마트 디바이스 쇼' 1 2017.08.20 허석민 32634
핑크빛 노을은 오존층 대기오염일까? 2 file 2016.07.20 조해원 32796
텀블러,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다? file 2017.07.25 이지우 32869
소원을 들어 주는 신비한 식물, 마리모 2 file 2019.01.31 박수영 32870
세계의 의식주③: 다양한 전통가옥 2018.01.30 김민지 33022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3086
평내고, 하늘은 흐림 운동장은 밝음 file 2014.10.19 박채영 33094
경의선 발전 속에 묻혀진 철도 '교외선' 1 file 2017.08.17 최성민 33142
인조잔디가 몰고 온 건강의 적신호 2 file 2017.04.12 정가영 33167
학생들을 감동시킨 '필적 확인용' 문구 file 2017.07.27 김수민 33240
D-385, 2018년 평창을 향해 8 file 2017.01.20 이하영 33430
'제노포비아' 그 문제점은? file 2017.07.25 김다정 33534
2020 프로야구 개막전 잠정 연기, 야구 볼 수 있나요? 7 file 2020.03.11 정다은 33601
MZ세대의 명품 '플렉스(Flex)' 1 file 2022.03.28 김지민 33933
갤럭시 노트9이 아닌 노트8.5였다 4 file 2018.08.20 윤주환 33985
다른 세상으로, 풀다이브 기술 file 2017.03.20 김세원 34166
몸살감기 인 줄 알았는데, 임파선? 4 file 2017.04.02 김애란 34269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4529
'아파트 숲'이 된 북서울 6 file 2017.01.20 이다빈 34568
수원 화성에 사용된 과학기술 file 2017.02.25 장민경 34709
우리 지역사회 문제, 우리가 직접 해결해요! 2017.10.31 김효림 34722
[우리는 왜 사진전을 가는가?] 라이프 사진전, 역사와 삶의 ‘리얼’ 이야기를 담다 4 file 2017.07.12 김혜원 35077
자기가 파일 암호화를 해놓고 돈 주면 해독키를 준다고? 기가 막힌 '랜섬웨어' 2 file 2017.05.18 김재윤 35155
[탐구] 물의 부피와 온도 사이의 관계의 수학적 증명 file 2018.03.08 이동훈 35572
제주 쇼핑 1번지, 제주중앙지하상가로 놀러오세요! 3 file 2015.02.24 박채령 35667
길거리에 버려지는 쓰레기... 어디에 버려야할까? 1 file 2018.05.30 진현용 35700
독도, 세종실록지리지 50쪽에는 없다 3 file 2018.11.09 박상연 359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